힙한 독서 문화 텍스트힙과
문화자본주의의 긍정 회로
문화예술을 둘러싼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탐구합니다.
Edited by 박수인
최근 텍스트힙(Text Hip)이란 현상이 주목받고 있다. 독서 행위가 어딘가 그럴듯해 보이고, 있어 보이고(’있어빌리티’라는 신조어도 있다), 이른바 힙해 보인다고 여겨 ‘독서로서 힙함을 수행’하는 일종의 문화 현상이다. 이것을 문화 현상이라고 부르는 것은 과장이 아니다. 이미 여러 기사와 칼럼에서 한 목소리로 언급하고 있는 바, 600만 건이 넘는 인스타그램의 ‘북스타그램’ 해시태그 수나 아이돌과 관련된 도서가 하루아침에 여덟 배 이상 판매되었다는 등의 소식은 텍스트힙 현상이 단순한 신조어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는 사실을 함의하기 때문이다. 텍스트힙은 그것을 추구하는 독자들의 독서 행위가 지식 습득이나 교양 함양 같은, 독서를 향한 ‘진정한’ 혹은 ‘순수한’ 목적이 아니라, 나름의 고상한 취미를 자랑하기 위한 ‘변질된’ 목적에서 출발한다는 점에서 논쟁적이기도 하다.
텍스트힙 현상을 바라보면서, 클래식 음악 문화에도 클래식힙이라고 부를 만한 것이 있지 않은가 생각했다. 이것을 텍스트힙만큼이나 문화 현상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의 문제는 제쳐두고라도, 클래식 음악을 듣는 행위 역시 독서 못지않게 ‘그럴듯해 보이고’, ‘있어 보이’는 종목(?)이 아닌가 하는 짐작에서다. 이 글은 텍스트힙의 문제를 클래식 음악 문화에 적용해 생각해 보려는 시도다. 특히 이 현상을 둘러싼 논쟁을 우치다 타츠루의 문화자본 비판에 기대어 고민해 본다. 클래식힙, 혹은 문화자본은 무엇인가? 그것의 속성은 무엇이고 어떠한 형태로 구체화되는가? 그것은 좋은가, 혹은 나쁜가?
이 아티클의 본문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링크를 클릭하면 바로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이런 아티클은 어때요?
더 많은 아티클은 ANTIEGG 사이트에서 확인하세요.
하루에 한 번 신선한 영감을 얻을 수 있는 곳
문화예술 커뮤니티 플랫폼 ANTIEGG가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