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루케테 Aug 16. 2024

좋은 세상을 만들겠다며 통제하는 명분 아래 감춰진 위선


사람들은 종종 타인을 통해 자신을 바라봅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단순한 심리적 반사작용이 아닙니다. 우리가 타인을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가는 곧 우리 자신의 내면을 드러내는 거울이 됩니다. 예로부터 전해오는 이성계와 사명대사의 일화에서도 이러한 심리가 잘 나타나듯, 사람들은 타인을 통해 자신의 본성을 반영하고, 그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합니다. 이러한 행동 패턴은 현대 사회의 다양한 영역, 특히 정책 결정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인간은 자기 인식을 타인에게 투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투사 메커니즘은 자신의 성격적 특성, 감정 상태, 가치관 등을 무의식적으로 타인에게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타인의 행동을 해석하고 평가하며, 동시에 자신의 내면을 드러냅니다. 인간은 누구나 양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양심은 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평가하고, 그에 따라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인식하게 만듭니다. 이에 따라, 의식적으로는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부정하더라도, 자신의 양심은 자신이 선한 사람인지 악한 사람인지를 압니다. 그리고 이러한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을 타인에 투영하기도 하는 거죠. 예를 들어, 자신을 선하다고 생각하면, 타인도 선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고, 자신을 악하다고 생각하면, 타인도 악하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타인에 대한 인식은 단순한 개인의 성향을 넘어, 정책 결정 과정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사람을 신뢰하는 관점에서는 자율성과 책임감을 강조하는 정책이 우선시됩니다. 이러한 정책은 인간의 본성을 선하게 보고, 사람들이 자율적으로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믿는 데서 출발합니다. 이와 같은 접근은 신뢰를 기반으로 한 사회적 계약의 형성을 촉진하고,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합니다.


반면, 사람을 신뢰하지 않고 부정적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통제와 감시를 강화하는 정책이 주를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정책은 사람들을 본질적으로 이기적이거나 부정직한 존재로 간주하며, 그들을 통제하지 않으면 사회가 혼란에 빠질 것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합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정책은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고,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통제'와 '책임'은 다릅니다. '책임'은 자율성에 따라 오는 것임에 반해, '통제'는 자율성마저도 억제하는 걸 말합니다.




사람들을 통제하려는 이들은 타인을 나쁘게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오해나 편견이 아닙니다. 이러한 시각은 그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자신의 내면에 대해 어떤 판단을 내리고 있는지와 깊이 연관되어 있습니다. 타인을 나쁘게 보는 사람들은 사실 자신의 내면을 깊이 들여다보았을 때, 자신이 나쁜 사람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들은 스스로의 행동과 생각이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도 그와 비슷하게 부정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게 됩니다. 이러한 내면의 불안과 자기 혐오는 결국 타인을 나쁘게 보게 하고, 더 나아가 그들을 통제하려는 욕구로 이어집니다. 


그러나 이 통제 욕구는 아이러니하게도 그들이 비난하는 '나쁜 사람'의 행동과 유사합니다. 타인을 나쁘게 보고, 그들을 통제하려는 사람들은 결국 자신의 부정적인 내면을 타인에게 투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들은 올바른 세상을 만들겠다고 주장하지만, 그 과정에서 자신이 나쁜 사람이라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려 하며, 오히려 자신이 비판하는 부정적 행동을 재현하게 됩니다. 그래서 통제를 강화하려는 사람일수록 실제로는 더 나쁜 사람일 가능성이 높은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결국, 타인을 나쁘게 보고 그들을 통제하려는 이들은 자신의 부정적인 내면을 부정하고, 이를 외부로 투사하는 과정에서 더 큰 위선을 드러내게 됩니다. 이들은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도덕적 결함을 타인에게서 찾고, 이를 통제하려고 함으로써 자신의 불안과 죄책감을 해소하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오히려 자신이 지적했던 부정적인 특성을 강화하고, 더 큰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사람들을 통제하려는 시도는 궁극적으로 올바른 사회를 만드는 데 기여하지 못합니다. 오히려, 그들은 자신이 비난하는 나쁜 행동을 반복하고 강화하게 됩니다. 이들은 자신의 내면을 직시하지 않음으로써 진정한 변화의 가능성을 차단하고, 그 결과로 사회에 더 큰 해악을 끼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인간의 본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신뢰가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 데 필수적입니다. 통제가 아닌 자율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한 접근이야말로, 우리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 더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진정으로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사회를 건설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타인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고, 그 인식을 바탕으로 사회를 형성합니다. 타인을 신뢰하고, 그들을 선하게 보려는 노력이야말로 진정한 사회적 발전을 이끌 수 있습니다. 통제가 아닌 자율성을 기반으로 한 사회는 더 큰 신뢰와 협력을 가능하게 하며, 인간 본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사회 전반에 퍼질 때 우리는 비로소 올바른 세상을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사람을 나쁘게 보고 통제하려는 시도는 결국 그 시도 자체가 나쁜 결과를 낳을 수밖에 없습니다. 반대로, 사람을 선하게 보고 신뢰하는 태도는 인간의 본성을 긍정적으로 끌어올리고,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힘이 됩니다. 우리 모두가 타인에게 비친 자신의 모습을 통해 스스로를 성찰하고,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거지근성을 가진 사람들의 왜곡된 접근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