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법과의 만남 Apr 01. 2024

민법 제424조, "부담부분의 균등"

제424조(부담부분의 균등) 연대채무자의 부담부분은 균등한 것으로 추정한다.


우리는 지금까지 부담부분에 대해서 자주 언급해 왔습니다. 복습 차원에서 말씀드리자면, 부담부분은 채무자들이 내부적으로 출재하기로 한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금액이 아니라요. 여러 채무자가 존재하게 되는 연대채무에서는, 채권자에게 1명이 변제를 하는 경우에도 채무자들 사이에서는 내부적으로 분담하여야 할 부분(비율)이 반드시 필요하게 됩니다. 그렇지 않다면 1명이 변제해서 덤터기를 쓰고(?) 그냥 끝나버리게 되니까요. 그것은 너무 불공평하지요. '연대' 채무 아니겠습니까? 사실 이런 논리는 여러 명의 채무자가 있는 경우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그 결과 불가분채무랄지, 나중에 공부할 부진정연대채무나 연대보증채무 등에서도 부담부분이라는 것은 존재하게 됩니다(김용덕, 2020).


원칙적으로 부담부분은 연대채무를 지는 채무자들이 알아서 정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연대채무자가 3명이라면, 자기들끼리 논의해서 1:1:1로 하든지, 1:2:3으로 하든지 알아서 하면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1:1:0처럼 누군가의 부담부분이 0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하네요(박동진, 2020).


다만, 이러한 특약이 따로 없는 경우에는 도대체 부담부분을 얼마로 볼 것인지 문제인데요, 우리의 판례는 "연대채무자가 변제 기타 자기의 출재로 공동면책을 얻은 때에는 다른 연대채무자의 부담부분에 대하여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고 이때 부담부분은 균등한 것으로 추정되나 연대채무자 사이에 부담부분에 관한 특약이 있거나 특약이 없더라도 채무의 부담과 관련하여 각 채무자의 수익비율이 다르다면 특약 또는 비율에 따라 부담분이 결정된다."라고 하여(대법원 2014. 8. 20. 선고 2012다97420,97437 판결), 특약이 없는 경우에는 연대채무를 부담하게 됨으로써 각 채무자들이 얻게 되는 이익의 비율에 따라 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수와 영희가 나부자에게 1억원의 돈을 빌리면서, 갚을 때는 연대하여 갚기로 했다고 합시다. 그때 빌린 돈 1억원을 각각 3천만원과 7천만원으로 나눠서 가져갔다면, 이익의 비율은 3:7이라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채무 부담에 따라 얻게 되는 이익의 비율이라는 것도 꽤 애매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요? 여기서 바로 오늘 공부할 제424조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제424조에 따르면, 부담부분은 균등한 것으로 '추정'한다는 것이지요. 일단 그게 맞다고 가정해 버리는 겁니다. 그러니까 이 추정을 깨려면 그에 반대되는 증거를 제시하면 됩니다. 부담부분이 1:1이 아님을 주장하는 사람이 반증을 제시하면 되는 거죠. 예를 들어 연대채무자들끼리 부담부분을 1:2:3으로 하기로 정한 문서를 제시한다든지, 그런 겁니다.


잠깐, 이 지점에서 한 가지 문제가 생깁니다. 부담부분이라는 것이 연대채무자들 간의 내부적인 합의에 의한 것이라면, 채권자의 입장에서는 그 사실을 모를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수와 영희가 나부자에 대하여 연대채무 1억원을 지고 있는데, 내부적으로는 자기들끼리 부담부분을 3:7로 가져가기로 했어도, 나부자는 그 사실을 전혀 모르고 그냥 1:1이겠거니 하고 생각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게 간단한 문제는 아니고, 나부자의 입장에서는 모름으로 인해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사안입니다. 예를 들어, 극단적으로 철수와 영희의 부담부분이 1:0이라고 합시다.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이렇게 정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그런데 나부자는 그런 사실을 모르고, 대강 1:1 이겠거니 하고 생각하였다가, 철수가 와서 애걸복걸하자 마음이 약해져서 그만 채무의 면제를 해주고 말았습니다.

제419조(면제의 절대적 효력) 어느 연대채무자에 대한 채무면제는 그 채무자의 부담부분에 한하여 다른 연대채무자의 이익을 위하여 효력이 있다.


부담부분이 만약 1:1이었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제419조에 의하여 면제는 제한적 절대효만을 가질 것이고, 따라서 영희에게는 5천만원의 채무가 남게 됩니다. 나부자는 철수에 대하여 면제를 해주었지만, 여전히 영희에게 5천만원을 청구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부담부분이 1:0이라면, 나부자가 철수에 대하여 면제를 하면서 영희의 채무도 0이 됩니다. 왜냐하면 채무의 면제는 철수의 부담부분에 한하여 절대효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나부자는 1:1일 때와 달리 철수에게도, 영희에게도 돈을 청구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됩니다. 나부자가 불의의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학계의 통설은, 만약 연대채무에서의 부담부분이 균등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채권자가 그 내용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만 이를 채권자에게 주장할 수 있다고 봅니다(김준호, 2017). 채무자들끼리 쑥덕쑥덕해서 결정된 부담부분을 채권자가 전혀 모른 상태에서 타격을 입는 것은 불공평한 일이니, 이렇게 해석하는 것이 맞다고 할 것입니다.


오늘은 부담부분의 균등 추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내일은 출재채무자의 구상권에 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문헌

김용덕 편집대표, 「주석민법 채권총칙2(제5판)」, 한국사법행정학회, 2020, 828면(제철웅).

김준호, 「민법강의(제23판)」, 법문사, 2017, 1283면.

박동진, 「계약법강의(제2판)」, 법문사, 2020, 416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