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코모 Dec 05. 2022

요즘 자동차 업체들에 선 넘었다는 말까지 나온 이유는?

기업은 만든 물건에 사용된 부품값과 각종 물류비용 등을 더해 물건값을 책정한다. 자동차 역시 부품값과 조립비 그리고 물류비 등을 더해 자동차 값이 정해지는데, 만약 해당 부품이 100%의 성능을 못 내도록 제한된다면, 이를 보고 우리는 ‘불량’이라고 부를 수 있다.


부품이 있고, 조립이 되어 있는 상태라면 당연히 그 기능이 나와야 하는 것이지만, 최근 자동차 업체들의 생각은 다른 것 같다. 오히려 더 ‘합리적이고 경제적’이라고 말하고 있는 하드웨어 구독형 서비스는 지금 어떤 상황을 맞이했는지 알아보자.


완성차 업체들의

새로운 유행

최근 완성차 업체들은 신형 전기차를 중심으로 구독형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벤츠의 경우 지난 3월부터 EQS를 대상으로 연간 약 70만 원의 구독료를 지불하면, 후륜 조향 각도가 4.5도에서 10도로 늘어난다. 게다가 일부 모델 대상으로 최고 속도 제한도 일부 금액을 지불해야 풀어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마찬가지로 BMW 역시 하드웨어 구독형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7월 BMW에서는 열선 시트와 열선 핸들을 사용하기 위해 약 2만 원의 구독료를 지불해야 사용할 수 있다고 내놓았다가 소비자들의 원성을 이기지 못하고 구독 서비스를 철회했다. 이외에도 테슬라 GM, 볼보 등 다양한 완성차 업체에서 기능에 제한을 두는 구독형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소비자들은 기만이라며

구독형 서비스에 분노

요즘 완성차 업체들은 전기차 시대에 접어들면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차의 기능들을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는 것을 구독 경제에 접목시켜, 소비자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제조사들은 이에 대해 “필요한 기능만 골라서 구매할 수 있다는 것이 합리적이고 소비자 입장에선 경제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입장은 달랐다. 제조사들이 내놓은 구독 서비스에 대해 한 소비자는 “이미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부품들을 구매했는데, 사용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은 기만이다”라는 반응과 “이러다가 에어백이나 브레이크 기능도 구매해야 사용할 수 있는 거 아니냐”라며 비판했다.


미국 의회 역시

제조사에 화났다

제조사들의 구독형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자 미국 의회에서도 이에 대한 조처를 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9월 뉴저지주에서 구독형 서비스를 금지하는 법안을 발의했고, 오는 12월 열릴 미 의회 위원회에서 논의를 할 예정이다.


뉴저지주에서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구독형 서비스가 원론적으로 소비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고, 이미 뉴저지주에서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때 기만행위를 금지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들은 “미 의회에서 해당 법안이 통과될 경우, 지금 제조사들이 내놓은 구독형 서비스는 철회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주장했다.


눈치 보고 있는

현대차의 상황

현대차는 “오는 2025년까지 모든 차종에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즉 소프트웨어로 연결된 차량은 차량을 구입한 이후에도 성능과 기능을 업데이트할 수 있고, 항상 최신 상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하지만 최근 미 의회를 비롯한 소비자들은 구독형 서비스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이런 반응에 대해 현대차 관계자는 “최근 다른 제조사의 구독 서비스에 대한 논란이 있는 건 알고 있다”면서 “이런 부분에 대해 소비자들이 느끼고 있는 부정적인 것들을 고려하고 있다”면서 말을 아꼈다. 현대차 역시 구독형 서비스를 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지만, 여론의 반응을 신경 쓰는 모습이다.


고객에게 합리적일까

돈을 뜯는 수단일까

제조사의 말처럼 구독형 서비스는 합리적인 서비스가 될 수도 있다. 벤츠를 예로 들면, 높은 속도를 제한하면 굳이 그 속도를 달리지 않아도 되고, 테슬라의 FSD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운전하면 된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장착된 부품을 이미 차값에 지불한 상태로 소비자는 기능을 제한당해야 하는 것이 문제다.


즉 소비자들은 쓰지도 않은 기능을 애초에 옵션에 추가하지 않고 차량을 구매했었다면, 이제는 제조사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간을 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많은 소비자들은 “이런 구독 서비스에 대해 제조사는 기능의 발전보단 돈벌이 수단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