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내 속에는 나무가 자란다
"나는 속도에 질려버렸다.
나무의 시간을 살고 싶었다."
수마나 로이는 자국에 존재하는 계급과 명예 살인, 성차별과 폭력 문제들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인간의 새로운 존재 방식을 탐구한 인도의 가장 독창적인 현대 시인이다. '식물-되기'의 욕망은 로이의 시와 소설 작품 전반에서 드러나는 창작의 동기이자 이상향이다. '나무가 되고 싶다'라는 이 낯선 욕망은 수마나 로이 특유의 은유적 상상력이 더해져, 미지의 세계로 우리를 데려가고, 지금까지 본 적 없는 나무를 만나게 한다.
이 책은 나무를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이 편협하고 차별적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관점은 우리 인간이 서로를 바라보는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데까지 도달한다. 우리는 나무를 사랑한다고 하면서 나무의 열매와 꽃, 줄기, 수액까지 착취해 왔다. 수마나 로이는 우리가 지금까지 무엇을 사랑한다고 말하면서 모든 것을 착취해 오지는 않았는지 묻고 있다. 나무의 목소리와 나무의 생각, 나무의 역사까지도 관심을 가지지 않거나 혹은 듣지 못했다는 식으로 착취했다고 말이다.
수마나 로이는 어린 시절 한 장면을 떠올린다. 그 장면에서 나무의 본성을 복기하고, 나무에 대한 자신만의 사유를 자유롭게 뻗어나가기 시작한다. 형제 중 유독 병약했던 로이는 방안에서 혼자 두려움에 떨고 있었다. 그런 로이의 몸 위로 창문을 통해 들어온 야자수 이파리의 그림자가 덮였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소리와 움직이는 그림자를 느끼며 로이는 처음으로 자유를 꿈꾼다. 나무의 리듬과 방식은 자연 그 자체에 가까웠다. 이에 로이를 기계의 속도나 소음에서 기인한 불안과 피로에서 해방시켜 줄 수 있는 것은 오직 나무의 리듬뿐이라는 믿음을 갖게 되었다. 나무는 악한 사람에게 산소를 내주지 않는 식으로 행동할 수는 없으며, 나무 그늘에서는 도둑이나 적, 나 자신도 구분이 어렵다. 생김새나 성별, 계급 같은 것으로 차별당하거나 차별하는 일도 없다. 로이도 나무와 같이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로이는 숲으로 들어가 바람에 스치는 온갖 나무의 나뭇잎 소리를 녹음하고, 나무 이야기가 기록된 경서와 각종 책을 탐독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자신이 경험한 나무의 모든 시간을 시인의 언어로 적기 시작한다. 끝내 그는 '나무-되기'의 육체적·정신적 한계를 뛰어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나무와의 일체화를 이룬다.
"어느 날 나무 아래 앉아 있던 나는 내 그림자가 나무 그림자와 합쳐지는 것을 지켜보았다. 어느덧 내 그림자가 나무 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사라져 나무 반대쪽에 있는 사람에게는 내가 전혀 안 보이게 되었다."(119쪽)
"내 심장과 뇌와 신장이 이미 식물과 비슷하게 생겼으니 얼마나 멋진 일인가?"라는 시인의 감탄은, 그가 욕망하는 대상이 정확히 무엇인지, 그리고 그가 언어의 힘을 얼마나 믿고 있는지 보여준다. 인간의 언어와 동물의 언어, 이제는 기계의 언어까지 우리 사회에 자리 잡았다. 사회에서 언어는 존재의 증거이며, 소통의 도구이다. 그렇다면 언어가 없는 나무는 어떻게 존재할 수 있을까? 나무는 정말 언어가 없을까? 표정과 목소리의 높낮이, 제스처가 없는 나무는 어떻게 고통을 표출하며, 자신이 그 자리에 있음을 주장할 수 있을까?
인도의 식물학자 J. C 보스는 야생화 도둑놈의갈고리의 심장 박동과 같은 리듬을 듣고 기록할 수 있는 기계 '프토그래프'를 발명했다. 또한 외부 자극에 어떻게 반응을 하는지 식물을 꼬집고 고문한다. 그는 우리가 "의도적인 편견"을 버리면 식물이 직접 말을 걸어올 거라 기대했다. 하지만 로이는 이에 반대한다. 우리가 굳이 나무에게 반응을 이끌어낼 필요가 전혀 없으며, 나무는 언제나 그렇듯 침묵과 뿌리의 얽힘으로 말한다고 주장한다. 우리 눈에 보이고 귀에 들려야지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이다.
또한 로이는 나무줄기보다는 나무뿌리를, 열매보다는 잎사귀를, 크기보다는 그림자를 관찰하고 이것들의 아름다움을 발견한다. 어쩌면 나무를 사랑하는 것과 욕망하는 것은 다른 것일지도 모른다. 로이는 나무를 욕망하고 있기 때문에 나무와 우리가 닮은 구석을 계속해서 발견하고, 만들어낸다. 볼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나무의 내부를 들여다보기 위해 화분을 들고 엑스레이 촬영실을 찾아간다. 어린 시절에는 망고 열매 줍기 시합에서 망고 그림자를 바구니에 잔뜩 담아간 적도 있다. 로이는 아무리 낯설고 불가능해 보이는 욕망이더라도 자기 내부에 집중하여 맥락을 형성했고, 자기만의 글쓰기 방식으로 당위성을 획득했다.
수마나 로이 Sumana Roy
인도의 시인이자 소설가. 첫 소설 [닭의 목에 걸린 사랑Love in the Chicken's Neck]이 2008년 '맨 아시아 문학상' 최종 후보에 오르며 문단에 등장했다. 이후 10년 만에 출간한 자전적 에세이 [내 속에는 나무가 자란다]는 인도에서 가장 중요한 문학상 '샤크티 바트상'과 '사히트야 아카데미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미국, 프랑스, 독일에 번역 출간되었으며, [더 럼퍼스] [도이칠란트풍크 쿨투어] 등 해외 평단에서 광대한 역사를 탐구한 방식과 독창적 상상력과 문체를 인정받았다. 현재 아쇼카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시집 [강의 계획서 밖에서Out of Syllabus] [V. I. P 가장 중요한 식물V. I. P. Very Important Plant], 소설 [실종Missing] [엄마의 연인과 그 밖의 이야기들My Mother's Lover and Other Stories]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