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매트 Dec 27. 2023

워라밸이 중요한 MZ

kb 경영 연구소의 2023 한국 부자 보고서

최근에 그런 말을 들었었다. 본인은 애니, 드라마, 영화에서 가장 좋아하는 장르가 일상물이라는 것이다. 왜냐면 주인공은 보통 가족과 친구들과 좋은 시간을 보내며, 걱정이 없고 평화로운 삶을 사는 것 같고, 또 시련이 와도 금방 주위 사람들의 도움으로 이겨내고 극복하며 다시 평화롭고 여유로운 삶을 이어나가기 때문에. 그런 삶을 동경하고 그런 삶을 살고 싶어 본다는 것이다. 맞는 말일 수 있다.


여유롭고 평화로운 삶… 요즘 많이 쉬다 보니 그런 삶을 살고 있는 것 같다. 역시 나는 쉼이 필요했나? 쉬다 보니 조금 더 내 삶을 돌아볼 수 있고, 미루기만 했었던, 아니, 미룰 수밖에 없던 내 취미 생활과 하고 싶었던 모든 일을 할 시간이 생긴 것 같다.


나한테는 워라밸이 매우 중요한 것 같다. 열심히 사는 사람들도 많고, 돈을 위해 투잡, 쓰리잡을 뛰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지만 아직까지 나는 하고 싶은 것이 많기에 나의 행복은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는 자본과, 그걸 할 수 있는 시간, 그 중간에 자리 잡은 것 같다.


하고 싶은 일을 다 할 수 있는 자본과 시간은 어떻게 해야 공존할 수 있는 건가. 미래에 그게 하고 싶어서 사람들이 지금 투잡 쓰리잡을 뛰며 노력하는 건가? 휴... 인생은 참 어렵다.



2023년 한국 부자 보고서가 발행되었다.

https://www.kbfg.com/kbresearch/report/reportView.do?reportId=2000448


이 보고서를 요약하고 분석한 사람들은 참 많다. 나는 금융 전문가가 아니라 그냥 부자연습생이기에 (ㅋㅋㅋ) 분석한 보고서를 보고 느낀 점만 적어 보려고 한다. 일단 나는 호주인이기 때문에 어떤 내용은 나에게 중요하지 않고 내가 집중한 부분은 이 부분이다.


| 투자 유형

2022년 부자의 99%는 기타 자산을 투자했으며 2023년에는 부자의 무려 99.7%가 투자했다. 어디에 투자했나. 대부분의 부자들은 금과 보석에 투자했으며 그다음으로는 회원권에 투자했다. 역시 부자들의 세계는 회원권인가? 나는 알지도 못하는 세계에 부자들이 투자하고 수익을 내고 있었다니. 어쨌든 부자의 무려 99.7%가 투자했다니 나도 내년에 시드를 다시 모아 투자에 뛰어 들 생각이다. 아직은 savings 이자가 연 5.2~5.5%나 나오기 때문에 투자의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다. 안 그래도 최근에 마지막 남겨 둔 ETF가 52주 최고치를 찍어서 걍 팔아 버렸다. 이건 수익률을 보는 ETF가 아니라 분배금 위주 ETF라.... 많은 주를 가지고 있었다면 분배금을 위해 남겨 뒀겠지만 어차피 20주밖에 없어서 걍 뺐다.


| 자수성가형 부자

그다음으로 주목해야 할 것은 자수성가형 부자 항목이다. 자수성가형 부자들이 어디에 투자하고 어떻게 일을 해 부자가 됐는지 조사해야 하는 거 아닐까?


일단 40대가 될 때까지 부자 반열에 오른 사람이 22.5%밖에 되지 않는다. 흠... 난 40대에도 부자가 되긴 글렀군. ㅋㅋㅋ 괜찮다. 50대에 부자 반열에 올라도 되어도 40대부터 꽤나 먹고살고 즐기기까지 충분한 인생을 살고 있을 수 있을 것 같다.

그중 전문직 비율이 22.5%. 이건 망했으니까 제쳐 두고, 사무근로직으로는 7.1%... 그다음으로는 사업체 운영이 66.9%로 어마어마한 비율을 자랑한다. 게다가 금수저형조차도 47.5%가 사업체 운영으로 부를 쌓고 있으니, 진짜 부자가 되는 길은 사업밖에 없는 걸까? ㅠㅠ


다음은 종잣돈이다.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종잣돈, 시드머니가 필수이기 때문이다.

자수성가형이 생각하는 종잣돈 규모의 평균은 7억 원이었으며, 20대에 종잣돈(7억)을 모은 비율은 0%다. 알았다! 급하게 생각하지 않도록 하지! 30대에 7억 모은다! ㅋㅋㅋ 약간 현타 오는 부분이 평균적으로 금수저형은 2년이나 빠른 시기에 1.7억 원을 더 모았으며 이는 73%의 금수저가 부모의 지원/상속으로 인해서라는 게.... ㅎ 쨌든 이건 머릿속에서 치우고, 20.1%의 자수성가형 부자가 급여로 (근로소득) 종잣돈을 모았다니, 이는 얼마나 긍정적인 이야기인가! 물론 7억을 모은 건 아니고 대부분의 급여 종잣돈을 모은 사람들은 3억 미만의 종잣돈을 생각한 사람이겠지만, 어쨌든 3억 가보자구~


자수성가형이 종잣돈을 늘린 투자처는 금융자산이 가장 높았다. 주식 > 예적금 > 펀드 비율이며 부동산으로는 거주용 > 일반 아파트 > 재건축 아파트다. 상가, 토지 등은 금수저형에서 훨씬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마지막~ 당신은 당신이 부자라고 생각합니까?

45만 6천 명의 한국 부자들 중 선정된 저기 249 분~ 당신들 다 부자랍니다!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금융 자산 10억 이상 가지고 계신 분들입니다~! 선정된 부자들이 평균적으로 60%의 부동산 자산, 40%의 금융 자산을 가지고 있었으니, 10억의 금융 자산으로 턱걸이하신 부자래도 25억의 자산을 가지고 계신 분이신 거지. (물론 아니실 듯, 15억 부동산 자산에 10억 금융 자산을 가지고 계신 분이 어디 있겠어. 현금이 10억이면 당연히 대출 껴서 부동산을 하나 더 하시거나 부동산 자산 비율을 올리시겠지)




쨌든 내 맘대로 2023년 한국 부자 보고서를 뜯어봤고 나는 단기 목표 시드 3억장기 목표 부동산 구매와 사업 소득 만들기를 향해 달려 봐야지.


끝!

                     

매거진의 이전글 호주인들에게 50불의 가치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