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린블루 Sep 04. 2022

명품 산업은 왜 망하지 않는가



              명품을 구입하는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A] 가처분소득 즉, 현금 자산이 많아 명품과 같은 고가의 재화를 소비해도, 구매력이 하락하지 않는 계층 

[B] 신용을 담보로 미래 소득을 끌어와 소비하는 계층                                          


              계층은 달라도 같은 욕망을 가진다. 바로 과시욕이다. 그러나 더 중요한 건 과시욕 전에 어떤 감정이 명품 구매를 촉발하는가 이다.                                                A 계층은 부/명예를 나타내는 사회적 지위를 뽐내기 위해 명품을 구매한다.                                                  B 계층은 열등감에서 출발하여 명품을 산다.


              열등감이 많은 사람은 자기 과시로 스스로 느끼는 나보다, '남들에게 보여지는 나'를 더 신경쓴다.                                                보여지는 나는 sns로 퍼진다.                                                            sns로 '자신을 인정해주는 듯'한 반응은 보여지는 나를 신경쓰는 심리를 강화한다.                                                                                        내가 도달하고 싶은 수준으로 가기 위한 노력을 생략하고, 쉬운 길을 택하는 성향이 있다.                                                            가처분 소득을 '당장' 올리고 싶은 마음은 굴뚝 같지만 방법은 모르겠고, 내가 가지고 싶은 물건은 '당장' 내 현관문 앞, 백화점에서 손에 쥐고 싶다.                                                              가처분 소득을 올리는 노력 대신 나의 미래 소득을 빼앗아온다. 내 몸값, 벌어들이는 돈을 올리는 노력보다 신용카드 결제 버튼 한번, 신용 카드를 점원에게 건네는 행위가 상대적으로 매우 쉽다. 


 신용카드를 해지하고, 체크카드에 돈을 필요할 때마다 넣는 습관을 들이기 쉽지 않다. 더욱 소비습관을 a부터 z까지 점검하고 고정 지출을 줄인 뒤 예산을 잡아 소비하는 습관은 매우 쉽지 않다.                                                              관성을 뒤집는 행위는 쉽게 일어나지 않으며, 하루 이틀 다르게 산다고 해도 결국 '하던 대로' 돌아온다.                                                              힘들게 소비 습관을 바꾸더라도, 욕망은 버릴 수 있는 성질이 아니기 때문에 '신용'을 바탕으로한 소비의 유혹은 영속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명품 소비와 관련한 심리/경제 효과 중에는 파노플리 효과와 베블런 효과가 있다.                                                파노플리 효과는 '같은 재화를 구매하는 부류와 같은 부류라고 생각하는 효과' 이다. 즉, 명품을 소비하므로써 나도 부와 명예를 과시할 수 있는 사회적 지위를 얻었다 라고 '착각' 하는 심리다.                                                  베블런 효과는 가격이 오를 수록 수요도 증가하는 효과이다. 이 효과는 '명품' 산업 시장이 커지는데 일조한다.                                          


              A와 B 계층은 부유한 사람과 가난한 사람으로 나누는 이분법 적인 묘사로 보여지는데, 핵심은 '격차의 굴레'다.                                                열등감은 나보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느끼는 감정이다.                                                  내가 1억을 가지고 있다면 당연히 1만원을 가진 사람보다 사회적 지위가 높다고 '착각'할 수 있으나, 10억을 가진 사람 앞에서는 열등감을 안느낄 수 없다.                                                  10억을 가진 사람은 100억을 가진 사람을, 100억을 가진 사람은 1,000억을 가진 사람을 보고 열등감을 느낄 수 밖에 없다.                                                  즉, 우리는 격차를 보고 열등감을 느끼고 그 간극을 메우고 싶어하는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다.                                                  격차의 굴레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자산의 증식을 하는 사람이 현실에 없을텐데 눈을 씻고 봐도 자산을 불리고 싶지 않은 사람은 없다.                                          


              격차의 굴레 + 신용을 기반으로 쌓아올린 자본주의 의 환상의 시너지는 명품 산업을 반영구적으로 지탱한다.                                                자본주의에 기반한 시스템이 붕괴될 정도의 재앙이 아니라면, 적어도 내가 살아있는 동안은 명품 산업은 망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경기 선행 지수를 투자에 활용하는 1가지 방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