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키포스트 Jan 03. 2023

운전 중 당황할 수 있는 '이 표시'의 의미는?

주행 중 경고등이 켜지면 당황할 수 있다
경고등의 의미를 사전에 알아두고 철저히 대비할 필요가 있다
경고등은 색상으로 위험도를 구분할 수 있다

자동차 계기판의 경고등은 운전자에게 차량의 이상 유무를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주행 중 경고등이 점등됐는데 그 의미를 알지 못한다면 당황하게 되고 사고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동차 경고등의 의미를 사전에 숙지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 경고등은 색상으로 차량의 이상 정도와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색, 황색, 녹색(혹은 청색)으로 구분된다. 먼저 녹색 계열의 경고등은 현재 차량 내에서 작동 중인 기능을 표시한다. 현재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이기 때문에 차량 이상 또는 위험과 관련된 등이 아니라고 볼 수 있다.


반면, 황색과 적색 경고등은 각각 ‘주의’ 및 ‘위험’ 신호를 의미한다. 황색은 차량에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주의를 주기 위함이다. 다행히 당장 조치를 취하지 않다고 해서 큰 위험이 따르는 것은 아니지만 점검을 권하는 단계이다.


하지만 적색 경고등이 켜진다면 상황이 다르다. 빨간색 경고등은 주행 중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 신호를 표시하는 것으로 계기판에 점등된다면 운전을 빠르게 중단하고 즉각적인 조치 및 점검을 실시해야 한다.


[글] 박재희 에디터


적색 경고등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자. 대표적으로 브레이크 및 파킹 브레이크 경고등이 있다. 이는 주차 브레이크가 작동되거나 브레이크액이 부족할 때, 또는 브레이크 패드 마모로 인해 점등된다. 해당 경고등이 켜질 경우 브레이크 페달에 락이 걸리면서 제동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기 때문에 경고등의 원인과 대처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하다.


사이드 브레이크가 체결되어 경고등이 점등된 것이라면 즉각 해결 가능하겠지만 브레이크 자체의 이상이거나 브레이크 패드의 마모로 인한 경우라면 정비소에 방문해서 반드시 정비를 받아야 한다.

엔진오일 경고등도 있다. 주로 장기간 엔진오일 교체를 하지 않아 엔진오일 압력이 저하되거나 오일 순환 계통의 문제로 엔진 오일이 부족해지면 점등된다.


대응 방법으로는 가까운 센터에 방문해 엔진 오일을 충전해야 한다. 엔진 오일 경고등을 예방하기 위해선 교체 주기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최소 10,000 km 또는 1년에 한 번은 엔진 오일을 교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 경고등은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충전 장치가 고장 날 때 표시되고, 냉각수 수온 경고등은 냉각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면(약 120도 이상) 표시된다.


이 외 적색 경고등에는 에어백과 안전벨트 경고등도 있다. 특히 안전벨트 경고등은 많은 탑승자가 한 번쯤은 겪어봤을 경고등이다. 주행 중 자동차 좌석에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을 때 표시되는 것으로, 안전벨트 착용은 안전 운전의 가장 기본이니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에어백이나 안전벨트는 사고 시 안전과 직결되는 중요한 장치다. 따라서 해당 경고등이 나타나면 안전벨트를 체결하는 등 꼭 점검할 필요가 있다.

노란색 경고등에는 먼저 엔진 체크 경고등이 있다. 엔진 전자제어 장치 및 배기가스 제어와 관련한 센서 이상, 연료 탱크와 연료 필터 등 연료 공급 장치에 누유 시 점등된다. 각종 센서에서 ECU로 전송되는 데이터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전자 제어 관련 부품 등에 문제가 있을 때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황색 경고등이니 만큼 당장 운행에는 문제가 없지만 엔진과 관련된 문제이므로 점등됐다면 반드시 정비소에서 점검받기를 권장한다. 

기아차

ABS 경고등도 필히 숙지해야 한다. ABS는 급제동할 때 ‘브레이크 잠김’ 현상을 막고 바퀴가 구르면서 멈추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즉, 제동거리를 단축시켜주고 조향에도 도움을 주는 기능이다. ABS 경고등은 ABS의 퓨즈가 끊어졌거나 시스템에 문제가 생겼을 때 표시되기 때문에 경고등이 점등된다면 운전자는 이를 체크해 볼 필요가 있다.


ESP 경고등도 알아둬야 한다. ESP는 차체 자세 제어장치로 브레이크와 엔진출력 등을 운전자가 의도한 만큼 제어할 수 있도록 스스로 개입해 사고를 방지하는 기술을 뜻한다. 차량 제조사마다 VDC, VSM, ESC 등 다양한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나 모두 같은 ESP를 의미한다. ESP 경고등이 들어왔다면 자동차의 제동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뜻인 만큼 반드시 정비소에 방문해 점검받을 것을 추천한다.

워셔액이 부족하면 표시되는 워셔액 경고등은 비교적 직관적이다. 워셔액 보충은 운전자가 직접 할 수 있을 만큼 간단하기 때문에 경고등이 점등됐다면 워셔액을 구매해 보충하면 된다. 다만, 보충 후에도 경고등이 계속 뜬다면 워셔 탱크에 누수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어 이때에는 점검이 필요하다.

경고등의 종류와 대처법을 간략히 알아보았다. 경고등은 자동차가 항시 안전한 주행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기초적인 안전장비이다. 경고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차량을 운행하다 보면 경고등을 마주하는 일은 필수불가결하다. 따라서 안전 운전을 위해 경고등의 원인과 대처법을 다시 한번 상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아반떼N 오너들 현혹 할, 5천 후반 아우디 ‘이 차’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