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일타명리 Jun 27. 2024

명리학에서의 나는 무엇일까요?

불교의 무아(無我) VS 명리학의 사주팔자(四柱八字)



“이 세상에서 아무 조건에도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존재하는 것이 있을까? 아무 원인도 없이 존재하는 것이 있을까? 하나라도 예를 들어 보라. 그런 예가 있다면 그것은 연기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존재일 것이다.”


-미네소타주립대학 불교철학 강의, 홍창성-


불교철학자 홍창성은 존재란 생성, 지속, 소멸할 뿐 스스로 존재할 수 없다는 “연기의 가르침”을 설파한다.

“이 연기의 가르침은 자연스럽게 만물이 자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공의 성찰로 이끌어진다. 어떤 사물이 스스로 존재하지 못한다면 그 스스로를 스스로이게 끔 해 주는 본질의 속성, 즉 자성을 가질 수도 없기 때문이다.그래서 사물이 조건에 의해서만 생멸한다는 연기가 만물에 자성이 없다는 공의 가르침과 일치한다. 그래서 연기는 공이다”


이러한 이치는  명리학의 음양오행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밝음에 해당하는 양(陽)도 어둠에 해당하는 음(陰)의 작용으로 인하여 비로소 그 존재가 드러난다. 음양이 변화하는 과정의 운동성(運動性)을 상징화한 오행(五行) 또한 연기의 법칙의 예외일 수 없다.


목(木)의 중력을 거슬러 솟구치는 용출력(湧出力)은,

(오행 목 참조)

응고(凝固)된 물질에 해당하는 수(水)가

(오행 수 참조)


화(火)로 변환되는 과정에서

(오행 화 참조)


토(土)라는 중력(重力)을 거슬러

상승하는 운동 에너지(성질)이며,

(오행 토 참조)

금(金)의 응축력(凝縮力)과 충돌한다.

(금은 목을 극한다)

(오행 금 참조)


이처럼 목(木)의 운동성은, 화토금수의 운동성 없이 존재할 수 없다. 사주팔자는 이와 같이 상이한 오행으로 구성된 명주의 운동성(방향성)을 표기한 도식이다. 다시 말해서 사주팔자는, 나무, 쇠(바위), 흙과 같은 물질로서의 불변하는 고유한 성질을 갖춘 것이 아닌, 외부와 반응하는 운동성의 도식표이다.



그(홍창성)는 펜을 예로 들어 “공하다”의 “자성이 없음”을 설명한다.


 “여러분이 지금 쓰고 있는 펜을 보라. 그 펜을 펜이게끔 만들어 주는 본질, 내적 본성, 또는 자성은 무엇인가? 모양인가? 아니다. 이 세상에는 수없이 다양한 모양의 펜이 있으니까 어떠한 특정 모양 펜의 본성이 될 수는 없다. 그러면 잉크가 있어야 한다는 점일까? 그렇지도 않다. 왜냐하면 요즘 컴퓨터나 스마트폰 화면에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펜은 잉크 없이 쓴다. 특정한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이 이 펜의 자성인가? 이 또한 답이 아니다. 펜은 금속, 유리, 나무 등 참으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중략) 결국 펜을 펜이게끔 만들어 주는 내적 본성도, 외적 관계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펜은 안팎으로 공하다. “



그는 펜을 예로 들어 모든 사물의 공의 통찰을 설명한다. 바위를 바위이기 끔, 그리고 자동차를 자동 차이게끔 해 주는 내적본성으로서의 자성도, 또 불변하는 외적 관계도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사물은 자성 또는 본질을 갖는 것은 불가능하다. 불교에서는 사물에 적용되는 공의 관점을 모든 존재에게 공평하게 적용한다.


“나 스스로를 나 이게끔 만들어 주는 것이 무엇인가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자. 만약 그런 것이 존재한다면 그것이 나의 본질, 나의 자성, 나의 아뜨만이 될 것이다. 그러나 나 또한 다른 모든 사물과 마찬가지로 자성을 결여하며, 공할 수밖에 없다. 우리가 학기 초에 충분히 논의했듯이 그런 아뜨만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다른 사물로 향하던 공의 가르침이 나 스스로에게 적용되면 자연스럽게 붓다의 무아에 대한 가르침이 된다”



명리학의 사주팔자는, 나의 운동성(방향성)을 의미하지만 운동성(유동성)을 나의 존재로 규정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병(丙)화는 자신을 드러내어 발산하는 성향으로 10간 중 가장 개성이 강한 일간이다.

발산하려는 성향으로 인하여 자신의 감정 상태를 쉽게 드러내지만, 일간(병화) 주변에 사회성을 상징하는

재관(금수)의 세력이 강하면 병화의 고유한 특성(드러내어 발산함)은 약화된다.


(이어 보기)



작가의 이전글 남자는 왜 여자를 배신하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