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피터정 Nov 18. 2024

일에서 소프트랜딩(Soft Landing)하기

정상에 오르는 것만큼 내려오는 것도 중요하다

모든 일에는 시작과 끝이 있다.

 

삶의 시작은 주어 지나, 끝은 주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일은 상황 따라 시작과 끝이 다르다.


예를 들어, 같은 날 같은 직장생활을 시작한 두 사람이 있다고 치자. 한 사람은 10년 만에 그만두고 다른 한 사람은 정년퇴직했다면 각자의 그 직장에서의 시작은 같았으나 끝은 달랐다고 할 수 있다.


10년 만에 그만둔 사람이 사업해서 정년 없이 더 길게 수도 있다.


상황이 다르니 둘을 동일 선상에서 비교할 수 없다. 차이는 일을 그만두는 것에 대한 ‘자율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일의 시작과 끝을 등산으로 비유해 볼 수 있다.


한 사람은 산을 오를 때 정상까지 케이블카를 타고 직선으로 올라갔다. 빠르고 편리했으나 산길을 경험하지 못했다. 다른 사람은 같은 산의 정상을 등산로를 이용했다. 케이블카보다 느리고 힘들지만 나름대로 산길을 오르며 다양한 경험을 했다. 두 사람 모두 정상에 올랐으나 어느 방법이 좋다고 할 수는 없다. 사람마다 입장과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처럼 누구나 각자의 상황에 맞는 정상에 오른다. 문제는 내려오는 것이다. 스스로 내려올 때를 정할 수도 있고 타의에 의해서 정해질 수도 있다. 정답은 없으나 그 결과는 스스로 받아들여야 한다.   

  

비행기가 목적지를 향하여 이륙하고 비행을 하다가 안전하게 착륙하는 것을 ‘소프트랜딩(Soft Landing)’이라고 한다. 전체비행에서 이때가 가장 중요한 것처럼 일에서도 마찬가지다. 한국어 격언에 ‘끝이 좋아야 다 좋다’는 말도 있다.    

 

그러나 적지 않은 사람들이 스스로 일을 내려놓는 것을 어려워한다. 아마도 정상에 힘들게 왔으니 좀 더 즐기기를 원하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샤프(Sharp)가 부른 ‘연극이 끝난 후’라는 노래를 좋아한다.


   

“연극이 끝나고 난 뒤

혼자서 객석에 남아

조명이 꺼진 무대를

본 적이 있나요

         

음악 소리도

분주히 돌아가는 세트도

이젠 다 멈춘 채

무대 위엔

정적만이 남아있죠

어둠만이 흐르고 있죠  

        

배우는 무대옷을 입고

노래하며 춤추고

불빛은 네온을 따라서

바삐 돌아가지만    

      

끝나면 모두들 떠나버리고

무대 위엔

정적만이 남아있죠

고독만이 흐르고 있죠

         

연극이 끝나고 난 뒤

혼자서 무대에 남아

아무도 없는 객석을

본 적이 있나요

         

힘찬 박수도

뜨겁던 관객의 찬사도

이젠 다 사라져

객석에는

정적만이 남아있죠

침묵만이 흐르고 있죠  

        

관객은 열띤 연기를 보고

때로 울고 웃으며

자신이 주인공이 된 듯

착각도 하지만

끝나면 모두들 떠나버리고

객석에는

정적만이 남아 있죠

고독만이 흐르고 있죠

정적남이 남아 있죠

고독만이 흐르고 있죠"    


이 한 편의 시와 같은 노래를 들을 때마다 우리의 삶이 한 편의 연극이고 배우 같다는 생각을 떨칠 수 없다.

      

연극이 끝나면 배우나 관객이 모두 각자의 감정을 가지고 공연장을 떠난다. 배우와 관객은 그 감정이 다를 것이다.


일터를 그만둘 때 자신이 그곳의 배우였고, 주인공이었다고 생각한다면 좀 더 미련 없이 떠날 수 있지 않을까? 만약 관객이었다면 미련이 많이 남을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분들이 아직 일터에 있다면, 자신이 배우라 생각하고 일하면 좋겠다. 어떤 배역을 맡았든지 관객이 아닌 배우라는 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