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예림 Jun 14. 2024

있는 그대로 찬란한, 사랑의 모양

영화 “the shape of water” 리뷰

별나고 불완전함을 모르는, 있는 그대로 찬란한 사랑의 모양.


말 못 하는 청소부와, 남미에서 신으로 추앙받는 존재라며 포획된 양서 인간이 미 항공우주연구센터의 비밀 실험실에서 조우한다.


벙어리 청소부 일라이자는 타인과 다른, 갇혀있는 양서 인간이 자신과 비슷한 “존재”라는 것을 느낀다. 음악과 춤으로 교감하고, 갇힌 세계의 문명을 사랑을 담아 전한다.


영화 속에서는 <차별>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드러내는 장치- 흑인과 백인의 구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구도, 인간과 괴생물체의 구도가 드러나고, 편견과 차별을 가지고 상대를 대하는 인물과 평등하고 개방적인 인물들이 드라마틱한 상황스토리를 전개한다.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모습을 지향하는 성향은,

불완전함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데에도 저항을 겪는다.

나는 때때로 내면의 불완전성이 올라오면,

참을 수 없을 만큼 나를 자책하고 못살게 군다.


일라이자와 양서인간의 사랑은 그래서 참 찬란하게 다가온다.


“내가 불완전한 존재란 걸 모르는 눈빛이에요. 나를 있는 그대로 봐주니까요.”


가능할까.

서로를 있는 그대로 본다는 것이.

온전함으로 향하는 지향을 놓고 언제나 그때, 그때의

있는 그대로를 사랑하는 것이 가능한 걸까.


우주의 펄스는 지금 12번 유전자키를 지나고 있다.

오늘은 12.2의 날이다.


12번 유전자키의 그림자는 허영심- 선물은 차별- 시디는 순수성이다.


엘리트주의에 입각한, 혹은 우월주의에 입각한 허영심으로 세상에 멋진 모습만을 보여주려는 허영심은, 역설적으로는 정말 멋진 것, 즉 본질에 대한 분별력을 발달시킨다.


소위 “진정성”, “본질” 등이 무엇인가에 대해 탐색하는 시선이 예리하게 벼려지는 것이다. 결이 맞는 사람이나 환경 등을 찾아 자기 취향으로 차별하는 모습은 어쩌면 성장을 위해 나아가는 구도의 여정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별의 여정 끝에, 사실은 형식이나 태도는 그저 껍데기일 뿐, 진정한 본질은 그저 순수함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양서인간인들, 말 못 하는 사람인들, 무엇이 중하랴! 그들이 마주하며 나누는 눈빛, 있는 그대로 교감하는 심장의 박동, 존재와 존재를 잇는 에너지의 진동. 그 모양이 어떻든 그것은 그저 순수한, 사랑인 것이다.


________


The Shape of Love: Unusual and Unknowable Imperfection


A mute janitor and an amphibious man, worshipped as a god in South America, meet in a secret lab at NASA's research center.


Eliza, the mute janitor, senses that the amphibious man, trapped and different from others, is a "being" similar to herself. They communicate through music and dance, sharing the love and civilization of their confined world.


In the film, <discrimination> is vividly and concretely portrayed—between blacks and whites,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humans and monsters. Characters who treat others with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nd those who are equal and open-minded drive the story.


The inclination to embrace positive and desirable traits faces resistance in accepting imperfection as it is. When my inner imperfections surface, I sometimes find myself unbearably self-critical and harsh.


This is why the love between Eliza and the amphibious man seems so radiant.


“He has eyes that do not know I am imperfect. He does see me as I am.”


Is it possible?

To see each other as we are?

To always love the present moment’s reality rather than striving for perfection?


The universe's pulse passes through the 12th period.

Today is the day of 12.2.


The shadow of the 12th gene key is vanity—the gift is discrimination—the siddhi is purity.


Vanity, based on elitism or superiority, aims to show the world only the best side, paradoxically developing discernment for the truly remarkable, the essence.


The search for what is called "authenticity" or "essence" sharpens this perspective. The selective discrimination toward people or environments that match one's preferences can be seen as a journey toward growth.


However, at the end of this journey of discrimination, one realizes that form and attitude are mere shells and that true essence is purity. What does it matter if they are amphibious or mute? The gaze they share, the heartbeat that communicates as it is, the vibration of energy connecting one being to another—regardless of its form, it is purely love.


#the_shape_of_water #허영심_차별_순수 #12.2의날

매거진의 이전글 나를 진정으로 용서해 줬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