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세환 Mar 28. 2021

그냥

잘지내지?

"여보세요"

"어 형! 오랜만이야"

"잘 지내지?"

"왠일이야? 전화도 다하고"

"그냥 했어. 잘지낸다고 다행이네. 그럼 끊어"

"뭐야...진짜..."

"ㅎㅎㅎㅎ"


가끔 후배에게 전화 한 통합니다. 그냥 했습니다. 잘지내나는 안부는 핑계거리이고. 너무 오랫동안 보지 못해서 문득 생각나서 전화를 했었네요. 


"여보세요"

"네. 000선생님이시죠"

"네. 누구세요"

"형 저 세환이에요. 임세환"

"어. 이XX 뭐야. 진짜 오랜만이다 잘지내지? 뭔일이야?"

"그냥 했어"

"뭐. 그냥?"


2005년에 형의 결혼식에 보고 한번에 보지 못했습니다. 부산에서 있은 형의 결혼식을 가려고 새벽에 나와서 집에 오니 12시가 넘었습니다. 그 때 이후 처음으로 전화를 했습니다. 그냥 형이 생각나서요


"어. 형"

"뭐야. 왠일이야. 잘지내죠? 이야. 진짜 오랜만이다. 형 페이스북이나 브런치는 잘 보고 있어요. 잘지내지? 나한테 전화도 다 주고.."

"그냥 했어"


이 아이도 정말 오랜만에 전화를 했었네요. SNS에서 보는 사진들을 보니 엄마를 쏙 빼닮은 모습에 그냥 핸드폰을 눌러보았습니다. 생뚱맞겠지만 "그냥" 눌러보았네요. 이렇게 마음대로 누르지 않으면 언제 소식을 전할 지 알리 없습니다.


"그냥" 했습니다. 가끔은 아무생각없이 "그냥"해보고 싶었습니다. 그리고 핸드폰을 누릅니다. 요새는 카카오톡으로, SNS로 소식들을 듣고 접하지만 수화기 저 건너 사람의 목소리를 듣는 건 여간 재미있는 일이 아닙니다. 학교선후배들, 친구들과의 대화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손안의 전화, 버튼 하나만 누르면 되는데, 뭐가 그리 어려웠을까요? 


과 동기인 친구는 그렇게 이야기하더라고요

"잘지내지? 야. 살아있었구나. 그럼 되었어."

"그래. 미안하다. 엄마아버지는 잘 지내지?"

"뭐..이 놈의 자식, 우리 엄마는 5년전에, 우리아버지는 10년전에 돌아가셨어. 나쁜 놈. 같은 서울바닥에 있으면서 연락할 길이 있어야지. 너한테 연락을 하지. 괜찮아. 지금이라도 연락해줘서. 고마워. 나 AAA 하고는 연락하고 있어. 가끔 그냥 전화해. 그냥"


그래 버튼 하나 누르는게 뭐가 그리 힘들었을까싶습니다.


2주전에는 카톡 하나가 왔습니다.

"형, 나 P인데 형 아직 가온감정평가법인에 있지? 송파? 나 형 회사 앞의 사무실에 일하러 왔어. 시간되면 봐"

카톡이 생긴이후로 처음으로 카톡을 한 후배입니다. 바로 전화를 했어요. 대학을 졸업하고 20년이 넘었네요. 전화기 저편 목소리는 그대로였습니다. 20년만의 목소리인데..참 반갑고 고마웠습니다. 





요즘 생각나는 사람들에게 전화를 합니다. 나름 스몰스텝 <시절인연>이라고 말도 붙여 놓았습니다. 일이 바쁠때는 건너뜁니다. 매일 할 수 있는 일도 아니고요. 가볍게 가볍게 그리고 생각날때 "그냥"해 봅니다.  삶이 퐉퐉하고 힘이 들 때 한 줄의 글이, 하나의 노래가, 한 마디의 위로가 큰 힘이 되는데요. "그 힘을 얻기 위해서 도", "보고싶기도하고" 그래서 그냥 해 봅니다. 너무 깊이 생각하면 주저할 수 있으니 생각나는대로 마음가는대로 버튼을 눌러봅니다.


아무 이유 없습니다.

마음이 가는대로 "그냥"해봅니다. 버튼을 누릅니다. 지금은 전화카드를 살 필요도 없는 시절이니까요.


비오는 아침, 문득 생각나는 사람에게 느닷없는 전화 어떨까요? 

"그냥 해본거야 잘지내?"라고 하면 그만이니까요.

행복한 아침되십시오



꽃다지 <전화카드 한장>
















매거진의 이전글 설레는 맘으로 하루를 열어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