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AI폰의 시대.
삼성전자 모바일경험사업부 임직원들은 요즘 '스마트폰'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는다고 한다.
대신 갤럭시 모바일 기기를 인공지능(AI)폰으로 부른다.
왜 갑자기 스마트폰을 인공지능 폰이라고 부를까?
바로 오는 17일 CES 2024에서 공개할 갤럭시 S24때문이다.
갤럭시 S24는 실시간 번역, 실시간 외국인 통화 및 번역, 무(無) 인터넷 검색 서비스를 탑재한다고 한다.
이 말인 즉슨, 삼성의 OS에서 구글과 각종 번역기 앱이 필요가 없어질 수도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게 가능한 이유는, 갤럭시 S24엔 삼성판 Chat GPT인 가우스가 담겼기 때문이다.
가우스는 머신러닝 기반 삼성 자체 제작 생성형 AI로, 텍스트를 생성하는 언어 모델,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모델,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모델 3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성전자는 새해부터 가우스를 전사 업무에 적용하여 내부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가우스를 통해 삼성전자는 갤럭시 S24에 온디바이스 AI를 탑재하였다.
온디바이스 AI란 인터넷과 클라우드로의 연결 없이 기기 자체적으로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기술로 TV, 스마트폰, 가전 등의 기기에 연결되어 사용자 맞춤형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올해, 온디바이스 AI의 시대가 열리는 것이 전문가들의 정설이다. 오는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 가전 전시회 CES 2024의 화두가 바로 온디바이스 AI이기 때문이다.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한 고성능 AI를 통해 인터넷 연결 없이도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 기술이 올해를 기점으로 상용화될 예정이다. 그 예시가 앞서 언급한 갤럭시 S24이다.
이러한 상용화를 통해 전자업계에선 온디바이스 AI발(發) IT업계 빅뱅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왜냐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생산이 한 몸으로 묶이며 삼성전자 등 제조업체의 구글 의존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때문에, 애플, 구글, 아마존 등 빅테크 기업부터 샤오미, 오포, 비보 등 중국 스마트폰 업체까지 사활을 걸고 온디바이스 AI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삼성전자의 구글에 대한 의존도는 생각보다 꽤 영향이 컸다.
현재 스마트폰 출하량은 삼성이 20%로 1위, 애플이 16%로 2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매출은 삼성이 17%, 애플이 43%로 꽤나 큰 차이가 보였다. 전문가들은 그 이유를 OS로 꼽는다. 애플은 자체 OS인 iOS를 통해 아이폰에 최적화된 앱만 골라 탑재할 수 있는 점을 살려 프리미엄 전략을 구사했지만, 구글 OS를 빌려쓰는 삼성을 그럴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온디바이스 인공지능은 삼성전자에 이 모든 난제를 한 번에 풀 수 있는 만능키로 평가된다. 스마트폰 주인의 사용 습관을 속속들이 알고 있는 똑똑한 AI가 주인이 원하는 정보를 알아서 떠먹여 주는 만큼 구글 의존도가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온디바이스 AI가 상용화된다는 것, 즉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의 도움 없이 스스로 생각하는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가 나온다는 것은 새로운 시장이 열린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폰 주인의 사용습관을 AI가 실시간으로 학습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인터넷 연결이 필요없는 만큼 정보처리 속도가 빨라질 것이고 보인 걱정도 사라질 것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시장 조사 업체인 IDC는 온디바이스 AI시장이 올해를 기점으로 빠르게 확대되어 2027년엔 15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은 오는 17일 CES2024에서 공개할 갤럭시 S24를 AI폰으로 정의, 유럽연합지식재산청과 영국지식재산청에 AI폰 관련 상표 등록을 마쳤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시장 조사 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가 2년간 AI폰 시장에서 50%에 가까운 점유율로 압도적 1위를 이어갈 것이라 예상했다.
하지만, 삼성의 독주를 다른 경쟁자가 바라보고만 있지는 않을 것이다.
애플은 올 하반기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를 심은 아이폰 16시리즈를 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업체들은 아직 미완성이지만 온디바이스 AI를 내건 초기 형태의 스마트폰을 출시했다. 샤오미의 샤오미 14가 대표적이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는 올해를 기점으로 AI폰 붐이 일어날 것이며 2027년에는 전체 시장의 40%인 약 5억 2200만 대가 AI폰일 것이라 예측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온디바이스 AI의 영역이 단순히 핸드폰에만 머물것은 아니라고 보고 있다.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과 차세대 모바일 기기로 불리는 XR(확장현실) 헤드셋으로 넓어질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온디바이스 AI가 왜 갑자기 화두에 오르게 되었을까?
이는 기존 생성형 AI가 가진 문제점을 생각해보면 된다.
생성형 AI을 활용하기 위해선 고도화된 광역 데이터 센터 운영 및 초고속 통신 기술 구현이라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이는 생성형 AI의 광역 상용화 확선의 결정적 한계로 작용하였다. 게다가 대형 데이터 센터들의 정보들을 완벽하게 지킬 수 있는 보안 기술의 실현이 완벽하지 않다는 것이 단점이었다.
이를 해결한 것이 온디바이스 AI다.
온디바이스 AI는 대형 데이터 센터에서 AI 기술 실현을 위해 처리해야하는 작업의 일부를 스마트폰, 태블릿 PC, 차량 등의 기기로 분산시키는 작업을 기반으로하여 데이터 센터의 운영비용을 절감시켰다. 이에 따라 조금 더 개인화된 AI 수요에 대응할수 있는 것이 온디바이스 AI의 장점이며, 개별 디바이스에 대한 보안은 그 기술의 구현이 어렵지 않다는 점에서 생성형 AI의 단점을 상쇄시켰다.
이러한 온디바이스 AI 시장이 화두가 됨에 다라 반도체 시장에도 새로운 기회를 몰고 왔다.
온디바이스 AI를 실현하기 위한 전용 반도체 수요가 상승함에 따라 SK 하이닉스는 모바일 온디바이스 AI에 최적화된 D램 LPDDR5T(Low Power Double Data Rate 5 Turbo)를 선보였다.
해당 D램은 초당 9.6GB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현존 최고속 모바일용 D램이다.
SK하이닉스는 LPDDR5T 16GB 패키지를 글로벌 고객사에 공급하기 시작했고 이 패키지는 1초에 77GB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인 비보에 납품하고 있으며 비보는 자사의 최신 스마트폰 X100, X100 Pro에 해당 램을 탑재했다고 발표했다.
LPDDR5T에 대해 SK하이닉스 박명수 부사장은 “AI 시대의 도래로, 스마트폰은 온디바이스 AI가 구현되는 필수 기기로 부상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고성능, 고용량 모바일 D램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이며, 당사는 이러한 시장 변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적 스마트폰과 모바일 반도체는 온 디바이스 AI에서 수요 창출의 가능성을 기대하기 시작했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기반으로 한 폼팩터(하드웨어)의 변화 이상으로 좀처럼 진전되지 않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혁신은 온 디바이스 AI를 통해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오늘은 내가 잘 모르지만, 꽤나 흥미있어하는 주제인 AI에 대해 다뤄보았다.
읽어도 읽어도 이해가 잘 가지 않고, 어려운 내용들이 많지만, 반드시 알아야한다.
세상은 지금 AI를 중심으로 변해가고 있다.
특히, 데이터와 관련된 작업들도 점차 AI가 수행하게 된다고 한다. 점점 내가 설 자라기 사라지고 있다...
갤럭시 S24와 아이폰 16이 상용화된다면 이제 누구나 "난 나만의 AI를 가지고 있어!"라고 말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할 것이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적응하고 받아들여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