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K Jung Oct 05. 2023

SUP 보드/패들 고르는 법-(2) SUP 패들

SUP 보드와 패들의 종류를 알아보고 나에게 맞는 제품 선택하기




SUP 패들 고르는 법에 대한 내용을 보기 전에 먼저, 패들 각각의 명칭에 대하여 알아두면 내용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아래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조절가능한 패들을 위주로 설명을 하였고 고정길이 패들은 높이 조절하는 스케일(Scale)과 장금/고정 장치인 듀얼 락 핀 & 클래스프(Dual lock pin & Clasp)가 없다고 보면 된다.

패들 명칭

※ 패들 명칭

T-바 그립 핸들(T-Bar Grip) : 패들 상단의 T모양의 손잡이로 패들링 시 사람 손의 인체구조에 맞게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샤프트(Shaft): 긴 원통형 작대기로 T-Bar Grip을 잡은 반대쪽 손을 잡는 부분이다. 

블레이드(Blade) : 평평하고 넓은 모양의 부분으로 패들링 시 직접 물에 닿는 부분이다. 

팁(Tip) : Blade의 날카로운 끝부분을 Tip(팁)이라 부른다. 

 스롯(Throat): Shaft와 Blade 사이 부부분으로 보통 Throat까지 물에 넣어 패들링을 하면 보드의 빠른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스케일(Scale): 패들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잠금장치를 풀고 눈금에 표시된 크기를 확인하여 자신의 키나 패들링 자세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듀얼 락 핀 & 클래스프(Dual lock pin & Clasp):  이중잠금 핀과 버클이다. 분리된 패들 각 부품을 손쉽게 조립하고 고정하는 장치이다. 






2. SUP 패들 선택하기

다양한 패들

패들러의 체형과 패들링 스타일에 잘 맞는 패들의 선택은 SUP을 한 층 더 즐겁게 즐길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최고급의 패들의 구매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에게 알맞은 패들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3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길이 : 나에게 딱 맞는 패들의 길이는 나이스한 패들링 폼과 효율성을 유지하는데 주요한 Key가 된다. 

재질 : 패들의 재질이나 소재는 패들의 무게와 강도를 결정하게 된다. 대부분 가벼운 패들을 선호하지만 더 가벼울수록 더 많은 비용이 든다.

블레이드 크기와 모양, 오프셋(각도) : 블레이드의 크기와 모양, 샤프트와의 오프셋(각도)은 블레이드의 물속 움직임을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패들링의 유형과 체형, 개인 취향에 따라 블레이드를 결정할 수 있다.


2.1 패들 길이

나에게 알맞은 길이의 패들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너무 길거나 짮은 패들은 비효율적인 패들링을 유발한다. 너무 긴 경우에는 패들링 시 블레이드에 힘을 전달하여 밀어내는 물의 힘이 약해지고 너무 짮은 경우에도 블레이드를 물에 넣기 위해서 몸을 많이 숙여야 된다.

레크리에이션 투어링에 적절한 패들의 길이는 아래의 순서로 조정 및 선택하면 된다. 

블레이드를 바닥으로 패들을 수직으로 세운다.

머리 위로 팔을 뻗은 후에 패들이 닿는 위치를 확인한다.

T-Bar 그립 핸들이 손목의 구부러진 부분과 맞춘다.(길이 조정가능한 패들은 샤프트의 길이를 맞게 조정한다.)

온라인으로 패들을 주문하는 경우 자신의 키보다 8~12 인치(20.32cm~30.48cm) 긴 패들을 주문하면 된다.

패들 길이

레크리에이션 투어링이 아닌 서핑이나 레이싱의 경우에는 패들의 길이가 다룰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핑의 경우 투어링보다 짧은 패들을 선택하고 레이서들은 서핑보다는 조금 더 긴 패들을 선택한다. 그러나 패들러의 키나 팔길이, 패들링 스타일에 따라 길이는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처음에는 길이 조절가능힌 패들을 사용하여 길이를 변경하면서 자신에게 맞는 패들 길이를 찾아가면 될 것이다.


패들은 아래와 같이 길이조절가능한 패들과 고정길이 패들이 있다.

(1) 길이조절가능한 패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은 길이조절가능한 패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서핑, 투어링, 레이싱 등 다양한 활동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나에게 딱 맞는 길이를 찾는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키가 다른 가족이나 친구와도 패들을 공유할 수도 있다. 많은 제조사들이 조절 가능한 범위는 조금 다르지만 비슷한 길이의 패들을 생산 판매하고 있고 자신의 요구사항에 맞는 패들을 선택하면 된다.

(2) 고정길이 패들

조절가능한 패들은 조절 장치 때문에 고정길이 패들보다 더 무겁고 덜 단단하다. 따라서 경험이 많은 패들러들은 고정길이 패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고정길이 패들은 자신의 체형에 맞게 한 번 자르게 되면 더 길게는 길이를 바꿀 수 없다. 그러므로 조절가능한 패들을 많이 사용하여 자신의 체형에 딱 맞는 길이로 절단해야 된다.  


2.2 패들 재질

한두 시간의 패들링은 수천번의 노를 젓는 것으로 무거운 패들을 들어 올리는 것은 라이더를 빠르게 지치게 만든다. 따라서 경험이 많은 라이더들은 더 가벼운 패들을 선호하게 된다. 패들의 무게는 패들을 만드는 재료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얼마나 견고하고 단단한 정도(강도)에 따라서도 결정된다. 견고하고 강한 패들은 패들링 시 물을 밀어내는 힘의 전달이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패들 재료 선택 시 아래와 내용을 고려해 보자.

패들의 무게 : 레이싱이나 장거리 투어링 시에는 가벼운 패들이 좋다. 그러나 1년에 몇 번 타지 않는다면 패들의 무게는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구매 예산 : 카본이나 유리섬유 재질의 패들은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 패들에 비하여 비싸다. 특히 카본의 경우는 다른 재질보다 가볍지만 많이 비싸다. 따라서 자신의 구매 예산에 맞는 패들을 구매하면 된다.

근육과 무름의 피로에 따른 패들의 강도 : 이전에 어깨, 팔, 허리 등이 아팠던 이력이 있다면 딱딱한 패들보다 부드러운 패들을 구매하는 것이 좋다. (강도: 카본 > 유리섬유 > 알루미늄 > 플라스틱) 

 

패들 대부분을 구성하는 샤프트와 블레이드 재질의 선택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 보자.

플라스틱 : 내구성이 좋고 저렵한 일반적인 보급형 패들의 재질로 블레이드와 T-bar 그립 핸들의 자료로 사용된다. 거의 대부분 알루미늄 샤프트와 같이 만들어진다.

알루미늄 : 알루미늄 샤프트는 저렴하고 다소 가볍지만 유리섬유나 탄소만큼 견고하고 단단하지 않다. 플라스택 블레이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초보자에게 좋은 패들이라 할 수 있다.

유리섬유 : 가벼운 유리섬유 재질은 패들의 샤프트와 블레이드에 사용이 된다. 유리섬유의 재질도 단단하여 패들링 시 힘 전달이 효과적이다. 하지만 탄소섬유인 카본에 비하면 덜 딱딱하지만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에 비하여 비싸고 카본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히다.

카본(탄소섬유) : 카본이 가장 가볍고 단단한 재료지만 가장 비씨다. 장거리 투어링이나 레이싱을 자주 하는 라이더는 카본 패들에 비용을 투자하는 것이 아깝지 않을 수 있다. 카본의 강도는 패들링 시 근육에서 패들의 블레이드까지의 힘 전달이 탁월하다. 고급 재질의 패들은 샤프트와 블레이드 전체를 카본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조금 저렴한 패들은 샤프트는 카본을, 블레이드는 유리섬유의 재질을 이용한 혼합형 패들도 있다.  

나무 : 패들 전체를 나무로 만들거나 블레이드만 베이어합판으로 만들기도 한다. 나무 패들은 이쁘지만 다른 재료에 비하여 무겁고 비싸다.


2.3 패들 블레이드의 크기와 모양, 오프셋(각도)

블레이드는 패들링 시 물속에 꽂아 넣어 물을 직접적으로 밀어내는 부분이다. 따라서 블레이드의 크기, 모양, 오프셋(각도)은 패딜링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1) 크기

블레이드 크기

블레이드의 크기를 정확히 결정하는 데는 엄격한 규칙이나 특별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단지, 많은 시간을 패들링 하면서 자신의 신체 유형이나 패들링 유형과 같은 내외부 환경 요인에 따라 블레이드 크기에 대한 선호가 달라질 것이다. 그러나 SUP을 처음 타는 초보자의 경우 체중에 따른 권장사항은 아래와 같다.

소(S)/중(M) 체형(150 lbs/68.03 kg 이하) : 80 ~ 90 sq. in.

중(M)/대(L) 체형(150 ~ 200 lbs/68.03kg ~ 90.72kg) : 90 ~ 100 sq. in.

대(L)/XL 체형(200 lbs/90.72kg 초과) : 100 ~ 120 sq. in.

 

위의 권장사항과 함께 아래의 블레이드 크기에 따른 특징도 고려하면 좋을 것이다.

큰 블레이드는 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 큰 블레이드는 물을 많이 밀어낼 수 있다. 이는 강한 패들링이 가능하여 보드의 속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SUP 서핑 시에 큰 블레이드(100 ~ 120 sq. in.)는 몇 번의 강한 패들링으로 빠르게 파도를 탈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작은 블레이드도 효과적이다 : 작은 블레이드(80–90 sq. in.)는 큰 블레이드보다 물을 많이 밀어내지는 못한다. 그러나 큰 블레이드보다 물을 작은 힘으로 쉽게 밀어낼 수 있다. 이는 에너지 소모를 줄여 레이싱이나 장거리 투어링에 적합하다. 또한 근육이나 관절의 무리를 줄일 수 있다.


(2) 모양

블레이드 모양

블레이드의 모양은 패들이 물속에서 어떻게 움직이는 지와 얼마나 많은 힘들 받을 수 있는지에 영향을 미친다. 블레이드의 모양에 따른 패들링의 성능의 차이는 미세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경험을 통하여 선호하는 블레이드의 모양을 선택할 수 있다.

눈물방울(Tear-Drop) : 블레이드의 끝이 넓은 것으로, 블레이드를 물에 넣었을 때 큰 블레이드 면적을 사용하여 물을 밀어낼 수 있다. 이는 파워풀한 패들링이 가능하여 느린 케이던스나 강력한 패들링을 즐기는 SUP 서퍼나 패들러들이 선호한다.

직사각형(Rectangular) : 보통 눈물방울 블레이드보다 폭이 좁아 블레이드가 물에 들어갔을 때 닫는 면적도 작다. 따라서 몸의 피로가 덜하고 부드러운 패들링으로 케이던스가 높은 편이다. 

(※ 케이던스 Cadence : 특정 시간에 얼마나 많이 패들링을 하는지 측정하는 것으로 케이던스가 높으면 일반적을 속도가 빠르고 할 수 있지만 속도는 케이던스로만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요소와 결합이 된다.)


(3) 오프셋(각도)

패들 오프셋(각도)

오프셋은 블레이드가 사프트에서 기울어지는 각도를 말한다. 각도의 크기는 블레이드를 물속으로 넣을 때 블레이드의 수직 방향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패들링 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장비의 미세한 조정까지 신경 쓰지 않는 SUP 패들러라면 큰 고려대상은 아니다. 

패들러에 따라 패들링 스타일이 따른 몇 가지 권장사항은 아래의 내용 참고 바랍니다.

SUP 서핑 : 약 7도

SUP 레이싱 : 약 12도

이외의 일반적인 범용 : 약 10도


경험상 SUP 보드나 패들을 선택 또는 구매 시 가장 좋은 것은 여러 종류의 보드와 패들을 이용하여 해보는 것이다. 강이나 바닷가에 위치한 가까운 샵을 방문하여 렌탈 보드와 패들로 충분히 타보고 주위의 패들러와 경험을 공유하면서 나에게 적절한 보드와 패들을 구매하는 것이 최선이라 본다.



[그림/글 출처]

패들 명칭 THURSO SURF  https://thursosurf.com/blog/how-to-hold-sup-paddle/

REI and the REI Co-op - Expert Advise : Paddle Boarding Articles - How to Choose SUP Paddles

https://www.rei.com/learn/expert-advice/sup-paddles.html

케이던스 Cadence

https://supboardermag.com/2015/12/04/sup-cadence-what-is-it-paddle-stroke-paddlboaring/


매거진의 이전글 SUP 보드/패들 고르는 법-(1) SUP보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