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바구읽기 Apr 18. 2024

애도 - 죽음에 대해

  

  독립영화를 찍다 보면, 소중하게 다뤄지는 주제들이 있다. 가족, 꿈과 현실, 사랑, 정체성, 우정, 상처, 상상력, 연대 등. 그중에 요즘의 나를 관통하는 주제가 ‘죽음’이다. 작년 여름에 찍었던 <엄마의 파라솔>, <아마개똥인갤럭시>가 그랬고, 올해에 만나게 된  작업이 그러하다. 우연하게도 그렇게 되었다.


    너무 사랑하는 이의 죽음부터, 내가 슬픔의 주인의식을 가져도 되는가에 대한 죽음까지. 본인의 죽음부터, 타인의 죽음까지.

  죽음이란 게 무얼까. 어떤 개념으로 맞닥뜨려야 하는 걸까.





    최근 들었던 말 중에서 가장 마음에 와닿았던 말은, 죽음 이후 그 물질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공기 중의 원자가 되어 사라지지 않는다라는 것.

실제 과학적으로 그러하다고 한다. 그 물질을 만질 수 없고 다시 접할 수 없어 슬퍼지는 마음이 크기 때문에, 내 주변에 아직 ‘존재’한다라는 사실만으로도 위안이 되는 말이었다.


    또, 엄마의 죽음에 대한 말로, 잠깐 멀리 계신 거고 시간이 많이 지나, 나-중에는 꼭 만날 수 있는 것이라는 것.

평소에도 매일 만나지 않기도 하니까. 그러니 만날 날까지 나도 잘 살다가 만나면 된다. 이 말 역시도 ‘당장’ 사라지지 않는다는 의미라서 위안이 되었었다.





  다만, 한 번씩 크게 슬퍼지는 순간들이 있다. 그럴 때 남아있는 사람들은 무얼 할 수 있을까.



   작업을 준비하며 나눈 대화 중에서, 누군가가 사라진다는 게 그냥 그 사람만이 사라지는 게 아니라, 내 세상도 작아진다는 말이 있었다. 그 사람과 열린 마음을 나누었었는데 이제 그 사람이 없고, 다른 새로운 사람을 만나게 될 때 그 사람들에게 쉽사리 마음이 열리지 않는다고. 그 사람의 존재감이 없는 것인데, 내 존재감 역시도 줄어든다. 그 말이 되게 슬프면서도 와닿았다. 아무는 데에는 물리적인 시간이 필요하다.



  항상 죽음을 가까이 생각하면서 살던 편이었다. YOLO라는 말을 말 그대로 받아들이고 내 지금을 느끼며 살자고 생각했다. 다만, 막상 앞에 다가올 가족들이나 나의 죽음을 실제라고 상상해 보면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내가 사랑하는 것들을 꽉 움켜쥐고 살고 있는데, 그 사랑들이 사라진다는 상상을 하면 내 손가락 사이를 스쳐 모래처럼 파스스하고 흩어져버리는 것 같다.​​



    여러 종류의 슬픔이 있고, 상실이 있다. 모두 가슴 한편에는 못이 박힌 것과 같은 정 박힌 아픔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살아가는 건 그 아픔에 점점 무뎌지고, 그럼에도 용기를 내서 살아가는 게 아닐까.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시간이 필요하다.







  이번 장편작업을 하는 과정 중, 다시 한번 마음을 가다듬어본다. 영화 속 그 순간을 차분하게 맞이하기를. 그 애도의 과정을 진심으로 내가 함께할 수 있기를. 그 공간과 공기를 꼭꼭 씹고 느끼기를.


  홀로 마주한 용기의 순간을, 내가 겸손하게 받아들이고 표현할 수 있기를 바란다. 그럴 것이다.





Edvard Munch (1863-1944 Norwegian) • Towards the Forest II







작가의 이전글 첫 단편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