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작은 찻잔 Oct 24. 2021

홍차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그럼에도 살아갈 수밖에 없는 불운, 혹은 행운에 관하여

권고사직 협박으로 시작된 박졸렬과 홍차의 졸렬한 눈치게임이 세 달이 다 되어서야 박졸렬은 사태가 자신이 원하는 대로 흘러가고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는 며칠만 괴롭히면 홍차가 순순히 주먹구구 연구소를 떠날 거라 생각하며 이 일에 대하여 까맣게 잊어버린 것이다. 그의 조막만 한 두개골에 홍차가 있을 자리는 없었다. 뭐, 홍차도 딱히 그의 머릿속에 있고 싶진 않았지만.


그래서, 세 달하고도 하루가 지난 그날, 박졸렬은 복도에서 자신을 보며 아침 인사를 건네는 홍차를 보고 귀신을 본 것처럼 놀랄 수밖에 없었다. 자신을 보고 소스라치게 놀라는 그를 보고 놀란 건 홍차도 매한가지였다. 


소장님... 절 잊으셨나요..?


박졸렬은 책임감 없는 어른이 할 만한 행동을 취하며 상황을 모면하고자 했다. 바로 남에게 자신의 일을 떠넘기는 것이다. 그는 이부조 팀장을 시켜 홍차의 심경을 알아오라 시켰다. 그렇다. 박졸렬은 자신의 변덕으로 지난 세 달간 업무에서 배제된 채 텅 빈 컴퓨터 화면만 바라봐야 했던 직원의 심정을 남의 도움 없이는 헤아릴 수 조차 없는 등신이었던 것이다.


"자기, 어떻게 할 생각이야?"


그 어느 시대에도 유행하지 않았을 것 같은 호피무늬 블라우스를 입고 이부조가 말했다. 그녀는 주먹구구 연구소의 까마귀 같은 존재였다. 그러니까, 그녀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불행이나 당혹스러움의 불길한 전조였다. 만신창이가 된 남의 거죽을 쪼아 먹으며 기쁨을 느끼는 것도 이부조와 까마귀의 공통점이라 할 수 있었다.


"네? 무슨 말씀이신지..."

"아니, 자기 지금 업무 배제된 거! 소장님이 너무 마음 아파하셔."


홍차는 기가 막혀 마음속 말이 그대로 입 밖으로 튀어나왔다.


"소장님이 왜 마음이 아프세요? 마음 아픈 건 전데요."


네? 누구 마음이 아프다고요?


홍차의 분노 어린 솔직함에 이부조는 잠시 당황했다. 하지만 그녀는 이내 평정심을 되찾고 할 말을 이어나갔다.


"아니, 자기가 딸 같아서 그래. 엄마 같은 마음으로 홍차씨랑 얘기를 하면 좋을 거 같아서 그래, 응?"


홍차는 애를 낳기는커녕 결혼도 안 한 이부조가 자꾸 모녀의 알레고리를 들먹이는 것이 당황스럽다 못해 불쾌했다.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두 여성을 묶을 수 있는 사회적 단위는 어머니와 딸밖에 없는 듯했다. 좆도 없는데, 가좆같았다.


이부조가 두서없이 늘여놓은 이야기는 결국 '더 난리 피우지 말고 나가라'는 말이었다. 반복되는 헛소리를 더 이상 들을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홍차는 이부조의 단조로운 목소리를 배경 음악 삼아 지난 수개월을 되돌아볼 수 있었다. 남들은 찬란하다고 하는 이 청춘이 박졸렬 같은 상사와 최동탁 같은 남자만 만나다 끝나버리는 것은 아닌지, 홍차는 너무나도 아찔했다.


하지만 동시에 홍차는 석사 논문을 작성하며 기득권과 기성세대를 마음껏 비판했을 때 느낀 희열이 어렴풋이 생각났다. 젊음을 함부로 여기고 창조적 에너지를 이익창출에만 이용하는 그들의 졸렬함과 아둔함이란! 


이젠 비웃고, 냉소하며 불평불만만 늘어놓는 것에 그칠 수 없게 되었다. 이론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이론과 지식을 실천(knowledge in practice) 해야 할 때가 온 것이다. 세상을 향한 치기 어리고 어정쩡한 반항이 아니라, 불의에 대항하고 자기 자신을 지키는 진짜 어른이 되어야만 한다. 넘을 수 없는 허들처럼 높은 이 관문을 어떻게든 넘어서야만 자신이 진정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홍차는 그때 깨달았다고 말한다. 


하지만 홍차의 깨달음은 어디까지가 자기 주도적이고, 어디까지가 신자유주의적 소비주의의 잔혹한 희망 고문일까?

이부조와의 비생산적인 대화를 끝으로 홍차는 자리로 돌아왔다. 그때 구석에 항상 찌그러져 있어 그 누구에게도 존재감을 나타내지 않던 마관우 팀장이 나지막이 말했다.


"홍차씨, 절대 그냥 그만두지 마요."


마선생은 홍차와 마찬가지로 지식과 앎의 달콤한 함정에 빠진 죄로 주먹구구 연구소에 표류하게 된 외로운 영혼이었다. 마선생의 한 마디는 홍차의 타오르는 분노를 모은 돋보기 렌즈였다. 정해진 방향 없이 사방으로 내뿜어지던 열에너지가 티 없이 맑은 볼록 렌즈를 통해 정확히 한 점에 모여 미약하게나마 종이를 불태울 수 있게 된 것이다.


홍차는 그날 노동청에 직장 내 괴롭힘을 신고했다. 홍차는 박졸렬과 대리석, 정준한 그리고 이부조는 물론 그녀가 증오하는 그 모든 것을 향해 거대한 가운데 손가락을 쳐들어 올렸다. 결과가 어떻든, 얼마나 오래 걸리든 상관이 없었다.


그렇게 홍차는 그녀의 20대에게 당당히 작별을 고할 수 있었다. 그녀는 승리를 바라며 기도하지 않았다고 한다. 대신 다가올 시간을 버틸 수 있도록 더욱 단단한 사람이 되고자 기도했다고 한다. 홍차를 위하여 과연 종은 울리는가? 아무것도 알 수 없었지만, 홍차는 더 이상 정말로 두렵지 않다고 말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잃어버린 존엄을 찾아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