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에이아이스쿨 Jul 25. 2021

베이즈 정리(Bayes’ Theorem)의 정의와 의미

역사상 가장 중요한 통계학 이론

통계학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이론 중에 하나이자 머신러닝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수학적이 개념인 베이즈 정리(Bayes’ Theorem)-베이즈룰(Bayes Rule)-에 대해 알아봅시다. 



베이즈 정리(Bayes’ Theorem)의 정의

대부분의 머신러닝과 패턴인식 교재는 첫장에서 베이즈 정리와 베이즈 분류기를 다룹니다. 그 이유로는 

첫째, 베이즈 분류기는 다른 기계학습 방법론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알고리즘이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세계의 많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풀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둘째, 베이즈 정리를 공부하면서 기계학습을 심도 깊게 이해하기 위해서 꼭 공부해야만하는 확률론에 대한 감을 키울수 있습니다.

베이즈 정리에 대해 알아보면서 기계학습 시스템에 대한 직관을 키워봅시다. 


아래의 식이 베이즈 정리의 수학적 정의입니다.



위 식에서 p(A)는 A의 사전 확률(Prior Probability), p(A|B)는 A의 사후 확률(Posterior Probability), p(B|A)는 우도(Likelihood), p(B)는 B의 사전 확률을 나타냅니다.


확률론에 익숙하지 않고, 위 수식을 처음 접했다면 새로운 개념이 많이 나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예제를 통해 위 식이 의미하는 바를 직관적으로 이해해봅시다.



베이즈 정리 적용예시1 – 거짓말 탐지기

예제 1 – 평소에 60%의 확률로 거짓말을 하는 사람이 있다고 합시다. 우리는 90%의 정확도를 가진 거짓말 탐지기를 통해 이 사람의 말이 거짓인지를 판단하고자 합니다.


위 문제는 거짓말 탐지기의 결과를 이용해서 어떤 사람의 말이 사실인지 거짓인지를 판단하는 문제입니다.

이를 좀 더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이 문제는 거짓말 탐지기의 관찰결과를 토대로 어떤 사람의 말이 거짓일 사후확률 p(A|B)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이제 사후 확률 p(A|B)을 구하기 위해서 베이즈정리를 어떻게 이용하는지 살펴봅시다.


먼저, 사전 확률 p(A)는 우리가 알고 있는 사전 지식에 의존합니다. 이 문제의 경우, 사전 확률 p(A)은 이 사람이 평소에 거짓말을 할 확률인 0.6(60%)입니다.


우도 p(B|A) 역시 보통 알려져 있다고(=이미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문제의 경우, 우도는 이 사람이 거짓말을 했을때 실제로 그것이 거짓이었을 확률 p(B|A)이므로 거짓말 탐지기의 정확도가 곧 우도입니다. 따라서 우도 p(B|A)는 0.9(90%)입니다.


사전 확률 p(B)는 거짓말 탐지기가 거짓이라고 판정할 확률입니다. 따라서, p(B)는 거짓말인데 거짓이라고 판정한 경우-p(B|A)p(A)-와 거짓말이 아닌데 거짓이라고 판정한 경우-p(B|A^c)p(A^c)의 합이 됩니다. 따라서 p(B)를 구하는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사후 확률을 구하는데 필요한 p(B|A), p(A), p(B)의 값을 모두 구했으니, 위에서 구한 값들을 베이즈 정리 공식에 대입해봅시다.



계산 결과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사후 확률 p(A|B)는 0.93(93%)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식이 뜻하는 바에 대해서 좀 더 생각해봅시다. 우리가 처음 가지고 있던 지식에 의해서는 이 사람이 거짓말을 할 확률이 60%였습니다. 하지만 90%의 정확도를 가진 거짓말 탐지기에 의해서 이 사람의 말이 거짓이라는 결과가 관찰되었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관찰결과에 의해서 이 사람이 거짓말을 했을 확률을 93%로 업데이트했습니다.


즉, 베이즈 정리의 핵심은 관찰을 통해 새로운 정보를 획득하면 사후 확률(믿음의 정도)을 업데이트 한다는 점입니다. 이 개념을 통해 베이즈 정리가 의미하는 바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다시 또 다른 예제를 통해 사후확률을 업데이트한다는 개념을 좀 더 견고하게 이해해봅시다.



베이즈 정리 적용예시 2 – 유방암 검사

예제 2 – 일반 여성의 유방암의 발병률은 0.1%라고 합니다. 유방암 검사는 실제 유방암에 걸린 사람의 99%에 대해서 양성반응을 나타내고, 건강한 사람에 대해서는 2%만이 양성반응을 보입니다. 이때 어떤 사람의 검사 결과가 양성 반응을 보였다면 이 사람이 실제로 유방암에 걸렸을 확률은 얼마일까요?



이 예제는 우리의 잘못된 직관을 베이즈 정리로 수정할수 있다는 사례로 자주 거론되는 예시 중에 하나입니다. 실제 의사들도 이 질문에 제대로 된 답을 내지 못했다고 합니다. 우리는 보통 양성 판정을 받으면 병에 걸렸을 확률이 매우 높다고 생각하고 걱정합니다. 그렇지만 과연 정말 그럴까요? 위 문제를 베이즈 정리를 통해 풀어보면서 우리의 인지적 오류를 바로 잡아봅시다.


위의 문제를 수학적으로 해석하면 이 문제는 검사결과가 양성일때 이 사람이 실제로 유방암에 걸렸을 사후확률 p(A|B)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위의 예제 2에서 사전 확률 p(A)는 아무런 추가정보가 없을때 어떤 사람이 유방암에 걸렸을 확률이므로 유방암 발병율인 0.001(0.1%)입니다.


우도 p(B|A)는 실제 유방암에 걸렸을 때 검사 결과가 양성이 나올 확률입니다. 따라서 우도 p(B|A)는 검사결과 실제 유방암 환자에 대한 양성 반응이 나올 확률인 0.99(99%)입니다.


p(B)는 검사결과 양성판정이 나올 확률입니다. 따라서, 사전 확률 p(B)는 실제 유방암 환자일 때 나온 양성반응-p(B|A)p(A)-와 건강한 사람인데 나온 양성반응-p(B|A^c)P(A^c)-의 합입니다. 따라서 p(B)를 구하는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위에서 구한 p(A), p(B|A), p(B)값을 베이즈 정리에 대입해서 A의 사후 확률 p(A|B)를 구해봅시다.



따라서 위 결과에 의해 이 사람이 유방암 양성 판정을 받았을 때, 실제 유방암에 걸렸을 확률은 4.9%(0.049)입니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 이유는 유방암 환자에 비해 건강한 사람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입니다.(

라는 사실에 주목합시다.)


즉, 베이즈 정리 공식에서 분모 p(B)가 분자 p(B|A)p(A)보다 압도적으로 큰 값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우리가 구하고자하는 사후확률 p(A|B)는 우리의 예상과는 다르게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게 됩니다. 따라서 유방암 검사에서 한번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사후 확률이 4.9%로 검사전 사전 확률인 0.1%보다 매우 증가했으므로 이 사람은 다시 검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사람이 한번더 검사하는 경우를 다시 베이즈 정리에 대입해서 생각해봅시다.


이제 사전 확률 p(A)는 아무런 관찰없이 가정한 유방암 발병율인 0.001(0.1%)이 아니라 이전 검사 결과를 토대로 구한 사후 확률인 0.049(4.9%)가 됩니다.


우도 p(B|A)는 실제 유방암에 걸렸을 때 검사 결과가 양성이 나올 확률입니다. 따라서 우도 p(B|A)는 검사결과 실제 유방암 환자에 대한 양성 반응이 나올 확률인 0.99(99%)입니다.


p(B)는 검사결과 양성판정이 나올 확률입니다. 따라서, 사전 확률 p(B)는 실제 유방암 환자일 때 나온 양성반응-p(B|A)p(A)-와 건강한 사람인데 나온 양성반응-p(B|A^c)P(A^c)-의 합입니다. 따라서 p(B)를 구하는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제 위에서 구한 p(A), p(B|A), p(B)값을 베이즈 정리에 대입해서 A의 사후 확률 p(A|B)를 구해봅시다.



위 식을 보면 어떤 사람이 두번의 검사 결과 모두 유방암 양성 판정을 받았을 때, 실제 유방암에 걸렸을 확률은 71.8%(0.718)입니다. 따라서 두 번의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을 경우에는 실제로 유방암에 걸렸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베이즈 정리의 의의와 머신러닝과의 연관성

이처럼 베이즈 정리를 이용할 경우 , 관찰결과를 토대로 사후 확률(믿음의 정도)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해나갈 수 있습니다. 우리가 마주치는 머신러닝 문제들도 어떤 가설을 설정하고 데이터(=관찰 결과)를 토대로 가설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해나가는 과정이기 때문에 많은 부분에 베이즈 정리를 적용할 수 있고 베이즈 정리에 기반한 기법들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머신러닝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베이즈 정리에 대한 제대로된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References

[1] https://en.wikipedia.org/wiki/Bayes%27_theorem

[2] [불멸의 이론 : 베이즈 정리는 어떻게 250년 동안 불확실한 세상을 지배하였는가],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2013




작가의 이전글 AI 회사 리뷰 1 – Scale AI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