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AJW Feb 28. 2022

Wireframe

코드스테이츠 PMB 8기

Wireframe


실제 GUI 디자인이 입혀지기 전, 페이지의 골격을 확인하기 위해 만드는 시각적 산출물
- Wireframe 정의



Wireframe은 가설 검증 단계에서 개발이나 디자인을 시작하기 전에 각 정보가 어디에 위치해야 하는지 이해하고 협의하기 위해 업무 유관자들이 함께 보는 시각적 산출물로써 화면 설계서 또는 화면 청사진으로 부르기도 한다.



twitter


▷ Task 선택


트위터는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해 여러 사람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 개인의 의지에 따라 익명성을 띌 수 있고 대개 트렌드나 정보가 다른 채널보다 빠르게 순환되는 것 같아 애용하고 있다. 나와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팔로우를 맺고 소통하거나 뉴스 업데이트를 확인하기 위해 저널리스트들을 팔로우하고 있다.


팔로우에 대한 장벽이 다른 SNS보다 낮고 철저히 내 성향에 맞는 사람들로 구성할 수 있어, 주로 팔로잉 타임라인을 살펴보는 편이지만 가끔 떠들고 싶거나 아무말이 하고 싶을 때는 트윗을 먼저 올리기도 한다.



Task : 아무말러의 트윗 올리기


▷ User Story


User Story는 서비스 기능을 사용자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을 말하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As {사용자, 우리가 정의한 페르소나}

* I want to {기능의 상세부분}

* In order to {이유, 어떤 가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지}


Task의 User Story로 정리하면,


나는 익명성이 보장되는 SNS를 나만의 ‘대나무숲’으로 사용하고 싶다.



▷ 핵심 기능과 Flow 파악 (Lo-Fi)


Flow : 타임라인 화면 → 트윗하기 버튼 → 140자 이내 게시글 작성 (I'm Tweeting) → 트윗 버튼 → 새 트윗 생성 및 Timeline Refresh


Lo-Fi



▷ Wireframe (Hi-Fi)

Hi-Fi



figma file

작가의 이전글 UX / UI 분석 및 개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