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피터정 Apr 26. 2024

일상의 디자인 : 디자인 작업을 즐기는 방법

삶에도 디자인 작업에도 정답은 없다.

     

나는 디자인을 전공하고 다양한 디자인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다.


디자인은 정답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서  학생 때는 나의 디자인이 과연 어느 정도 수준인지가 궁금했다.  내가 잘하고 있는 건지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웠다.


학점으로 판단할 수도 있었지만, 그것만으로는 객관화하기가 어려워서 디자인 공모전에 많이 참가했다.

입상을 하면 그래도 내 디자인이 인정받는 것 같아서 잠시 우쭐하기도 했지만 입상하지 못하면 좌절하기도

했다.  대학을 졸업하고 기업에서 실무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나는 프로다”라고 스스로

다짐하며 더 좋은 디자인결과물을 위하여 시간과 정성을 쏟아부었다.    

 

어느 정도 스스로 만족한 결과물이 나와도 의사결정권자의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 ‘다시’를 반복해야 했다. 가끔 내가 하는 일이 금맥을 발견하려고 삽질하는 것 같다는 생각도 했다.  


그중 디자인을 하면서 가장 어렵고 스트레스받는 요인은 어김없이 찾아오는 ‘마감시간’이다. 시간에  맞추려다 보니 밤에 잠을 못 자거나, 주말 없이 일을 하는 경우도 많았다.

   

어느덧 이런 시간들이 쌓여 나만의 디자인스타일이 만들어지고 나름대로의 디자인철학도 생겼다.

그때쯤  다른 디자이너들의 스타일과 철학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했다. 어느 정도 인정받는 디자이너들은 자신만의 스타일이 있다.  

    



노벨상수상자 네루다 시인은 인생을 “모호하면서 명료하다”라고 했다. 모호함 이란 사람들의 삶이 예측불가의 제각각이란 의미이다. 명료함은 사람은 한번 태어나고 죽는다는 것이다.  간단하지만 울림이 있다.


이 표현을 나의 디자인작업에 적용하면 '디자인의 결과물은 정답이 없지만 마감이 반드시 마감이 있다'라고 할 수 있다. 시작과 마감 안에서 주어진 시간은 절대적으로 디자이너의 시간이다. 이 때는 한번 사는 인생처럼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변수들에 의해서 작업의 결과물이 완성된다.

     

나는 지금 디자인작업에 마감이 있다는 것에 감사한다.


비록 마감을 맞아 스스로 만족하지 못한 결과물을

제출하더라도 너무 실망하지 않으려고 한다.


다음 프로젝트에서 만족한 결과물을 얻으면 된다.      


그러나 삶은 그 끝을 모른다는 함정이 있다.

에 비하면 처음부터 마감이 정해진 디자인작업은 삶에 비해 한결 가볍다.    

 

만약 삶에 끝이 없다면 어떨까?      

디자인작업에도  마감이 없다면  너무 지칠 것이다.

그래서 마감이 있음에 감사해야 한다.  


삶에 끝이 있는 것처럼 디자인작업도 마감이 있다.

이 사실을 기억하고 주어진  시간에 삶을 즐기듯이 디자인작업도 즐겼으면 좋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일상의 디자인 : 참여하는 미술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