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행복을 찾아서> 리뷰(해석,결말, 실화)
아침에 눈을 떴다. 평소라면 이미 출근을 했을 아버지가 TV를 보고 계신다. 이상했지만 묻지 않았다. 학교를 갔다 왔지만 여전히 그 자리셨다. 그날 이후에도 한동안 밖을 나가지 않으셨다. 아버지는 직장을 잃었다고 했다.
수많은 아버지가 실업자가 된 때가 있다. 90년대 후반 IMF 구제 금융 사태는 우리 가정을 생계 위기 속에 몰아넣었다. 나라가 외환이 부족해 다른 나라에 빌린 돈을 갚지 못하는 상태였다. 1998년 한 해 동안 다섯 개 시중 은행을 비롯해 6만 8,000개의 회사가 사라졌다. 100만 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노숙자도 넘쳐났다. 어린 기억으로 '참 아픈 시기'였다.
최근 재개봉한 영화 ‘행복을 찾아서’는 그때를 떠올리게 한다. 아픈 시기에 성공한 남자에 대한 이야기다. 뉴욕 월스트리트의 신화적인 인물인 크리스 가드너의 자전적 영화다. 21세기 판 아메리칸드림이랄까. 80년대 샌프란시스코에 노숙자였던 그는 월스트리트로 입성해 불우한 환경과 흑인이라는 인종적 핸디캡을 극복하고 이후 ‘가드너 리치 앤드 컴퍼티’ 회장이 된다.
크리스 가드너(윌 스미스)는 한물간 의료기기를 판매하는 세일즈맨이다. 매일 병원을 다니며 최선을 다하지만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결국 월세를 내지 못해 쫓겨나는 신세로 전락한다. 견디지 못한 아내 린다(탠디 뉴튼)는 집을 떠난다. 아들 크리스토퍼(제이든 스미스)와 함께 길거리 노숙자가 된 가드너는 인생의 마지막 기회를 만나게 된다.
‘Happyness’가 ‘Happiness’로
변해가는 과정
사회는 없고 개인만 남은 영화
관객에게 답을 주는 영화는
극장에서 끝날 것이다.
하지만 관객에게 질문을 던지는 영화는
상영이 끝났을 때 비로소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