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승일 Oct 23. 2017

환율과 통화정책 그리고 경제(4) 환율과 수출입

환율, 수출, 수입, 10대 수입품목, 10대 수출품목

<환율과 통화정책 그리고 경제>라는 제목으로 글을 씁니다. 대부분 기초적인 내용을 정리하는 차원에서 글을 쓸 예정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혹여 틀리부분이나 정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가감없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환율과 산업간 상관분석에 앞서서 우리나라의 수출입 현황에 대해 10대 수출입 품목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전 목차                    


1. 환율
2. 외환시장

3. 국내 외환 시장의 구조

4. 무역의 변화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

: 외환 수요가 변하면 어떤 변화가 생길까?

5. 환율과 국제수지

6. 환율과 경상수지 & 금융수지

7. 구매력평가와 환율

8. 무엇이 환율을 결정하는가?

9. 환율 현황



10. 수출현황 : 10대 품목 중심으로


1) 총 수출액 중 10대 수출품목 비중 변화추이


[그림 19] 총 수출액 중 10대 수출품목 비중 변화추이(1996~2016, 천 불)
 

[출처] 관세청 

- 2016년을 기준으로 10대 품목이 전체 수출의 55.8% 차지합니다.

- 10대 품목의 총 수출액은 2011년과 2014년 가장 높았으며, 2016년에는 다소 낮아졌습니다. 


2) 한국의 10대 수출품목 변화 추이


[그림 20] 한국의 10대 수출품목 변화 추이(1996~2016)  

[출처] 관세청 


- 2016년에는 2015년도와 동일하게 반도체가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자동차,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 무선통신기기 순으로 나타났습니다.(2015년도와 6위까지 동일한 순위)

- 지난 1996년 부터 2016년까지 10대 품목 중 대부분 1위를 차지한 것은 반도체 였으며, 대부분 2위는 자동차 였습니다.


3) 1996년 대 2016년 10대 수출품목 비교


[그림 21] 1996년 대 2016년 10대 수출품목 비교 

[출처] 관세청 


- 1위부터 3위까지는 변화가 없습니다.

- 1996년 9위 였던 석유제품이 2016년에는 5위까지 올라왔습니다.

- 반면 의류의 경우 1996년에는 석유제품보다 앞섰지만, 2016년에는 순위에 나와 있지 않습니다.


4) 10대 수출품목 변화 추이


(1) 1997~2001


[그림 22] 10대 수출품목 변화 추이(1997~2000)

[출처] 관세청


- 1997년부터 2000년까지 1위는 반도체이며, 10대 품목 수출 중 반도체 수출액 비중은 25%였다가 2000년에 들어와 27%로 약 2% 늘어났습니다.

- 1997년부터 1999년까지 2위는 자동차였으나, 2000년에 들어 컴퓨터가 2위를 차지하고 자동차를 3위로 밀어냈습니다.

- 선박의 경우, 1997~1998년은 3위를 차지했으나, 1999년과 2000년에 각각 4위, 5위로 수출하양세입니다.


(2) 2001~2004


[그림 23] 10대 수출품목 변화 추이(2001~2004)

[출처] 관세청


- 2003년까지는 반도체가 1위였으나, 2004년 자동차가 10대 품목 중 1위를 차지했다. 그리고 반도체의 10대 수출품목중 수출액 비중이 20% 중반에서 20% 아래로 떨어졌으며(약 7% 정도) 대신 자동차와 컴퓨터, 무선통신기기 등의 수출액 비중이 늘어났습니다.


(3) 2005~2008


[그림 24] 10대 수출품목 변화 추이(2005~2008)

[참고] 관세청


2005년과 2006년에는 반도체와 자동차의 수출액의 차이가 크지 않았습니다.

- 2007년부터 자동차가 반도체보다 약 2% 정도 많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 2008년에는 석유제품, 선박, 유무선 전화기, 자동차, 전자집적회로(반도체) 순으로 수출액 순위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수출액 규모면에서는 1~3위까지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4) 2009~2012


[그림 25] 10대 수출품목 변화 추이(2009~2012)


[출처] 관세청


-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선박의 강세가 두드려졌습니다.

- 한동안 주춤하던 반도체(전자직접회로)는 10대 품목 중 수출액 비중이 이전 평균 수준(16~17%)을 회복했습니다.

- 자동차의 경우 이전보다는 다소 주춤한 형세이며, 무선통신기(전화기)는 2010년 이후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석유제품의 경우 2010년에는 11% 정도 비중이었으나, 2011년에 15%, 2012년에는 17%가 높아졌습니다.


(4) 2013~2016


[그림 26] 10대 수출품목 변화 추이(2013~2016)

[출처] 관세청


2013~2016년까지는 반도체가 10대 수출품목 중 제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석유제품의 경우, 2013년과 2014년에 16%와 15%로 자동차보다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나, 2015년과 2016년에는 수출액 비중이 11%와 10%로 많이 떨어졌습니다.

- 자동차의 경우, 2013~2016년 사이에 꾸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11. 수입현황 : 10대 품목을 중심으로


1) 총 수출액 중 10대 수출품목 비중 변화추이

 

[그림 27] 총 수입액 중 10대 수입품목 비중 변화추이(1996~2016)

[출처] 관세청


- 2016년 기준으로10대 품목이 전체 수입의 40.6% 차지합니다.

- 10대 품목의 비중은 2015년에 큰 폭으로 하락하여 1998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 한국의 10대 수입품목 변화추이


[그림 28] 한국의 10대 수입품목 변화 추이(1996~2016)

[출처] 관세청


- 10대 수입품은 15년도와 마찬가지로 2016년에도 원유가 1위를 차지하였고,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천연가스, 석유제품 순 입니다.

- 1998~99년을 제외하고 원유가 줄곧 1위 였으며, 반도체가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금은 및 백금은 1996~1998년까지 3위를 차지하는 수입품이었으나, 2000년 이후로는 하향세 입니다.


3) 1996년 대 2016년 10대 수입품목 비교


[그림 29] 1996년 및 2016년 10대 수입품목 비교

[출처] 관세청


- 1996년과 2016년의 10대 수입품목 중 원유와 반도체의 수입비중 1위와 2위는 변화가 없습니다.

1996년에는 금은 및 백금이 10% 정도를 차지했으나 2016년에는 10대 수입품목 안에 해당되지도 않았습니다.

- 2016년에는 1996년에 없던 무선통신기기가 8%를 차지하며 3위를 차지했습니다.



4) 10대 수출품목 변화 추이


(1) 1997~2000


[그림 30] 10대 수입품목 변화 추이(1997~2000)

[출처] 관세청


- 1998년과 1999년에 반도체가 원유보다 약간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나, 1997년과 2000년에는 원유가 반도체보다 약 7~9% 높은 비중으로 수입되었습니다.

- 1997~2000년까지 원유+반도체의 비중이 약60% 정도였으며, 나머지 8가지 품목이 40% 차지하고 있다.

- 1997~1999년까지 10대 품목 중 약 10%가 금은 및 백금이었으나 2000년에는 그 비중이 4%로 떨어졌다.


(2) 2001~2004


[그림 31] 10대 수입품목 변화 추이(2001~2004)

[출처] 관세청


- 원유+반도체가 10대 수입품목 중 약 60%를 차지하는 것은 변화가 없습니다.

- 10대품목 중 컴퓨터 수입비중은 2004년에 이전 8~10%에서 4%로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 천연가스는 수입 비중이 이전(1997~2000)이 늘었습니다.


(3) 2005~2008


[그림 32] 10대 수입품목 변화 추이(2005~2008)


[출처] 관세청


- 원유+반도체의 10대 수입품목 중 약60% 비중은 변화가 없습니다. 다만, 2006~2008년 원유 수입비중은 2005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졌습니다.

- 천연가스의 수입비중이 이제 다른 10대 수입품목을 제치고 3위를 차지했습니다.


(4) 2009~2012


[그림 33] 10대 수입품목 변화 추이(2009~2012)

[출처] 관세청


- 원유+반도체의 10대 수입품목 중 수입비중이 약 50~54%로 줄어든 반면, 천연가스와 석유제품의 수입비중이 10%를로 증가했습니다.

- 컴퓨터의 수입비중은 크게 줄었고, 석탄 석유제품에 이어 5위를 차지할 정도로 크게 증가했습니다.


(5) 2013~2016


[그림 34] 10대 수입품목 변화 추이(1997~2000)

[출처] 관세청


- 원유+반도체가 2015년부터 약 50% 비중으로 줄어들었습니다.

- 천연가스의 10대 수입품목 중 비중이 2015년까지 10%를 유지했으나, 2016년에 들어서서 7%대로 떨어진 반면에 2014년부터 무선통신기기 수입이 증가하여 2016년에는 천연가스를 앞질렀습니다.



이상으로 <환율과 통화정책 그리고 경제>의 4편을 마치겠습니다. 다음 5편에는 환율과 수출입 상관관계에 대한 내용을 담을 예정이며, 그 이후 환율과 산업별 상관관계, 통화정책의 내용을 담을 예정입니다. 


그럼 부족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환절기에 감기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작가의 이전글 환율과 통화정책 그리고 경제 (3) 환율결정요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