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지영 Oct 22. 2023

습작

붓을 잡는 것이 어색하다면 붓을 놓아야 한다.

쓰고자 하는 욕망이 넘쳐서 붓을 잡아도 글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제 멋대로 흐를 수 있다. 그런데 어색한 마음으로 시작한 붓놀림으로는 좋은 글을 만들 수 없다.

하지만 이석은 시작하기가 어려워서 그렇지 쓰다 보면 글이 완성되지 않을까? 하는 미련에 계속 붓을 잡고 있다.

진하게 우려낸 먹물이 다 마르기 전 한 자라도 더 써 보고자 팔에 힘을 준다. 꿈틀거리는 한 마리의 용이 힘을 쓰듯 손목의 힘이 붓에 전해지고 붓 끝은 화선지를 따라 힘차게 달려간다.


兩人對酌山花開 一杯一杯復一杯(양인 대작 산화 개 일 배 일 배 부 일 배: 둘이 마주 앉아 술잔 들다 보니 산엔 꽃이 활짝 피었구나. 한 잔 한 잔, 또 한 잔.)


그런데, 잠시 후 그 힘찬 기세가 채 끝나기도 전에 이석은 스스로 붓을 던졌다. 그림은 몇 번을 덧칠할 수 있지만 글씨는 단 한 번에 써 내려가야 하기에 붓놀림에 망설임이 있어서는 안 되는데, 이석의 붓 끝은 한순간의 망설임에 멈추어 서고 말았기 때문이다.

송골송골 맺히던 땀 방울이 화선지 한 구석을 적시고 있지만 쓰다만 글은 그렇게 서재 한 구석에 구겨져 또 버려지는 신세가 된다.     


박이경이 인터넷을 검색하다가 발견한  이태백의 ‘산중 대작(山中對酌)’ 행서를 모티브 삼아서 써 본 습작이다. 소지 강창원 선생이 친구와 술을 마신 뒤 즉석에서 쓴 글을 소재로 글 쓰는 이의 흥취를 살려 표현해보고자 한 글이지만 마음에 들지 않았다.     

소지 선생이 평생을 연마해 낸 필력을 모티브 삼아 글을 쉽게 써 내려가지 못하는 소설 속 주인공 이석의 심정을 그려내려고 한 시도였다. 하지만 꼭 집어 말할 수 없지만 잘못된 것 같은 느낌이 강했다.

컴퓨터 화면에 깜빡이는 커서와 오랜 시간 눈싸움해 보았지만 좀처럼 자신이 쓴 문장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전문 작가가 아니더라도 지닌 생각을 의도대로 글로 풀어내는 것만큼은 자신 있게 해 보고 싶었는데 그 일도 쉽지 않음을 느낄 뿐이었다. 글쓴이로서 가장 취약한 묘사력 부족을 해결하고자 연습해 본 것이었지만 결과는 실패다. 글자가 모인다고 해서 글이 될 수 없듯이 묘사의 힘은 이처럼 쉽게 키워지지 않았다.

글씨 연습을 하느라 검게 물든 옷과 베, 그리고 붓을 자주 빨다 보니 연못 물이 모두 까맣게 물들었다는 엣 선인들의 경지에 이르려면 아직 멀었음 느꼈다. 하지만 항상 쓸 수 있다는 조급한 마음이 앞서기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리고 처음의 의도와 다르게 쓰인 문장을 보면서 마음 아팠다.

벼가 무르익어 고개를 숙이듯 가슴속에서 할 말이 넘쳐나야 글이 쓰인다는 단순한 진리를 모르고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할 말을 담을 그릇이 너무 준비 안 되어 있음에 더 큰 고뇌가 따라오는 것도 사실이었다. 글자 나열이 아닌 장면을 그려낼 수 있는 힘이 많이 부족한 느낌을 곱씹으며, 그간 써 온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법을 찾고자 시작한 연습이지만 글은 묘사의 힘을 잃고 어떻게 써 갈지 갈피가 잡히지 않았다.

한 예로 비 오는 길에 멈추어 선 한 남자를 그려낼 때, 그의 젖은 발등부터 무심한 눈빛에 이르기까지 전할 소재는 많았지만 글자로 만들어낸 장면이 선명하게 타인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것 같은 조바심에 빠져 있는 것이었다.


무엇이 문제일까? 박이경은 이 상황을 글쓴이라면 누구나 다 겪는 문제라고 자기 합리화해보기도 했지만 여러 갈래로 얽혀 전혀 풀 수 없는 실타래 앞에 선 느낌은 지울 길이 없었다.

묘사력이 뛰어난 글을 찾아 따라 써 보는 방법도 해봤고 다양한 글에서 영감을 얻고자 글 읽는 시간 늘려 왔다고 생각하지만 아직 차고 넘칠 정도의 독서력이 부족한 탓일까? 아니면 습작시간의 부족일까?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오롯이 담기에는 아직 많은 시간이, 그리고 연습이 부족한가 보다는 잠정적인 결론만 내릴 뿐이었다.

박이경이 이렇게 글 쓰는 일에 몰입하기 시작한 것은 사실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박이경은 교사로서 하루하루를 보내며 만나는 아이들과의 관계에서 의미를 만들어 내고 싶었다. 그것이 본인에게 주어진 길이라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길을 걷는 것이 갈수록 쉽지 않음을 느끼고 있었다.

'수많은 연습과 실패의 연속이 인생'이라는 말로 포장할 수 있지만 그 삶을 오롯이 살아내야 하는 개인으로서 박이경의 하루는 힘들게 지나가고 있었다. 더구나 쓰던 글은 구겨 쓰레기통에 버릴 수 있지만 삶의 실수나 실패는 폐기하거나 재생할 수도 없기에 더 크게 다가옴을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이전과는 다르게 많은 상황 속에서 실패의 원인을 찾아 재도전하기도 어렵다고 생각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었다. 그만큼 상처는 크게 다가오고 있었다.

학교-집만 반복하며 다른 곳에 눈 돌리지 않고 살아왔다 생각했지만 학교에서도 집에서도 온전한 자리를 찾지 못한 느낌만 밀려왔다. 그래서 글  쓰기를 통해서라도 돌파구를 찾아보려 했지만 그것도 쉽지 않았다.

하지만 영영 뒤처질까 봐, 혹은 실패할까 봐 도전하지 않는 삶을 살아간다고 해서 행복할 수 없는 것이 인생이라는 사실을 어렴풋이 알기에 뛰다가 넘어져 생채기가 나더라도 용기 내어 다시 도전해 보려 글을 쓰고 있는 것이다. 긍정적인 마음도 자라날 수 있음을 바탕으로 긍정의 마음 근력을 키우는 연습이 가장 필요한 것이라 생각했다. 이 연습의 반복과 도전이 삶을 아름답게 그려갈 수 있을 것이라 믿고 싶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