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조유리 Apr 18. 2024

어쩌면 혼자가 더 나을지도

- 영화 <감쪽같은 그녀>가 보여주는 조손가정의 아픔

*영화의 주요 내용이 포함돼 있을 수 있습니다.



생계마저 위협받는 아찔한 동거

독거 노인의 삶의 취약성이 심각하지만 어쩌면 혼자가 나을지도 모르는, 그런 가정도 있습니다. 영화 <감쪽같은 그녀>가 그리는 조손가정의 모습이 바로 그렇죠. 걷고 걷고 또 걷고, 언덕을 오르고 또 올라야 도착할 수 있는 부산의 한 오래된 집. 72세의 노인 말순(나문희 분)이 살고 있는 이 집에 어느 날 갓난아기 진주를 등에 업은 초등학생 여자아이 공주(김수안 분)가 찾아옵니다. 그 아이의 손에 들린 건 바로 말순의 딸 효선의 유골. 알고 보니 공주와 진주는 집을 나가 행방을 알지 못했던 딸의 아이들이었고 딸이 세상을 떠나자 보호자가 필요했던 이들은 수소문 끝에 갑작스레 외할머니를 찾아왔던 것입니다.


평소 길거리 가판에서 손수 자수를 놓은 손수건을 판매하며 근근이 살림을 이어가던 말순에게 두 명의 손녀가 더해졌으니 이들에게는 그저 하루 하루 먹고 사는 것도 큰 걱정입니다. 그래서 말순은 큰 손녀 공주와 마트에 가서 사은품 기저귀나 분유를 챙겨오는 등의 작당모의를 함께 하지요.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 과정에서 만난 지 얼마 되지 않은 할머니와 손녀 간에도 온정이 싹트게 된다는 것입니다.

     

조손가정이 이렇게 생계의 위협의 받는 것이 비단 영화 속 이야기만은 아니다. 우리나라의 조손가정은 대략 15만 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이들의 연평균 소득은 2175만원으로 전체 가구나 다문화 가정, 장애인 가정의 평균 소득보다도 낮은 수준입니다.** 노인들은 일자리를 얻기가 어렵고 건강이 좋지 못해 생계를 이어나가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돌봐야 할 손자까지 있다면 이들의 어려움을 상상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은 일. 그러나 조손가정에 대한 지원책은 미비하기만 합니다. 정부차원에서 조손가정에 대한 실태조사를 진행한 것은 2010년 단 한 차례 뿐이고 실태파악이 되지 않으니 그들에 대한 수요조사, 복지서비스에 대한 지원 방식 또한 결정이 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단, 조부모 한 명과 손자가 사는 경우 이들은 한부모 가정으로 분류되어 이에 해당하는 지원책을 받을 수 있는데 그 예로 가계 소득에 따른 아동 수당이 지급되거나 필요할 경우 자금을 대여해주거나 통신이나 전기 요금 등을 감면해주는 등이 이에 포함됩니다. 그런데 조손가정의 경우 이러한 행정 지원을 잘 알지 못하는 노년층이 가장인 경우가 많아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요. 아직까지 찾아가는 복지체계가 발달하지 않은 우리나라에서는 그야말로 조손가정은 취약계층인 노인과 또 다른 취약계층인 아동이 함께 사는, 가장 취약한 가구 형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취약 계층 더하기 취약 계층

생활은 어렵지만 서로 의지하며 즐겁게 생활하던 말순과 손녀들은 어느 날, 진주에게 예방접종을 맞히러 병원에 들렀다가 의사로부터 진주가 희귀병에 걸린 듯 하니 큰 병원으로 가보라는 충격적인 말을 듣습니다. 더욱 황당한 건 진료를 받으러 도착한 대학 병원에서 갑자기 말순이 행방불명되죠. 큰 병원을 헤매다 간신히 손녀들과 다시 상봉한 말순은 이후 치매 진단을 받고 심한 좌절감에 빠집니다.

‘저게 말이 되나?’ 할 정도로 온갖 불행을 섞어 놓은 영화 전개가 너무 신파적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어른도 아이도 모두 건강 문제를 겪는 것은 현실의 조손가정에서도 어느 정도 사실이라고 합니다. 조손가정의 아이들은 상대적으로 세심한 돌봄을 받지 못하고 영양을 충분히 공급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또래보다 발달이 느려서 학교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질병에 걸려 심각한 건강상의 문제를 겪는 일이 잦고 어른인 조부모 또한 노인성 질환을 앓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니 말순과 진주의 이야기가 단순히 영화를 위해 지어낸 이야기라고만은 할 수 없는 것이죠. 또한 조손가정의 아이는 비록 건강에 문제가 없다고 해도 자신이 점점 자라는 것이 마냥 행복일 수만은 없습니다. 아이가 자람과 동시에 당연히 조부모는 점차 노쇠해질 것이며 아이들은 그런 조부모의 ‘어린 보호자’가 될 수 밖에 없으니까요. 누가 누구를 돌보는지 그 대상만 바뀔 뿐 가정의 삶이 취약하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습니다. 


2035년이 되면 우리나라 조손가정은 35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이야 수도 없이 많지만 노인도 아동도 모두 어려움을 겪는 조손가정이야말로 민과 관의 관심이 모두 늘어나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조부모와 손자의 사랑은 애틋하고 지나고 보면 아이에게 어린 시절의 푸근한 추억으로 남을 수도 있겠지만 그 사랑이 아픔이 되지 않기 위해선 이 사회의 관심과 제도적 개선이 반드시 필요할 테니 말이죠.


* 통계청 2015

** 통계청 2023

사진 출처 :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매거진의 이전글 시뮬레이션을 돌려보세요, 나의 죽음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