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매일 일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알람 Aug 27. 2023

예술의 전당에서 블레져앙상블 공연을 듣다

우연한 기쁨 위의 우연한 기쁨

2023년 8월 27일 일요일


오늘은 세종 문화회관에서 <여름 음악 축제 - 블래져 앙상블>의 공연을 감상했다. 플루트, 바순, 오보에, 클라리넷이 주가 되어 앙코르까지 총 네 개의 곡을 연주하였고, 개중에는 피아노 연주가 함께했던 곡도 있었다. 


사실 대타로 음악회에 가달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는 집에서 거리가 꽤 되는 예술의 전당까지 가는 것이 일종의 시간낭비처럼 느껴졌다. 고기도 먹어본 놈이 더 잘 안다고, 클래식 음악도 들어본 사람이 감동을 느낄 텐데 나는 음악에 대해서는 아는 게 전무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듣게 된 블래져 앙상블의 연주는 내 생각보다 흥미로웠다. 가장 특이했던 것은 <피터와 늑대>라는 클래식 동화(?)였다. 한쪽에서는 목관악기를 연주하고 무대의 다른 한 편에서는 연기자가 구연동화를 하듯 상황을 설명한다. 어쩌다 클래식에 대해서 검색할 때면 음악에도 문외한은 모르는 기승전결이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달을 때가 있는데 머리로는 설명을 저장하더라도 막상 공연을 볼 때면 이전에 찾아봤던 정보는 이미 머릿속에서 휘발된 상태였다. 하지만 <피터와 늑대>의 경우 어떤 악기가 어떤 동물을 표현하고 있는지, 음악의 이 부분이 어떤 상황을 그리고 있는지 말로 들으면서 음악을 듣다 보니 왠지 순간의 소리들이 조금 더 이해가 되는 것 같은 기분 좋은 착각에 빠질 수 있었다. 


그리고 그냥 기술적으로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앙코르였던 <피아졸라 - 리베르 탱고>였다. 일단은 탱고다 보니까 신나기도 하고, 각각의 악기가 리드하는 것처럼 기교를 부릴 때는 '사람이 저렇게 악기를 다룰 수도 있는 거구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현악기 연주를 들을 때도 사람이 아닌 것 같은(?) 손놀림을 볼 때면 음악가들은 정말 다른 종족이라는 생각이 들곤 했지만 호흡을 이용하는 목관악기와 금관악기 위주의 연주를 들으니 말도 안 되는 폐활량 때문에 놀람이 곱절이 됐다. 게다가 공연이 끝나고 나오는 길에 선우정아의 야외 콘서트가 있길래 계단에 앉아서 선우정아의 라이브도 몇 곡 듣고 올 수 있었으니 오늘 하루는 우연한 기쁨에 우연한 기쁨이 겹친 셈이다. 


유튜브를 찾아보니 블래져 앙상블의 리베르 탱고의 일부분을 올려놓은 예술의 전당 공식 영상이 있어서 그걸 첨부하고 오늘의 일기를 끝내려고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온라인 게임 시작이 어려운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