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양균의 코드블랙 Aug 09. 2022

엄마는 철문앞에서 무너졌다 [6]

뜻밖의 세계, 팔레스타인 1부➅


체크포인트에서 출산하는 여성들이 많아요


팔레스타인에서 현지의 보건의료 실태를 물으면 으레 이 같은 대답이 돌아왔다. 검문소는 서안지구 곳곳, 교통의 요충지마다 들어서 있다. 출입을 결정짓는 철문을 열고 닫는 건 이스라엘군 맘먹기에 달렸다. 


체크포인트의 위력이란 가히 절대적이다. 피점령지 주민들의 이동의 자유뿐만 아니라 의료접근권까지도 좌지우지하기 때문이다. 예외란 없다. 긴급을 요하는 구급차도 철문 앞에서 하릴없이 멈춰서야 한다. 팔레스타인인 누구도 함부로 문을 넘을 수 없다. 여차하면 이스라엘 군인의 기관총이 불을 뿜기 때문이다. 


2019년 8월 18 팔레스타인 서안지구 나블루스 도심에 위치한 시민단체 탄위르의 사무실. 이곳에서 보건의료 및 여성, 아동 관련 활동을 펴고 있는 교수, 간호사, 현지 활동가를 만났다. 


사진=김양균의 코드블랙


이곳에서 만난 자하니씨는 간호사였다. 동시에 ‘헬스워커스커뮤니티’란 단체 소속 활동가이기도 하다. 팔레스타인 사람들 상당수가 언론인이자, 활동가를 겸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그의 이력 자체는 특별할 것이 없었다. 다만, 이 커뮤니티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주도의 보건의료종사자 연합체라는 점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었다. 자하니는 서안지구 북쪽에서 주로 여성 보건, 즉 암, 출산 등에 대한 지원활동을 해왔다. 커뮤니티는 자치정부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출산 시 어려움이 많다고요?”


“병원간 이동거리가 멀고 체크포인트로 인해 제때 병원에 도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이동간 장애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태아 사망률은 어떤가요?”


“(구체적인 통계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친척간의 결혼으로 유전병이 발생해 아이들이 사망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특히 지역에 거주하는 여성들은 정기검진이 어렵겠군요?”


“이동의 불편 등 여러 상황으로 건강검진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두 달에 한 번씩 이동검진소를 통해 임산부나 유방암 검사를 지원하고 있어요.”


“여성들에게 빈번한 질환은 무엇입니까?” 


“호흡기 질환, 저혈압, 빈혈입니다.” 


“지역에서 세균 감염도 심할 것 같은데요?”


“주로 아이들에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나블루스내 여성 의사 수는 얼마나 되나요?”


“150명 가량 됩니다.”


2018년 나블루스에서 여성 2만2279명이 출산 및 부인과 질환으로 진료를 받았다. 2320가구에 걸쳐 4614명이 임신을 했고, 5068명이 산부인과에서 아이를 낳았다. 팔레스타인 미혼 여성들의 부인과 검진 수요는 늘고 있었다.

  

사진=김양균의 코드블랙


소하 나자르


부모가 무릎을 꿇었다. 장애를 가진 아이들을 위한 특수학교 설립을 반대하는 지역주민들에게 호소코자 무릎까지 꿇어야 했던 기막힌 현실은 얼마 전 우리나라에서 있었던 일이다. 이역만리 떨어진 팔레스타인에서 이와 유사한 사례를 들을 줄은 꿈에도 예상치 못했다. 


소하 나자르. 두 아이의 엄마. 그녀의 첫째 아이는 자폐증을 갖고 있었다. 처음에는 어딘가 아파서라고 여겼다. 약을 지어 먹였지만 차도가 없었다. 훗날 자폐 판정을 받았을 때의 심정을 그녀는 “마음은 무너지는 것 같았다”고 표현했다. 


여전히 지역에서는 자폐아를 쉬쉬하는 경향이 많다. 명예를 중시하는 무슬림들은 장애를 가진 아이를 부끄럽게 여긴다. 그래서 학교에 보내지 않고 집에 가둬두곤 한다는 것이다. 소하 부부는 그렇지 않았다. 슬픔보다 아이를 제대로 교육시켜야 한다는 절박함이 더했다. ‘제때, 제대로 교육 시켜야 한다. 그래야 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을 테니까.’ 쉬지 않고 일해 돈을 벌었다. 아이가 처음 학교에 등교하던 날을 소하는 잊을 수 없다. 그러나 기쁨은 오래 가지 않았다. 


“우리학교는 더 이상 당신의 아이를 받을 수 없습니다. 특별한 교육을 받도록 하세요.” 학교는 아이를 내쳤다. 그녀는 지금도 학교에서 자녀가 쫓겨났던 순간을 떠올리면 마음이 먹먹해진다. 


“너무 마음이 아팠고 상처를 받았어요. 제겐 너무 소중한 아이가 이런 대접을 받아야 한다니. 아이를 학교에 보내기 위해 열심히 일했고, 등교를 시켜 뿌듯했는데….” 


사진=김양균의 코드블랙


현지 학교에서 자폐아는 부당한 대우를 받기 일쑤다(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다). 소하씨는 자폐아 교육을 위해 학교 측에 교사의 인권 교육을 요구했지만 거부당했다. 팔레스타인에는 자폐아 전문 학교나 교육 및 치료 프래그램이 부재한 상황이다. 일부 센터에서 관련 교육이 이뤄지긴 하지만, 전문성을 가진 교사는 극히 드물다. 센터 교사가 자폐아를 폭행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자폐 스펙트럼 전문 치료센터는 예루살렘에만 있다. 이스라엘 거주증을 갖고 있지 않은 팔레스타인인은 이스라엘 지역으로 갈 수 없다. 이스라엘에 가기도 전에 소하는 노란철문 앞에서 다시 한 번 억장이 무너져야 했다.


“특별 출입 허가 기간도 2주에 불과합니다. 아이를 예루살렘에 보낼 때 체크포인트에 있던 군인이 제게 말했습니다. ‘부모는 갈 수 없고 아이만 보내라’ 아이가 자폐를 갖고 있다고 간청했지만 그들은 요지부동이었습니다.”


소하씨는 페이스북을 통해 본인과 같은 자폐아 자녀를 둔 부모의 사연을 전하기 시작했다. 현재 그녀는 뜻있는 여러 활동가와 자폐아 지원 활동을 준비 중이다. 십시일반 노력으로 그녀와 활동가들이 돌보고 있는 자폐아들은 100여명. 문제는 예산이다. 지속적인 활동에 소요되는 돈을 구할 길이 막막하다. 현실은 시시각각 수많은 ‘소하’를 옭죈다. 


그래도 그녀들은 오뚝이처럼 일어선다. 노란철문이 가로막아도 세상의 전부, 아이를 위해 숱한 ‘소하’는 다시금 일어설 것이다. 


사진=김양균의 코드블랙


매거진의 이전글 간호사가 죽었다, 부상자를 돌보고 있었다 [7]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