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샐리 Jul 19. 2016

행복한 순간

4월 중순, 연구원에서 처음 일을 시작할 때, 박사님은 나에게 언제 가장 행복하냐고 물으셨다. 그런 질문을 태어나서 설문지가 아닌, 사람에게 직접 받아본 건 처음이었는데, 글쎄 '행복감'을 느끼는 순간이 구체적으로 바로 떠오르지 않아서 박사님께 되물었다. 박사님은 '뭔가를 성취하거나, 남의 성장을 도와줄 때'라고 하셨다. 그러자 나도 "저도 아마 그런 것 같아요."라고 대답했다.



그 이후로 그 질문이 계속 맴돈다. '난 언제 가장 행복감을 느낄까?'



행복감이라는 주관적 감정이 가장 강렬하게 나타날 때는 '사랑에 빠졌을 때'지만(하나님이든 이성이든), 사랑'만' 업으로 삼을 수는 없으니까. 사랑은 평생 겸업기로 하고.



그 다음으로는 좋은 사람들과 마음이 딱 맞는 걸 느끼며 대화할 때. 애써 괜찮다 괜찮다 참아왔던 감정들을 편하게 다 쏟아놓고 서로 보듬다보면 정말 괜찮아져서 또 한참은 그 힘으로 든든히 버텨갈 수 있다. 정말 잘 맞는 사람을 찾기란 어려운 일이고, 또 상대에게 맞춰 주려는 습성이 몸에 배어있는지라, 편하지 않아도 만나야 하는 사람들과의 만남이 끝나고 나면 피로감이 몰려온다. 그렇기에 무조건 내편이 되어줄 편한 친구들과 맛있는 음식을 나누며 이야기할 때, 혹은 취향이 잘 맞는 영화를 볼 때, 이런 때가 참 소중하게 행복한 순간이다. 하지만 이것 또한 업은 못 될테고.






그러면, 관계 속에서의 행복감 말고 내가 어떤 행동을 할 때 행복한가? 곰곰이 생각해보니 난 내 생각을 글로 정리할 때가 가장 행복한 아니, 적어도 지속적으로 즐거움을 느끼는 순간인 것 같다. 고등학교 때도 가끔 일기를 썼는데, 주로 힘들 때였다. 하루는 그냥 몸이 좀 안 좋았는데, 친구가 '세모 아파서 어떡해'하는 말에 억억 울면서 조퇴한 적이 있다. 갑자기 왜 그렇게 누군가의 위로 내지 걱정에 덜컥 무장해제가 되었는지. 그런 날들에 내 일기는 쓰였다. 내가 가진 긍정적 태도는 태생적인 건지, 내 삶에 이해할 수 없는 상황들을 받아들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자기방어였는지, 일기들은 대개 다 좋아질 거라는 믿음과 기도로 끝이 났다.



대학생이 되고 난 뒤 나에게 글쓰기는 생소하게 겪는 온갖 다채로운 감정을 풀어내는 수단이었다.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는 감정을, 말로 해도 다 전해지질 않아서 혼자 까마득해지는 그 숱한 밤의 감정들을. 사건은 드러나지 않되, 감정만 글에 남도록. 밤을 새며 라디오로 새로운 노래를 듣고, 몰랑거리는 마음을 두 손을 꼭 쥐고 참아봤다가, 그냥 흐르는대로 놔뒀다가. 글로 쓰고나면 그제야 고개를 끄덕이면서 좀 가라앉곤 했다. '카타르시스'라는 게 이런건가 싶을만큼.



지금은 그만큼의 감정보다, 그냥 이런 저런 생각들을 적어내는 것 같다. 내 안에 그만큼 몰두할 만한 감정이 더 이상 없어서일 수도 있지만. 몇 개월 동안 골똘히 생각하는 사회현상에 대한 내 의견, 일상 생활에서의 단상을 글로 남기는 데 성취감을 느끼고, 계속 시간과 노력을 따로 들이게 된다.


일을 하면서 내가 글로 뭔가를 정리하는 걸 즐긴다는 걸 더 느끼게 됐다. 자꾸만 표로 정리하고 글로 정리해서 박사님께 내민다. 블로그에 캐쥬얼하게 포스팅할 때보다 재밌진 않지만, 목차를 세우고 내 생각대로 글을 쓸 수 있단 생각에 갑자기 신나는 내 자신을 보면, 그래 죽을 때까지 공부하는 게 맞는 것 같기도.



더 있는지 계속 찾아봐야지 나의 행복한 순간들. 지금도 음악을 틀어놓고 한 시간째 이 글을 쓰고 있다. 흠, 역시 강렬하진 않지만 은근한 즐거움이야. 포슬포슬하게 새로 막 지어 김 나는 쌀밥같이.



매거진의 이전글 신영복 선생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