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걸어서 뇌 속으로 Jun 27. 2023

사랑의 유통기한, 그 오해에 관해

사랑에 관한 작은 생체적 고찰

나는 대학에서 뇌과학을 전공했다. 이름만 들으면 굉장히 생소한 전공인만큼 나 역시도 뭐가 뭔지 모르고, 다만 혼란스러운 내 뇌를 조금이나마 이해하고자 전공으로 선택했다. 결과적으로는 아주 잘한 일도 아주 잘못한 일은 아니었다. 밥 벌어먹고 살기 힘든 전공이었지만 내 마음과 내 몸이 왜 이러는 지는 이해하기 아주 좋은 전공이었으니까.


그 중에 하나 배운 게 있다면 ‘사랑’에 관한 생체적 매커니즘이다. 누구나 가슴 떨렸던 기억이 있다. 첫사랑이 기억에 남는 건 아마도 그런 강렬한 감정의 발화를 도와준 인물이어서가 아닐까.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선명했던 색은 빛을 다하고 크게 떨리지도 크게 흔들리지도 않는 시기가 온다. 흔히들 그래서 사랑의 유통기한은 최대 3년까지라고 하지 않나. 그 다음엔 정으로 사는 거라고. 뇌과학적으로 이는 영 틀린 말도 영 옳은 말도 아니다.


사람이 처음 사랑에 빠질 때, 가장 중독적이고 가장 쾌락적인 호르몬들이 나온다. 도박이나 마약같이 자극적인 걸 할 때 분비되는 (물론 마약은 분비된다기보단 그냥 호르몬 곶간을 열어젖혀 있는 호르몬 없는 호르몬 죄다 꺼내놔서 종내에는 호르몬 거지가 되게 하는 행동이지만) 도파민이나 놀에피네피린, 에피네피린 등이 나온다. 이 때 우리는 온 세상이 다 아름답고 찬란하다고 느낀다. 놀에피네피린으로 인해 뛰는 심장은 마치 전력질주 하는 것 같고 마음은 놀이동산에 처음 온 어린이마냥 설렌다. 이 호르몬들은 시냅스라 불리는 뇌세포 손 끝에 자리해서 뇌세포끼리 닿은 손 끝에서 손 끝으로 온 몸으로 금방 그리고 쉽게 뻗어나간다. 하지만, 그런 흥분 상태는 장기적으로 몸에 좋지 않다. 자꾸만 뛰는 심장에 심장에 좋지 않고, 자꾸만 나오는 설레임은 뇌가 정상적으로 행동을 컨트롤하기에 좋지 않다. 그래서 이 기간은 그다지 길지 않다. 그럼 이 기간이 끝나면 우리가 아는 지지멸렬한 관계가 시작되는 것일까? 정말 우리는 더이상 상대방을 ‘사랑’하지 않게 되는걸까?


내 기준에서 정답은 ‘노’다. 도파민의 축제가 끝나면 옥시토신의ㅜ비가 내린다. 사랑를 더 굳게, 그리고 쉽사리 끊어질 수 없는 ‘정’을 형성하는 옥시토신은 도파민과 다르게 쉽게 나오지 않는다. 뇌세포의 심장인 뉴클리아이에서 나오는 옥시토신은 강력한 접착제이다. 우리가 이 사람은 아닌 것 같은 데 끊어내질 못하게 만드는 호르몬이자(다들 그래서 나쁜 남자를 좋아하지 않았나) 그래도 이 사람밖에 없지 라며 서로에 대한 애틋함과 전우애를 느끼게 만드는 호르몬이다. 더이상 두근거리지 않지만 더 강력하게 우리는 사랑을 이어나간다. 어떠한 힘든 상황에도 서로를 붙여놓고 전쟁같은 삶을 같이 헤쳐나갈 손을 붙잡게 해주는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이 계속해서 나오는 한, 사랑은 끝나지 않는다. 시간이 흘러 도파민에서 옥시토신으로 사랑이 업그레드되어 예전만큼 두근거리진 않아도 정이라는 끈끈한 유대와 신뢰가 생기니까, 사랑은 더이상 쏟아지는 소나기가 아니라 따스한 햇살이 된다.



keyword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