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동영 글쓰기 Nov 28. 2024

댓글도 글쓰기다

익명성에 숨어서 자유로운 댓글을 남기는 게 진정 표현의 자유일까? 실명과 얼굴, 직업·활동이력을 밝힌 사람에 대고 일방적으로 조롱하는 게 정당한 비판이라 말할 수 있을까? 설마 정보를 공개한 사람이 강자라고 생각하는 건가? 솔직해지자. 그 취약점을 공격하려는  아니?

글쓰기를 '잘'하는 것이 '유려한' 것이라고만 생각하면 오산이다. 글쓰기는 '개념'있게 하는 거다. 너무 기본이지만, '예의를 갖춰서' 하는 거다. '상식선을 지키며'하는 거다.

댓글도 글쓰기다.


글 하나 써서 올리는 데 빠르고 편하게 키보드 몇 번에 버튼 한 번 띡- 누르면 할 수 있다고 해서 글을 쉽게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접근성이 높은 건 개인의 입장일 뿐이다. 타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모든 행위는 최소한의 에티켓 지켜야 한다.


가정과 학교에서 안 가르쳐 주었다 한들 이 시대에 상식은 스스로 터득해야 성인이다. 온라인에 이렇게 전 지구인 누구나 스마트폰과 와이파이만 있다면 터치 몇 번으로 즉시 자기 생각과 느낌을 표현할 수 있게 된 지가 불과 15년 정도밖에 안 다. 카카오톡이 2010년 3월에 출시되었고, 페이스북 홈이 2013년에 출시됐다. 20년도 되지 않게 전 국민이 다 스마트폰을 보유한 통계치가 나오는 작금의 시대에, 댓글은 너무도 쉽게 작성되어 우후죽순 올라온다. 꼭 심한 육두문자를 써야만 악플이 아니다.


얼굴이 조금만 알려지거나 정보를 노출한 사람에겐 득달같이 달려든다. 예쁜 말을 하면 온몸에 두드러기가 나는 사람들이 있는 것만 같이.

내 글에 댓글로 딴지를 거는 것까진 오케이 한다 치자, 그럼 위트가 있든지 논리가 있든지, 새로운 정보가 있든지 나랑 친분이 있든지 해야 하지 않을까?

밑도 끝도 없이 멍청한 티를 내라고 만든 곳이 온라인 댓글창이 아니다. 멍청한 사람이 온라인에 있는 게 아니라, 글을 멍청하게 써서 자신을 이상하게 드러내는 사람이 온라인상 눈에 띄는 거였다. 밖에서 보면 평범한 사람이 댓글만 달면 왜 멍청한 말을 하지?라고 던진 사유의 결론이다.


소수의 이야기라고 치부해 왔는데, 아무 생각 없이 단 댓글 하나가 사람을 죽일 수도 있고 살릴 수도 있다는 걸 이제는 다 아는 세상이지 않나. 20년 안에 댓글 여론으로 죽은 유명인이 몇 명이며, 미디어에 나오지 않았어도 작은 사회 안에서 개인정보로 매장당한 이들이 얼마나 많은가.


댓글도 글쓰기다.

이 글을 클릭해 읽는 정도의 사람들은 굳이 읽지 않아도 알아서 지키고 있다. 어쩌면 바뀌지 않는 가장 큰 문제는 여기에 있을지도 모르겠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