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라이언 Nov 06. 2024

일을 ‘적당히’, ‘요령껏’ 하면 안 되는 이유

회사 생활에서의 독('毒', Poison) 2편

“어떤 일이든 적당히 해야 한다.”, “너무 잘하면 일만 많아진다”, “‘중간’을 목표로 하는 게 가장 좋다.” “너무 열심히 하면 몸만 헤친다.” "요령껏 해라"등의 말을 들을 때가 있다. 군대에서도 들었고, 회사에서도 들었다. 보통 선임이나 선배들이 그런 말을 했던 것 같다. 직장인 커뮤니티에서도 자주 보이는 말이다.


이런 말을 하는 사람의 의도는 안다. 열심히 하는 데 알아주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느낀 경험. 일을 잘하면 자연스럽게 일이 몰리는 데 결국 감당할 수 없게 되어 한순간에 무능한 사람으로 취급되었던 경험. 그러다가 “너 요새 왜 그래? 예전 같지 않아.”라는 말을 들었던 경험. 그리고 정말 온몸과 마음, 시간을 바쳐 일을 하다가 건강을 해친 경험. 이것들을 모두 먼저 경험한 사람들이기에 진심으로 나에게 조언하는 것이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적당히’하는 것이 정답은 아닌 것 같다. 무슨 말인지 공감되고, 이해하지만 가까운 동료가 그런 말을 할 때면 힘이 쫙 빠진다. 일을 어떻게든 최선을 다해 잘하려는 것이 잘못된 걸까? ‘굳이’ 그렇게까지 열심히 할 필요는 없는 걸까? 8년 차인 지금도 이런 생각을 하는 내가 바보인 걸까? 회사 일은 월급  받으면서 욕먹지 않을 정도만 하는 것이 맞는 걸까?


나는 아니라고 믿는다. 하지만 그렇게 일하는 사람이 틀렸다고 말하는 것은 위선이다. 그러니까 적어도 나 만큼은 그러지 않겠다. 이 글은 내 다짐이다. 내가 하는 일은 귀중한 하루, 8시간 이상을 투자하는 대상이다. 그렇기 때문에 ‘잘’ 해야 하고 결과물도 좋아야 한다. 그래서 더 열심히 해야 하고, 스스로 떳떳해야 한다. 100% 만족하는 결과물을 낸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하지만 하얗게 불태웠다는 그 느낌은 있어야 한다. 알아주는 다른 사람이 없어도, 내가 얼마나 진심을 다했는지 나는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일을 하면서 고민한 시간과 에너지의 총량이 모여 어제보다 나아진 내가 될 거라 믿는다.


<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하라>에서 최인아 님은 ‘시간의 밀도’를 강조했다.

'시간의 밀도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계산은 정확하다'고 한 것이 바로 이 뜻입니다. 돌보지 않은 몸만 청구서를 받는 게 아니라 일하는 사람으로서 최선을 다하지 않은, 일에 정성을 다하지 않은 그 시간에 대해서도 계산서는 날아옵니다. 연차는 쌓였으나 역량은 그에 미치지 못한다면, 혹은 다른 이들과 구별되는 역량을 갖지 못한 채 직위만 높아지다 보면 '코모디티'로 전락하는 거죠. 이런 선배나 상사를 후배들이 존경할 리 없죠. 후배에게 무시당하는 시니어가 되는 것은 매우 서러운 일입니다.
누누이 강조하지만 일은 자신을 위해 하는 겁니다. 창업가나 자영업자만 그런 게 아닙니다. 직장인도 스스로를 위해 일하는 거예요. 내가 일의 주인이라 여기는 태도와 노력으로 시간의 밀도를 높이세요. 그럼 그만큼이 자기 역량, 자산으로 쌓일 겁니다.


멋진 문장이다. 직장인은 회사 일을 하지만, 스스로를 위해 일하는 것이기도 하다. 내 일의 주인은 나다. 그래야만 역량과 자산이 축적된다. ‘코모디티’로 전락할 수 없다. 그러니까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


또한, Microsoft를 성공적으로 이끌고 있는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는 스탠포드 경영대학원 강연에서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But don’t wait for your next job to do your best work. Think about every job you get as the most important job, even as possibly your last job. I thought each job was fantastic until I got the next.”

“다음 업무부터 최선을 다 해야지 하면서 기다리지 마세요. 여러분이 하는 모든 일을 가장 중요한 일이라고 여기세요. 더 나아가 여러분의 마지막 업무라고 생각하세요. 나는 다음 업무를 하기 전까지 각각의 업무를 최고의 일, 환상적인 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사티아 나델라가 어떻게 일반 직원 최초로 Microsoft CEO가 되었는지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전 CEO들은 모두 빌 게이츠와 스티브 발머는 창업 멤버였다.)


그렇다면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 ‘진심을 다하는 것’의 기준은 뭘까? 대답하기 어렵다. 조직의 관점에서는 그딴 거 다 필요 없고, ‘성과’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 측면에서는 다르다. 일의 성과뿐만 아니라 일을 통한 ‘성장’도 중요하다. 그리고 '성장'은 최선을 다하고, 진심이 담겨 있을 때 더 빠르고, 크게 찾아온다.


다시 질문으로 돌아가면, ‘열심히, 최선을 다한 것’에 대한 기준은 매우 주관적이다.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잣대를 들이밀 수 없다. 따라서, 본인만의 기준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 기준은 아래 4가지를 모두 충족시켰을 때다.


- 더 이상 뭘 더 해야 할지 모르겠을 때 (내 능력은 여기까지다. 이제 동료의 피드백을 듣고 개선점을 찾을 타이밍이다.)

- 나의 논리와 흐름, 스토리에 스스로 납득될 때 (또는 논리에 빈 곳이 있어도 받아칠 근거가 있을 때)

- 예상되는 질문과 리스크를 가능한 많이 떠올리고, 그에 대해 명확히 대답할 수 있을 때

- 다음에 해야 할 일들이 훤히 보이고 잘 정리될 때


* 단, 완벽한 결과물, 100점짜리 결과물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기억해야 함



정리

‘적당히’ 일하면서, 월급 받은 만큼 일하는 것이 틀린 건 아니다.

그러나, 일에 진심을 다하고 최선을 다하면 아무도 알아주지 않아도 스스로 떳떳하다. 또한, 그렇게 하지 않은 사람에 비해 시간의 밀도가 높다.

시간을 밀도 있게 쓴 사람은 더 많이, 더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

‘최선을 다했다. 진심을 다했다’의 기준은 주관적이다. 스스로 정해야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다시 정리하는 브랜딩과 퍼포먼스 마케팅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