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림 Jun 10. 2021

택배박스

'처음'을 가늠해본다. 공장에서 갓 만들어졌던 때. 분명 하나의 완제품이었으리라. 문제없이 만들어졌으니, 태어남에 기뻐했을까. 제 쓸모가 무엇일까 고민하던 찰나에 목적지를 담은 송장이 턱 붙었으리라. 어떤 기분이었을까. 이제야 요람을 벗어나, 스스로에게 맞갖은 자리를 찾아가는 길이라 잔뜩 설렜을지도 모르겠다. 차에서 차로 옮겨지고 이리 쿵 저리 쿵 부딪히며 함부로 취급당해도, 그 어딘가 '목적지'에 도착하면 이 지난한 고통도 끝나리라 기대했을 것만 같다.


목적지에 도착해 문 앞에 덩그러니 놓이는 순간을 상상해본다. 지루했을까. 설렜을까. 길고 긴 여정 끝에 제자리를 찾은 듯 안도감을 느꼈을까. 누군가가 번쩍 들어 올렸을 땐 어떤 기분이었을까. 머물 만한 자리를 찾아온 길고 긴 여정의 끝. 그 끝에 마침내 도착했을 땐 희망에 가득 차 있었을지도 모른다.

'나는 무엇으로 쓰일까? 어떤 자리에서 어떤 역할을 해내게 될까?'

그런 생각을 했을 것만 같다.


그러나 현실은 가혹했으리라. 희망이 가라앉기도 전에 바로 쓰레기장으로 직행. 덩그러니 버려진 후에야 스스로의 쓸모를 깨달았을 것만 같다. 아, 이 여정 자체가 내 쓸모구나. 이것이 전부구나 생각했을 것 같다. 빈 공간을 누군가에게 내어주고, 몸 바쳐 안의 것을 목적지까지 보호해 내는 것. 그것이 그의 쓸모였음을, 한참 후에야 깨달았으리라.





나 역시, 탄생 그 순간엔 존재 자체로 온전했을 것 같다. 숨 쉬고 움직이고 먹고 자면, 그것으로 충분했으리라. 하지만 자라면서 상황은 달라졌다. 생애 주기별로 과업이라는 것이 끝도 없이 주어졌다. 학교에 입학하니 공부를 열심히 하라고 했다. 초중고 12년을 거쳐 대학에 입학하면 '어른'이 되는 건 줄 알았다. 아니었다. 입학을 하니 '취업'을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맞는 말이었다. 자기 밥벌이는 해야 진정한 어른이라 생각했다. 상식, 한국어, 토익 등등. 먼저 경험한 이들이 필요하다고 하는 것들을 하나씩 해내며 직장이란 곳에 자리를 잡게 됐다. 


이제 진짜 어른인 줄 알았지만, 이번엔 자기 '가정'을 꾸려야 찐어른이 된다고들 말을 했다. '자기소개서는 썼니?', '토익은 몇 점이니?' 묻던 사람들이, '남자 친구는 있니?', '결혼은 언제 할 거니?' 묻기 시작했다. 때마침 사랑에 빠졌고, 열렬한 시기를 거쳐 결혼이라는 것도 하게 됐다. 가정을 꾸렸어도 과업은 끝나지 않았다. 이번엔 출산이었다. 출산도 해냈다. 쏟아지는 '미션'들을 어느 정도 쳐내고 나니, 39살이 되었다. 어라? 여긴 어디지, 나는 누구지. 내가 머물고 있는 곳이 내 목적지가 맞는 것인지 확신하기가 어려웠다. 


자의로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 등 떠밀려 가고 있는 것인지 알기 어려웠지만, 낙오되는 것은 더 두려웠었다. 별나게 굴기 싫었다. 남들이 다 올라서 있는 그 길을 벗어나는 게 겁이 났다. 그래서 참고 참으며 버텼지만, 별 방법은 없었다. 진부한 표현 그대로, 낭떠러지에 서 있는 것만 같은 매일이었다. 그러다 '에라이. 이래 죽나 저래 죽나'하며 그 길을 벗어나 버렸다. 우습게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아등바등 매달리던 그 길에서 한 걸음 멀어졌으나, 죽지도 않았고 매일이 또다시 이어졌다. 


'이제 어디로 가야 하지?'

꽤나 자주 길을 잃은 것만 같은 기분을 느낀다. 목적지만을 향해 열심히 내달렸으나, 목적지가 신기루처럼 사라져 버린 것 같은 느낌. 행복한 어른의 삶, 안정된 가정. 대략 그런 것들을 꿈꾸며 달리던 여정에서 중도 탈락해 길가에 덩그러니 서 있는 듯하다. 






이제는 아무도, 다음 목적지를 말해주지 않는다. 아이를 키우는 내내, 다음 미션처럼 '둘째 아이'를 말하던 사람들도 분명 있었다. '하나는 외롭지 않아?', '더 늙기 전에 하나 더 낳지?' 

이혼 소송 앞에서 그런 말들은 모두 사라졌다. 미래의 시간을 바라보며 무언가를 제시하던 사람들이 고개를 돌려 나를 빤히 보는 것 같은 기분을 느낀다. 그들이 묻는다. 

"앞으로 어쩔 건데?"


허덕허덕 여기까지 오고 보니, 나이는 마흔 언저리. 내 가정은 깨어졌고, 원가정의 부모님도 세상을 떠나셨다. 직장은 휴직 상태. 빚도 있고 9살 아이도 키워내야 한다. 다음 과업을 제시하는 사람도 없다. 다들 말을 아낀다. '일단 여기까지만 해 봐'라는 미션들이 온전히 사라졌다. 내 나이가 이런 것인지 내 상황이 이런 것인지, 어쨌거나 생애주기별 과업에서 '이제야' 조금 벗어난 것 같은 기분을 느낀다. 목적지 하나 없이 완전한 백지로 펼쳐진 미래. 그 시간을 마주하는 것이, 가끔은 숨 막히게 두렵다.

길거리에 내다 버려진 택배박스를 본다. 그 박스라도 붙잡고 묻고 싶다. 

"넌 어디로 갈 거니?"


처음엔 무엇인가를 해내야만 한다는 압박감에 꽤나 시달렸었다. 남들 다 가는 길을 벗어났으니, 나만의 궤도를 만들어 '승승장구해버리고 말겠다!'는 이상한 열망에, 쉽게 꿈을 갖고 쉽게 떠벌려댔다. 아무것도 이루지 못했지만, 시간은 흘렀다. 어느 정도 '제정신이 돌아오는 것 같은' 시간들을 보냈다. 그제야 스스로에게 진심으로 묻게 됐다. 

"어떻게 살고 싶은데?"

참 간단한 질문인데, 답은 어려웠다. 다만 한 가지. 억지로 어딘가로 움직이지 않아도 된다고 스스로를 다독이게 됐다. 


에크하르트 톨레의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에 나오는 구절이 떠올랐다. 

"어떤 사람들은 항상 여기를 떠나 다른 곳에 가 있고 싶어 합니다. '여기'를 늘 못 마땅해합니다. '지금 여기'를 참을 수 없다면 불행해집니다. 우리에게는 세 가지 선택권이 있습니다. 

그 상황을 벗어나거나

변화시키거나

전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나는 견딜 수 없는 순간을 벗어나, 이제는 길 위에 서 있다. 매우 불안정한 자리다. 그럼에도, 남들이 안정적으로 보던 때에 비할 수 없이 하루하루가 평화롭다. 평안하다. 요즘은 삶이란 어쩌면 그저 여정일 뿐이라는 생각을 한다. 어딘가로 '도착'하고, 어떤 목표를 품고, 어떤 성취를 해내는 것이 삶이라 생각했었다. 하지만 요즘 들어 문득 삶의 목적지라면 모두에게 똑같이 펼쳐져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최종목적지는 같다. 모두의 여정길이 다를 뿐. 실패도 성공도 그저 여정의 일부일 뿐, 결국 목적지가 정해져 있다고 생각하면 굳이 무엇을 서두르랴 하는 마음이 요즘은 든다. 


여전히 답은 모르겠다. 답을 찾을 때까지 나를 좀 내버려 두리라 마음먹는다. 끝도 없이 일어나는 자괴감도, 후회도, 반성도 오롯이 껴안은 채, 이 순간들을 좀 더 바라보기로 했다. 길 위에 서 있는 불안정한 이 순간, 우습게도 이제야 오롯한 내 존재를 느낀다. 어딘가에 쓰이지 않는다 해도, 원대한 목적지가 없다 해도, 이대로도 좋다. 지금 이 순간을 받아들여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