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란화의 시대는 끝났고 이제 지구는 끊는 시대에 ㅈ
지구온난화를 처음으로 제기한 사람은 스웨덴의 물리화학자 스반테 아레니우스 교수로서 노벨화학상 수상자이기도 합니다. 그는 기후 변화와 관련하여 중요한 기여를 한 인물로서, 이미 1896년에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에 증가할 경우 지구 온도가 상승한다는 이론을 처음으로 제안하였습니다.
학자들은 아레니우스의 예측을 배경으로 하여 온실 효과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였고, 결국 1972년 로마 클럽 보고서에서 처음으로 지구온난화에 대한 언급이 등장하였습니다. 이렇게 과학자들 사이에서 언급된 지구온난화 문제가 인문·사회과학자들까지 참여함으로써 전 지구적 문제가 된 것입니다. <총·균·쇠>의 저자 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는 10년 전, <나와 세계>라는 저서에서 ‘세계가 직면한 중요한 문제’ 중, 첫 번째로 ‘지구의 기후 변화’를 들었습니다. 여기에서 현재의 예측보다 지구가 훨씬 빠른 속도로 뜨거워질 가능성이 무척 높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매년 우리나라의 소비 트렌드를 전망하는 서울대 김난도 교수 등 ‘트렌드 코리아’ 팀은 내년(2025년) 키워드를 발표했는데, ‘옴니보어’(여러 분야에 관심을 갖는다) 등 10개의 트렌드 중에서 저는 ‘기후 감수성’에 주목하게 되었습니다. (이하 논의의 상당 부분은 김난도 외 <트렌드 코리아 2025> 305~330 참조)
기후 감수성은 기후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그 해결책을 위해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기후 변화가 언젠간 다가올 수도 있는 미래가 아니라 당장 해결해야 할 ‘현존하는 위험’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합니다.
사실 기후 위기에 대한 경고는 그간 꾸준히 언급되어 왔고, 쓰레기를 줄이는 ‘제로웨이스트’ 운동이나 버려진 제품을 다시 탄생시키는 ‘업사이클링’ 소비 운동을 해왔습니다. 특히 ‘탄소 중립’ 실천 운동은 범국민운동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4년 전부터 새마을운동중앙회에서는 ‘탄소중립 실천 수칙’을 만들어 국민운동으로 벌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기후 위기는 이러한 운동에서 한 걸음 나아가게 만들었습니다. ‘천 년만의 대홍수’ ‘백 년만의 폭염·폭설’ 등 달갑지 않은 기록 경신이 계절마다 반복되면서, 사람들은 기후 위기를 일상 속 나의 문제로 가깝게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2023년 7월, 유엔은 지구온난화 시대의 종말을 선언하고, ‘끓는 지구’의 서막을 알렸습니다. 최근 기후 변화의 주기가 짧아져서, 지난 100년 만에 지구 평균 기온은 0.6℃ 상승했습니다. 약 1만 년 전 농경이 시작된 후 지구 온도가 이렇게 올라간 적은 없었습니다. 세계기상기구 (WMO)는 2024년 7월 21일, 지구 역사상 가장 뜨거운 날이 찾아왔다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 보도가 나온 지 24시간도 되지 않아, 이 기록을 넘어선 17.15℃가 관측되었습니다. 단 하루 만에 더위 신기록이 경신된 것입니다. 이처럼 몇십 년 만에 한 번 경험할까 말까 했던 역대급의 기상이변을 매년, 아니 매일 경험하게 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세계 기후변화 진단서’라 불리는 세계기상기구(IPCC)의 6차 보고서에는 비극을 막는 ‘골든타임’이 정말 얼마 남지 않았으며, “2025년을 정점으로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들지 않으면 우리는 기회를 놓치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였습니다.
이에 김난도 교수 등이 펴낸 <트렌드 코리아 2025>는 소비자는 적극적인 기후 행동을 실천하고, 사회는 기후 복지 시대를 준비해야 하며, 다가오는 2025년 마지막 골든 타임을 앞두고 달라진 지구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한 모두의 기후 감수성이 절실히 필요한 시대라고 강조하는 것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