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브런치 스토리
닫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브런치스토리 홈
브런치스토리 나우
브런치스토리 책방
계정을 잊어버리셨나요?
글 키워드
불교
명상
종교
깨달음
기독교
사찰
진리
사원
부처
박람회
미얀마
집착
천주교
괴로움
고려
절
신라
곤충
문화재
스리랑카
동양철학
유적지
전생
양산
수행
스님
파키스탄
석가모니
부처님오신날
국보
금강
더보기
글 목록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는 삶
추상화와 함께 읽는 힌두교와 불교의 세계관 I-2 . 시간
I. 멈추지 않는 윤회의 수레바퀴 I-2. 시간kala 현재 인도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쓰는 힌디어에서는 어제와 내일의 단어가 같습니다. 둘 다 깔kal이라 합니다. 고대 언어인 산스끄리뜨어에는 그렇지 않은 걸 보면, 중세 이후 고대에 있었던 어떤 시간 개념이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고대 언어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 수
댓글
0
1시간전
by
이광수
해우소가 뭘까?
근심, 걱정, 불안을 없애는 방법
해우소는 불교 용어로, 근심을 해소하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절에 있는 화장실을 해우소라고 부르죠.옛날 사람들은 볼일을 보면서 몸과 마음이 정화된다고 믿었던 것 같아요.더러운 것이 몸 밖으로 빠져나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그런 생각이 생기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을 해봅니다.여러분은 근심이나 걱정이 생기면 어떻게 하시나요?저는 근심과 걱정은 뇌 속
댓글
0
2시간전
by
김 신
라틴어 속 한국말
라틴어 natura에서 nature 가 나왔는데, 우리말 나투시다를 찾아보면 옛말이라 쓰지 않다가 불교경전을 번역하며 쓰였다고 되어있다. 모든 사물은 여래가 나투신 것이다. 부처 아닌 것이 없다. 이런 뜻으로 쓰인다. 그래서 우리의 고어 나투다 에서 natura가 나온 것 같다. 라틴어는 이탈리아 북쪽에서 쓰였다가 없어졌지만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모체가
댓글
0
11시간전
by
신갈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
브런치스토리 작가로 데뷔하세요.
진솔한 에세이부터 업계 전문 지식까지,
당신의 이야기를 세상에 선보이세요.
브런치스토리로 제안받는 새로운 기회
다양한 프로젝트와 파트너를 통해
작가님의 작품이 책·강연 등으로 확장됩니다.
글로 만나는 작가의 경험
작가를 구독하고, 새 글을 받아보세요.
당신에게 영감을 주는 작품을 추천합니다.
이전
1
2
3
다음
브런치스토리 시작하기
카카오계정으로 로그인
내 브런치스토리 찾기
내 브런치스토리의 카카오계정을 모르겠어요
페이스북·트위터로만 로그인 했었나요?
로그인 관련 상세 도움말
창 닫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