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하나 Jul 26. 2018

동화로 쓰는 생애사 3. 나의 가족을 소개합니다.

발달장애인 생애사 쓰기 

*수리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진행하는 <동화로 쓰는 생애사> 수업 기록입니다. 학우들의 이름은 모두 가명입니다*


수리장애인종합복지관는 산 아래 있다. 옆에는 만안청소년수련관과 만안도서관, 만안경찰서가 붙어 있다. 모두 산을 지탱하고 서 있는 형상이다. 복지관 건물의 지하 1층엔 수영장이 있고 지하주차장이 시작된다. 지하주차장은 지하 4층까지 있는데 지하 1층과 2층 주차장은 장애인전용이라 칸이 널찍하다. 이 지하주차장은 만안평생교육센터와 같이 쓰고 있는데 지하 3층과 지하 4층엔 평생교육센터 이용자들의 차가 주로 이중주차가 될 만큼 주차난이 심각하다. 수도권 어딘들 주차난이 심각하지 않는 시설이 있겠냐마는. 10시 수업이라 9시 45분에 주차장에 도착했는데 한 칸도 빈 곳이 없었다. 이중주차를 할 자리도 마땅치 않았다. 지하주차장에서 나와 지상주차장을 살펴봤으나 거기도 자리가 없었고 복지관 뒤편에 복지관 버스를 세우는 곳에도 온통 장애인주차장뿐이었다. 길 건너 장애인부모회 건물이 있어 그쪽에 두 시간 정도 주차를 해도 될까 가봤으나 역시 마찬가지. 청소년수련관까지 올라가 주차를 하고 내려오느라 늦었다. 청소년수련관에 올라가며 담당자에게 전화를 걸었다. 


15분을 늦었다. 


학우들이 모두 얌전히 앉아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 수업엔 담당 사회복지사 선생님 한 명이 항상 같이 하고 자원봉사자 세 명이 있다. 담당 팀장은 동시간에 두세 가지의 프로그램이 같이 진행되어 교실을 계속 오가며 수업을 참관한다. 지난 주에는 부처님 오신 날이라 한 주 수업을 쉬었다. 문을 열고 들어가며 헐레벌떡 늦어서 미안하다고 인사를 했다. 지각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다들 반갑게 맞아주었다. 맨 끝에 앉은 학우가 손을 내밀어 하이파이브를 하면서 앞으로 갔다. 다들 사진을 가지런히 앞에 놓고 기다리고 있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가족사진을 놓고 가족에 대해 소개하는 글을 쓰기로 했다. 수업을 늦게 시작한 탓에 바로 글쓰기로 들어갔다. 


은혜 씨는 무슨 이야기를 쓸지 생각해 왔다며 여행 간 이야기를 쓰겠다고 말했다. 다들 무슨 이야기를 쓸 것인지 준비해 온 것 같았다. 그렇다면 바로 시작해도 되겠냐고 물었더니 모두들 큰 소리로 “네!”라고 대답했다. 

내 자리의 가장 가까운 곳에 앉은 수연씨가 자기는 쉰 살에도 노래를 부를 거라고 말했다. 

“구십 살까지 노래 할 거예요. 쉰 살에도 노래하고, 예순 살에도 노래하고, 일흔 살에도 노래하고, 여든 살에도 노래할거예요. 아흔 살에도 노래할 거예요.”나는 수연씨가 한국어의 수사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다는 것을 메모했다. 

“무슨 노래를 부를 거예요?” 내 질문에 수연씨는 

“최백호 아저씨 노래를 부를 거예요. 낭만에 대하여.”나는 이번에도 노래를 불러줬으면 좋겠다고 졸랐지만 수연씨는 완강하게 “기타가 있어야 한다.”고 거절했다. 다음에 기타를 가져오게 되면 기타반주에 맞춰 노래를 해주겠다고 약속도 했다. 

“백 살에는 노래 안 해요?” 물었더니 

“저는 아흔 살까지만 살거예요. 아흔 살에 죽을거예요. 죽을 때까지 노래할거예요.”

“왜죠? 백 살까지 살면 안돼요?”

“아니요. 저는 아흔 살까지만 살거예요. 아흔 살까지 노래를 부르며 살거예요. 열심히 살아야 해요.”

“열심히 사는 건 어떻게 사는 걸 말해요?”

수연씨는 주저함 없이 대답했다. 

“열심히 살아야 해요. 운동도 열심히, 뭐든지 노력하면서.” 수연씨는 예의 그렇듯 손가락과 손을 계속 움직이며 대답했다. 

‘열심히 살아야 한다, 운동도 열심히, 뭐든지 노력하면서.’ 나는 수첩에 수연씨의 말을 적었다. 

가족을 한 명씩 소개하라는 이야기에 기현 씨가 연필을 들고 멍하니 있길래 우리 엄마는 성격이 어떤지,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지, 어떤 노래를 좋아하는지를 쓰면 좋다고 권했다. 

수연씨가 그 말을 듣고 음식이야기를 했다. 

“제 친구는 나쁜 습관이 있어요. 그 친구는 인스턴트만 먹어요. 인스턴트를 먹으면 안 좋아요.”

“그럼 수연씨는 인스턴트를 안 먹나요?”

“네. 저는 인스턴트를 잘 안 먹어요.”

“그렇죠. 인스턴트 음식은 건강에 안 좋죠? 그럼 수연 씨는 엄마가 해주는 것만 먹나요?”

“네. 저희 엄마는 음식을 잘 해요. 라면도 잘 끓여요.”


다른 학우들은 음식을 만든다, 음식을 한다, 음식을 끓인다, 등의 동사를 사용하는데 고민했다. 한다고 해야 할지 만든다고 해야 할지 끓인다고 해야 할지 어떤 동사를 써야 적당한지 한 번씩 되물었다. 다들 술술 글을 써 나갔다. 가족의 일원을 소개하는 주제에 딱 맞아떨어지지 않았지만 사진 속의 정보에 충실하게 글을 만들었다. 학우들의 사진엔 사람만 있는 게 아니고 그 사람들과 함께 한 기억이 담겨 있으니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기도 하다. 우리 가족을 소개한다는 글을 쓰려면 차라리 이미지를 치우는 게 낫지 않나 생각했다. 


은혜씨는 외갓집이 진주에 있어서 진주를 갔던 이야기를 글로 썼다. 발표를 할 때는 진주에 간 이야기는 빼고 거제와 통영에 놀러간 이야기를 했다. 거제도는 통영의 옆에 있어요. 같이 있어요. 나는 거제와 통영이 남쪽에 있다는 이야기를 보탰다. 거제까지 네 시간이 넘게 걸렸어요. 시간이 오래 걸렸어요. 라는 말을 하길래 거제에 유명한 게 뭐가 있는지 아느냐고 물었더니 “꿀빵”이라고 대답했다. 나는 꿀빵은 그 옆에 통영에서 유명한데 거제에도 꿀빵을 파는 곳이 많다고 이야기를 보탰다. 통영에서 본 것을 더 이야기 해달라고 하자 거북선이 있고 판옥선도 있다고 했다. 통영 중앙시장 앞 강구안 문화마당을 다녀온 것이 분명했다. 강구안 문화마당에는 거북선 모형이 여러 개 있는데 구조가 다른 배의 모형이 있다. 은혜씨는 “판옥선도 있어요.”라고 분명히 기억했는데 지난 번부터 고유명사에 강하다는 내 느낌에 확신이 들었다. 은혜씨가 다녀온 곳의 이름과 특징을 잘 기억한다는 게 인상적이었다. 


발표를 하던 중에 기현 씨가 자기가 사고 싶은 차 이야기를 해도 되냐고 물었다. 무슨 차를 사고 싶은지 얘기 해달라 하자 기현씨는 봉고차를 사고 싶다고 했다. 그 이유는 친구들을 태우고 싶어서란다. 친구들을 태우고 뭘 하고 싶냐 물으니 같이 여행을 가고 싶다고 했다. 

이십대다. 이십대 청년이 봉고차를 사서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가고 싶다니 놀라웠다. 스포츠카를 사서 여자친구를 태우고 단 둘이 여행을 가고 싶다고 대답할 수도 있을텐데, 라는 생각을 하며, 내가 가진 편견도 재확인했다. 


학우들은 두 번의 수업으로도 글쓰기에 빠르게 적응했다. 글을 쓰고 발표를 하는데 45분 시간이 모자랐다. 이어서 글을 바탕으로 그림을 그렸다. 미술선생님이 배경을 어떻게 해보고 이런 것도 같이 그려보자면서 학우들 사이를 바쁘게 오가며 세심히 살폈다. 수업이 끝나고 난 다음에 미술 선생님과 글쓰기와 미술을 45분씩 나눠서 수업하는 게 앞으로는 어렵겠다는 얘기를 나눴다. 1시간 반 동안 꽉 채워서 글쓰기만 해도 될 날이 금방 올 것 같았다. 


학우들은 지난주보다 더 적극적으로 이야기를 했고 더 빨리 글씨를 썼고 더 빨리 그림을 그렸다. 더 많은 것을 이야기하고 싶고 더 세밀하게 그리고 싶은 욕망이 느껴졌다. 학우들에게 시간을 재촉하는 일은 스트레스를 주는 일이라 여유 있게 수업을 진행하려면 시간 배정을 조정해야겠다. 정해진 시간내에 과업을 완성하는 일은 어느 수업에서나 일어나는 일이지만, 지식을 습득하는 게 아니라 자기 마음을 드러내고 공유하는 수업은 조금 더 여유있을 필요가 있으니까. 


글을 체계적으로 완성한 학우들에게 따로 숙제를 내줬다. 혼자 글쓰기가 어려운 학우에게는 부담이 될까봐 숙제를 주지 않았다. 은혜씨에게는 거제 통영 여행의 이야기를, 수연씨는 아흔 살이 되어 부르고 싶은 노래의 가사 만들기를, 한때 사귀던 여자친구 이야기를 한 줄로 표현한 동진 씨에게는 사랑하는 친구에게 하고 싶은 말을 편지로 써보기를, 수정씨에게는 파리 여행의 느낌을 더 자세히 적기를, 승민 씨에게는 무용단에서 춘 춤을 소개하기를 따로 적어서 주었다. 


은혜 씨는 사실을 순차적으로 적는 것을 잘 하고 수정씨는 감각과 감정을 잘 표현한다. 수정씨는 조금 더 길게 쓸 수 있는 것 같은데 하나씩 주제를 적어서 세밀하게 쓰도록 지도하면 풍부한 이야기가 나올 것 같다. 학우들이 말하고 쓰는 일에 욕심을 내기 시작했다. 서로 손을 들어 발표를 하겠다고 나섰고, 혜은씨는 자기 순서가 빨리 오지 않자 불안한 기색을 내비쳤다. 욕심이 생긴다는 건 좋은 일이다. 학우들이 하고 싶은 말이 다른 일에 밀려 오랫동안 고여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수업이 가을까지 이어진다는 건 다행스러운 일이다. 속 시원히 이야기하고 싶은 건 장애와 비장애의 경계와 무관한 일이다. 언어소통이 쉽지 않고 타인과 정서적 교감을 잘 못한다는 건 잘못된 이론인걸까. 나는 이들이 각자 다른 모습으로 예민하고 개성 있으며 진실하다고 느낀다. 남들에게 자신을 내세우려고 하거나, 잘 보이려고 하거나, 강사가 원하는 답을 찾아 가식적인 문장을 쓰지 않는다는 것이 비장애인과의 차이점이라면 차이점이겠다. 수업을 하면서 나는 자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차이점을 발견하려고 한다. 한 사람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개성과 장기가 모두 다르다. 뜨거운 여름이 지나고 찬 바람이 불 때가 되면 나도 조금 달라져 있었으면 좋겠다. 


수정 씨의 글 

하늘이 파랗고 구름이 아주 몽실몽실하게 떠 있다. 아름다운 에펠탑이 서 있다. 우리가 함께 하는 시간이 행복하다. 보디가드처럼 멋진 오빠, 가장 믿음직스러운 아빠, 미소가 예쁜 엄마, 꽃처럼 착한 막내, 나까지. 우리 가족 프랑스에 가니까 정말 좋았다. 


수연 씨의 글 

엄마 이름은 안은숙입니다. 우리 엄마는 회사 일을 하십니다. 제가 어릴 때 비디오를 봤을 때부터 좋아하셨습니다. 우리 엄마께서 돈육김치찌개, 김치찌개, 된장찌개, 부대찌개, 라면도 끓여주시고 그렇습니다. 기타도 아주 잘 치고 열심히 할 것도 하느라 믿습니다. 


5월 29일의 수업기록 

기록자 : 강사 이하나 



작가의 이전글 동화로 쓰는 생애사 : 발달장애인생애사쓰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