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오생 Aug 25. 2024

25. 싸락눈과 대나무 숲, 바람의 인연을 생각하며

<제4부> 차 문화의 정신 (1)

(1) 이 글은 [중국 음식 중국 문화] 매거진의 마지막 부분, 차茶 문화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모두 3편으로 나누어 소개할 예정입니다. 


(2) 이 매거진은 이야기의 흐름을 아래와 같은 세 개의 챕터로 나누어 전개하였습니다.  


① 중국 음식문화의 탄생 : 중국을 비롯한 동방 세계 음식문화의 가장 큰 정신은 '꽌시 關係, 关系'에 있습니다. 많은 사람이 다 함께 모여 다 같이 먹으면서 '아름다운 인간관계'를 도모하는 것이죠. 북경 오리구이를 소개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명절음식의 유래를 알아보는 가운데, 아름다운 인간관계를 추구하는 정신이 공자의 유가 사상으로부터 비롯된 산동요리의 배경을 알아보았습니다. 기억나시죠?


② 중국요리, 식도락 여행을 떠나자 : 전통적으로 중국음식은 크게 사천요리, 양자강요리, 복건요리, 광동요리로 구분됩니다. 이들 지역의 대표적인 요리의 탄생 에피소드를 통하여 독자 여러분이 자신도 모르게 아름다운 인간관계를 추구하는 중국 음식문화의 정신을 체득할 수 있도록 장치해 보았습니다. 부수적으로 중국 역사의 흐름에 대해서도 감을 잡게 되고, 중국 문학의 재미에도 빠져들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해 보았습니다. 이것도 기억하시죠? ^^


③ 중국 음식과 인간관계 : '음식飮食'이라는 단어에는 '먹는 것, 식食'만 있는 게 아니죠. '마시는 것, 음飮'도 있습니다. '마시는 문화'에는 '술 문화'와 '차 문화'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 과정에서의 분위기가 크게 다릅니다. 술과 요리는 함께 먹습니다. 이때의 분위기는 대단히 즐겁고 흥겹고 떠들썩합니다. 그런 현장의 분위기를 살려보고자 신경을 써보았습니다. 


그런데 그 과정이 지나고 차를 마시며 마무리를 할 때는 분위기가 완전히 바뀝니다. 어떤 분위기에서 무엇을 추구하는지, 편지의 형식으로 차 문화의 정신에 대해 알아보는 아래의 글을 감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삼아 말씀드리자면... 이번 글은 매거진 [공자의 시간은 거꾸로 흐른다]에서, 연령대 별로 제가 썼던 대표적인 글들을 아카이빙 하는 차원에서 이미 발행한 바 있습니다. 몇몇 작가님들께서는 이미 읽어주셔서 망설였지만, 원래는 [중국 음식과 중국 문화]라는 이 매거진의 일부 내용이었기에 고민 끝에 여기서 다시 한번 소개하고자 합니다.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차 한잔에 띄워보는 그리움의 편지 (1)    



깊은 밤입니다. 어느 고즈넉한 산사의 법당에 앉아 선배님에게 편지를 씁니다. 편지를 쓰다 말고 차 한잔을 달였습니다. 정성껏, 아주 정성껏 차를 달였습니다. 그윽하게 피어오르는 다향茶香을 오래오래 음미하노라니 지난 일들이 주마등처럼, 파노라마처럼 스쳐 지나가는군요. 추억의 항아리에 묻어둔 지난 세월의 그리움을 조심스레 꺼내봅니다.     


선배님. 싸락눈 내리는 대나무 숲을 본 적이 있으십니까? 성긴 대나무 숲을 스치던 그 신비스러운 바람 소리…. 바람이 지나간 대나무 숲은 아무런 소리도 남기지 않습니다. 아무런 흔적도, 남기지 않습니다.


차 한잔을 천천히 마시며, 저는 소리를 듣습니다. 싸락눈과 대나무 숲, 그리고 바람의 그 인연을 생각하며 산사에 찾아온 밤의 소리를 듣습니다. 나뭇잎을 두드리는 빗소리, 계곡 소나무 가지 사이로 무심히 지나가는 바람 소리를 듣습니다. 대나무 숲을 스쳐 지나간 그때의 그 바람소리처럼, 조용히 나타났다가 조용히 사라져 가는 자연의 소리를 듣습니다.

김민혜,〈풀의 숨결〉, 2010.

  

다시 차 한잔을 달여내었습니다. 아주 천천히 색과 향과 그 맛을 음미해 봅니다. 아, 이번에는 정말 잘 우러나왔네요! 무척이나 고운 색깔입니다. 향기도 참으로 기막히군요. 그래요, 바로 이런 느낌이었죠. 선배님의 글을 읽으면 언제나 아주 좋은 차를 마시는 것 같았습니다. 침체에 빠져 황폐해 가던 영혼에 맑은 샘물이 부어지는 느낌이었다고나 할까요?


삶에 대한 그윽한 사랑이 묻어나는 글, 언제나 생각하며 살아가는 선배님의 존재는 저에게 참으로 큰 행복이었습니다. 늘 저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주고, 가진 것을 아낌없이 나누어주시곤 하셨죠. ‘중국 문학의 대중화’가 꿈이라는 저의 이야기에, 꼭 이루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미리 어린아이처럼 기뻐해 주던 선배님…. 건강하시죠? 잘 지내시리라 믿습니다. 저는 요즈음 정말로 아주 정신없이 바쁘게 지낸답니다. 선배님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입니다. 더 이상 마냥 게으를 수만은 없는 노릇이기에….


알고 보니 불교와 차는 정말 깊은 관계가 있더군요. 시詩의 세계에 두보杜甫와 같은 성인聖人이 있고, 술과 낭만의 세계에 이백과 같은 신선이 있듯, 차茶의 세계에도 신선이나 성인처럼 추앙받는 분이 있었습니다. 다성茶聖, 또는 다신茶神으로 불리는 당唐 나라 때의 육우陸羽 말입니다. 그의 일생이나 그가 차 문화의 형성에 미친 엄청난 공적을 굳이 언급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고아였던 그가 절에서 자랐다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불교와 차의 깊은 인연을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으니까요. 



(좌) 육우 상    (우) 《육우 자차도煮茶圖》명청 시기 작품. 작가 불명




당나라 때 조주趙州 관음사觀音寺에서 공부하시던 고불古佛 선사의 끽다喫茶 이야기도 너무나 유명하지요. 무슨 말을 해도 언제나 똑같은 답변, “차나 한잔 마시게…” 하셨다지요? 그리하여 깨달음을 구하는 불자들의 천년 공안公案이 되었다 하니, 선사의 깊은 뜻을 어찌 헤아리겠습니까만, 불교와 차의 각별한 관계는 적어도 선배님과 나의 인연 정도는 되는 모양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다성茶聖 초의草衣 선사와 해남 두륜산 일지암 이야기, 그 외에도 스님들과 얽힌 수많은 차의 사연들…. 드디어 다선일여茶禪一如의 경지에 대해 언급이 되면, 참으로 얼굴이 붉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제가 무얼 알겠습니까? 감히 무얼 이야기할 수 있겠습니까? 하지만 제상諸相은 허망하지만 상相이 없는 것 또한 허망하다고 들었습니다. 산사의 깊은 밤, 홀로 차를 마시면서 생각나는 대로, 느끼는 대로, 몇 글자 낙서해 보고픈 마음일 따름입니다. 언어의 그물망에 걸려 빠져나오지 못한 채 떨리는 이 번뇌의 울림을…. 



전남 보성 대원사 석현장 주지 스님의 다실




차는 명상 아닐까요? 늘 깨어있는 것이지요. 각성의 세계인 것입니다. 부처와 중생은 일념一念의 차이라 배웠습니다. 일념이 어리석으면 반야의 모든 지혜가 사라지고, 일념을 깨치면 다이아몬드와 같은 찬란한 지혜가 빛을 발하니, 성불의 관건은 바로 생각 하나의 차이에 있다 하였던가요? 이 그윽한 한잔의 차에 그 일념의 절벽을 뛰어넘게 하소서….


차는 안목 같기도 하였습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 말입니다. 소동파蘇東坡는 <적벽부赤壁賦>에서 말했지요. 삼라만상은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서 달라지게 마련이라고. 피카소가 말했다지요? 그림은 보는 사람의 몫이라고요. 그렇습니다. 이 세상은 분명 보는 사람의 것이죠. 그림을 올바로 감상하듯, 이 세상을 올바로 보는 안목을 배우고자 합니다. 절망과 희망, 불행과 행복, 선과 악 등등 그 모든 이분법적인 어린아이와 같은 작은 시각을 버리고 세상을 보다 폭넓게, 초월과 달관의 거시적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는 그런 안목을 배우고자 합니다. 이 그윽한 다향茶香으로 마음을 추스르게 하소서. 영혼의 눈을 뜨게 하소서….


차는 합장合掌인 듯도 싶었습니다. 삶이란 도저히 표현할 수 없는 신비로운 여행. 어느 순간, 운명에 의해 차단당할 때 우리는 때로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지지요. 그러나 길을 다시 떠나면 어디선가 불어오는 신선한 바람에 도저히 걷잡을 수 없을 것 같았던 그 절망도 이내 사라집니다. 새로운 안목으로 세상을 바라보니 우리의 여행길에 화엄의 세계가 펼쳐집니다. 꽃비가 춤을 춥니다. 삼라만상의 아름다움에 경건히 합장하며 우주를 생각합니다….


차는 열반涅槃인 듯도 싶었습니다. 백척간두 진일보! 아찔한 절벽에서 한 걸음 더 앞으로 나아가 허공으로 몸을 던지는 순간, 내가 없어지는 순간입니다. 아무것도 없는 무소유의 순간, 텅 빈 가난한 마음만이 우주에 남아있는 해탈의 세계를 엿보는 순간입니다. 아, 몇 번이나 낭떠러지에서 몸을 던져야 그 순간이 찾아올까요… 그 순간에는 정녕 백팔 번뇌가 스러질까요….     


그러나 차는 명상도 아니고, 세상을 바라보는 초월의 철학적 시각도 아니고, 우주와 주파수를 함께 하는 경건한 합장도 아니고, 부처님의 해탈과 열반도 아닌 듯합니다. 차는 아마도 보살님의 미소인 것 같습니다. 이 산사에 계신 큰 보살님의 그 순박하신 미소 말입니다. 그분은 차를 안 드십니다. 아니, 못 드신답니다. 차를 마시면 잠이 안 와서 힘들다고 말씀하시며, 조금은 부끄러운 듯 허허, 소탈하게 웃으십니다. 


그렇죠. 술 취한 사람, 탐욕에 잠들어있는 사람에게는 “차나 한잔 마시게”, 맑고 청량한 차 한잔이 꼭 필요하겠죠. 하지만 모든 것을 털어 버리고 빈 마음으로 지내시는 분에게 구태여 차가 필요할라구요? 부끄러운 마음으로 차나 한잔 마시면서, 차를 마시지 않는 그 보살님의 따스한 미소를 생각합니다. 그 미소를 빙그레 배워봅니다. 모지 사바하!


― 계속 ―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