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야인 한유화 Mar 09. 2022

비혼 말고 "혼삶"

'결혼 계획이 없는'게 아니라 '결혼 안 하는 계획'이 있습니다.

'결혼 계획이 없는'게 아니라 '결혼 안 하는 계획'이 있습니다.


나를 궁금해하는 누군가의 질문에 가장 나답게 반응하고 싶었다.   

"그럼, 결혼할 생각이 아예 없으신 거예요?"   

종종 이렇게 면접 같은 질문을 받곤 하는 나를 위한 면접 준비 같은 글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써야겠다고 생각했다.  


"정말 괜찮은 연인을 만나면 결혼하실 수도 있겠네요?"   

매번 생각이 달랐다. 아니, 사실은 나조차도 내가 어떤 마음인지 모호하게 느껴졌다.  




  어렸을 때는, 뭐 그냥 대-충 얼버무려서 결혼에 대한 대화를 넘어가고 싶은 생각이 컸다. 단호하고 까칠한 기운을 드라이아이스 안개처럼 은근하게 뿜어내어 상대의 질문 가능성을 미리 차단하려고 애쓰기도 했다. 어른들이 대체로 예뻐한다는 '웃는 상'이자, 총기 어린 두 눈을 맞추고 자주 고개를 끄덕이며 잔뜩 몰입해서 리액션하는 게 특기인 나에게는 그다지 좋은 전략이 아니었다. 나를 묘하게 긴장하게 만드는 몇몇 질문들을 이런 잡기술로 잘라낸 후에는 오히려 그 부작용으로 더 곤란한 질문들이 이어지기도 했다. 좀 넘어가고 싶다고 생각할수록 사람들은 더욱 결혼 얘기에 몰입하게 되는 희한한 흐름.


  시간이 좀 지난 후에는 질문한 사람을 멋쩍게 만들지 않으면서 부드럽게 상황을 넘기기 위해 재치 있게 답하려고 애썼다. 이번에는 다른 부작용이 생겼다. 대화가 원하는 길로 매끄럽게 흘러가지 않고 결국 막다른 골목에 다다른 듯 결국 같은 질문으로 돌아오는 순간이 오면, 나는 스스로의 재치와 진행 능력이 충분히 유려하지 않음에 더욱 아쉬워하곤 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는 '아니, 요즘 세상에 아직도 이런 질문을 하시나?'싶어서 의도적으로 똑 부러지게 대답해서 말문을 틀어막고 싶었다.    


  요즘의 나는 가능한 한 나의 의도와 가깝게 말하고 싶은 마음이 크다. 구구절절 설명하지 않고 짧고 간단하게, 하지만 가장 적확하게 말이다. 질문한 사람이 괜히 나를 배려한답시고 내 대답의 앞뒤를 추측하며 내 의도를 곡해하는 불상사가 없도록 명확하게. 그러면서도 질문해 준 상대의 관심에 정중하고 따뜻하게 답하고 싶은 내 진심이 전해지도록. 




  "언제 00할 거니?", "똑똑한 애가 왜 00을 안 하려고 그래?"와 같은 비교적 무난한(?) 난이도의 질문들. 내게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유형이 있었지만, 사실 대부분은 그렇게까지 큰 무게감과 호기심을 두고 질문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너 몇 학년이지?" 하고 명절마다 묻는 친척 어르신처럼 말이다.

  

  하지만 시간이 가면 갈수록 감사하게도 같은 질문을 하는 다른 유형의 사람들이 많아진다. 내 생각이나 마음이 정말 궁금해서 관심 가득 담아 물어봐 주는 다정한 사람들, 담백한 호기심으로 생기 있게 묻는 사랑스러운 사람들. 그런 애정 어린 대화가 거듭될수록 난 생각하게 된다. 내가 얼마나 멋들어지게 반박할 수 없는 대답을 선보이느냐 보다는, 내가 어떤 표정으로 대답하고 있는지 들여다보는 게 더 중요하다고. 혼자 사는 삶, "혼삶"을 살면서 인생을 배워가는 어른으로서의 나는, 삶이 주는 질문에 대해 편안한 당당함으로 대답하겠다고. 


  친척 어르신이 매번 몇 학년이냐고 물으신 것이, 매번 잊을 정도로 무관심해서가 아니라 매번 물어봐 줄 정도의 관심이라고 생각하는 것. 이것이 내가 혼삶을 스타일링하는 기본적인 애티튜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