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봉수 Oct 13. 2023

"대안교육은 학교를 구할 수 있을까?"

(feat.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대안교육은 학교를 구할 수 있을까?" (feat.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좋은 의도가 항상 좋은 결과를 만드는 건 아니니까요. 대안교육도 그런게 아닌가 싶습니다. 여러가지 의미에서요.



글 ("대안교육은 학교를 구할 수 있는가",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2023년 10월호)은 프랑스에서 폭발적으로 성장 중인 대안교육을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논지와 별개로 우리에게 익숙한 서머힐 학교, 발도로프 운동, 몬테소리 등등이 공교육에 접목되어온 과정과 그 내용들에 대해 일별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는 것 같습니다.



마침 오늘 아침에도 (지금 시점에서는 며칠 전이네요) 대학입시와 관련해 고등학교 성적관리나 지도에 관해서 뉴스가 나오던데요. 사실 교육제도라는게 행정적인 프로세스만으로 바꾸기도 쉽지 않지만 무엇보다 어떤 교육을 지향하느냐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그 과정을 어떻게 만들어가느냐에 대한 협의를 이루는 과정이 쉬운 일은 아닐 것입니다. 





독재국가야 집권자의 의도대로 불도저식으로 밀어부치겠지만, 수많은 다양성을 (최소한 형식적으로나마) 존중해야하는 민구주의 국가에서 하나의 국가정책이 성립되기까지 참 길고 지난한 과정을 거치게 될 것입니다. 특히나 명시적인 결과를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그 결과가 나오는데 시간이 많이걸리는 교육 분야에서는 더더욱 그렇게 되겠지요. 교육을 일컬어 100년의 큰 계획이라고 말하는 건 그만큼 그 과정이 지난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반증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제는 이상과 현실의 차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쉽지 않은 변화의 방향성과 그 내용에 비해 당장 내가 사는 현실과, 내 후대가 살아야하는 상황을 생각해야하는 입장에서는 말이죠. 국가가 알아서 해줄 것이다라고 생각하기엔 세상이 돌아가는 속도가 너무 빠르기도 하죠. 전체적인 틀이라는 점에서 국가가 제대로된 교육체계를 유지하고, 중간중간의 빈 틈이나 국가가 하기 어려운 가려운 곳들을 "대안교육"이라는 장치를 통해 그때그때 보충해준다면 그야말로 이상적이겠지만.... 이상주의를 우리가 이상주의라고 부르는 이유가 있으니까요. 



인간은 "나(혹은 내 자식)의 필요에 진심인 동물"이고 그 필요는 "지난한" 공교육에 대한 변화 요구와 "즉각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사교육을 통한 구현으로 발현된다는 점에서, 공교육의 보완적 성격으로 "대안교육"이 놓이게 됩니다. 르몽드의 표현처럼 말이죠. 



=-=-=-=


"프랑스에서 대안교육을 내세운 사립학교들이 인기다. 하지만 '대안교육'이라는 하나의 이름 뒤에는 다양한 지적 전통이 공존하고 있다. 교육을 정치와 무관하게 오직 아동의 학습과 자아실현을 위한 기술로 보는 경우도 있는 반면, 공교육과 대중교육을 통한 저소득층의 계층 이동을 목표로 삼는 교육법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



어찌보면 교육철학에서 말하는 교육의 기능에 충실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육의 본질적 기능과 수단적 기능을 모두 아우르면서 개인과 사회가 생각하는 교육에 목적에 대한 논의를 묶어내고 있으니 말이지요. 다만 보완적 성격의 대안교육이 명시적인 소비자가 존재하는 자본주의 안에서 기능하게 되면서 사교육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하게 됩니다. 



<대안교육은 학교를 구할 수 있을까?>라는 표제를 사용한 것은 대안교육으로 표현한 여러가지 형태의 다양한 교육이 어떻게 사교육적 요소와 섞이고, 이 과정에서 교육의 과정이나 역할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가에 대한 고민의 흔적일 것입니다. 다른 말로는 대안교육과 사교육, 학생, 그리고 모두를 둘러싼 사회를 어떻게 조화시켜 나갈 것인가의 고민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영국을 중심으로 유럽의 사교육 (사립학교) 섹터와 일을 하는 제 입장에서 볼 때, 르몽드의 시각은 영국에서와는 약간 다르다고도 할 수 있을 듯 합니다. 본질적인 의미에서 "대안교육"이라는 것은 다를 것이 없겠지만 사회적으로 적용시켜나가는 방식에서는 차이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사립학교와 사교육을 인정하고 (일반보다) 그들이 가지게 되는 특권을 어느 정도 용인하는대신 그들에게 더 (일반보다) 높은 수준의 책임과 의무를 가져야한다고 교육한다면, 프랑스에서는 본질적으로 "보완"(대안)은 하더라도 그들에게 더 특혜를 주면 안된다고 생각하는 차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특히나 올해는 입시제도나 교육제도 변경을 둘러싼 논쟁이 뜨겁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절차적인 부분에서의 문제도 있겠고 변경 내용이나 과정도 문제겠지요. 다만 기사와 연관지어 생각해 볼 때 아쉬운 점은 어디에서도 변화의 지향점이나 목표가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제가 볼 때 한국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 가운데 하나는, 어떤 것을 어떻게 교육해서 어떤 사람을 키워야한다는 사회적 합의없이, 결국 교육이라는 기회를 어떻게 (기능적으로, 개인적으로) 이용할 것인가에 대한 접근법에 집중하는 태도라고 생각합니다. 좌우지간 그래서 어떻게하면 좋은 대학교 좋은 학과에 갈 수 있느냐 (혹은 돈많이 버는 직업을 구할 수 있느냐)로 변용되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이죠. 



미국이나 영국식 교육의 입장에서 생각한다면 "수월성교육" (혹은 "엘리트교육")을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엘리트에 대한 사회적 정의나 합의가 없다는 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냥 쉽게 말해서 서울대 법대 의대 나오고 돈 많으면 엘리트인가 혹은 그런 사람이 사회전체에 도움이 되는가에 대한 부분일 것입니다. 이런 풍토에서는 교육체계를 어떻게 바꾸든, 시험을 어떻게 바꾸고 학령을 어떻게 바꾸든, 결과적으로는 남보다 얼마의 비용과 시간을 더 많이 더 빨리 투자했느냐를 비교하는 것으로 귀결되고, 그건 학생 개인에게도 부모나 가족에게도 사회에도 도움이 되기 어렵기 때문이지요.  



"우리모두 리얼리스트가 되자.


그러나 가슴속에 불가능한 꿈을 지니자"



르몽드 기사를 읽으면서 한편으로는 프랑스의 노력이 가련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살짝 부럽기도 했습니다. 개인의 욕망을 다루는 것이, 특히나 사회적으로 공유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자원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쉽지 않기 때문이지요. 그리고 다른 한편으론 르몽드의 고민이 아직 한국사회 전반에는 이른바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오만함을 반성하는 것처럼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대안교육#사교육#영국유학#조기유학#사립학교#공립학교#공립컬리지#프랑스유학#대안학교



작가의 이전글 숙제가 던져준 숙제, 대안교육은 학교를 구할 수 있을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