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인상파 Mar 30. 2024

간병일기 47

허깨비

허깨비


친정 식구들이 모여 둘째 언니네에서 점심 식사를 했다. 남편은 언니네를 식당으로 알고 가족 사진이 왜 식당 벽에 걸려있는지 모르겠다며 고개를 갸웃거린다. 식당이 아니라 언니네라고 알려줬더니 그러느냐고 놀라는 눈치다. 


친정 엄마는 내일 시골로 내려가시겠단다. 마지막이 될지 모를 사위 얼굴을 보러 오셨다. 자식들이 오순도순 모여있어도 속 편하실 자리가 아닐 것이다. 평소와 다를 바 없는 대화가 오고갔지만 다들 거기에는 의도된 부자연스러움이 있었다. 다들 아무 일 없는 것처럼 행동했지만 분위기는 사뭇 어색하고 불편했다. 


남편이 허깨비 같다. 남편의 존재를 예민하게 의식하다 보면 그런 나조차도 존재하지 않은 사람 같다. 허깨비가 된 남편을 따라 허깨비가 된 기분이다. 반년 전에는 이러지 않았는데, 내게도 고요가 있었고 평온이 있었다. 뜬구름 같은 소리지만. 다시 그 세계로 돌아가지 못하리라. 


남편의 질환이 심해질수록 죽음의 공간을 기웃거리게 된다. 이 도저한 두려움으로부터 벗어날 수가 없다. 구멍 뚫린 가슴으로 삭막한 바람이 오간다. 내 영혼은 불안으로 얼어붙었고 그불안으로 동사될 것만 같다. 어느 별을 사모한 적이 있었던가. 바람 따라 이리저리 부유하다가 이 한 몸 누이고 싶었을 뿐. 이토록 엄습한 불안에 시달릴 줄이야!


지금은 이 끝 모를 불안과 우울감에서 벗어나고 싶다. 남편을 잃어간다는 두려움에서 벗어나고 싶다. 살아있으나 살아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없어 공허하다. 마흔 둘, 사람의 수명으로 쳐도 반평생을 지나왔는데 겨울 들판의 나목이 되지 못하고 강바람에 흔들리는 갈대밖에 되지 못했다. 흔들흔들 갈대는 언제까지 흔들릴 것인가. 아이들은 또 어찌하고.( 2011년 1월 16일 일요일 )

작가의 이전글 간병일기 46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