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차칸양 Jul 26. 2016

'자두'는 유년 시절의 추억이다

여름의 맛, '자두!'


여름의 맛, 자두!


여름입니다. 그냥 여름이 아니라 벌써 며칠째 열대야로 잠까지 설치게 만드는 아주 핫한 여름입니다. 솔직히 이런 무더위 때문에 저는 여름이 별로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겨울보다는 여름이 나은 편인데요, 여기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 이유로 겨울은 회색빛 스산함으로 가득찬 계절이지만, 여름은 초록빛 향연이 펼쳐지는 활력의 계절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겨울은 매서운 추위로 생명을 움츠려들게 만드는 반면에, 여름은 몸에 땀을 나게 함으로써 생명이 살아있음을 느끼게 해주기 때문이고요. 그리고 겨울은 노년의 나이듦, 이별, 어둠을 의미하지만, 여름은 한창의 전성기, 젊음과 청춘을 대변하는 계절이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겨울은 유자와 귤, 한라봉과 같은 몇가지 과일 밖에 맛볼 수 없지만, 여름은 포도, 매실, 복분자, 복숭아, 자두, 수박처럼 다양한 과일 들을 골라 즐길 수 있는 풍성한 계절이기 때문이죠.


과일을 그렇게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해마다 여름이 되면 꼭 생각나는 그리고 반드시 한번 쯤은 맛봐야만 ‘아, 진짜 여름이구나!’하고 느끼게 만들어주는 과일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자두’인데요, 언제부터인지, 그리고 그 명확한 이유도 잘 모르겠지만, 언젠가부터 ‘자두’는 제게 있어 여름의 한가운데에 들어서 있음을 깨닫게 만들어주는 ‘여름의 맛’이 되었습니다.


얼마 전 소설가 김훈의 산문집 <라면을 끓이며>에서 자두에 대해 언급한 대목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글을 읽고서야 비로소 제가 왜 자두를 ‘여름의 맛’으로 좋아하는 지 그 구체적인 이유를 알게 되었습니다. 같이 읽어 보시죠.


자두는 요물단지로 생겼다. 자두는 식물임에도 불구하고 동물적 에로스의 모습을 하고 있다. (중략) 자두의 향기는 육향(肉香)에 가깝다. 그 향기는 퍼지기보다는 찌른다. 자두를 손으로 만져보면, 그 감촉은 덜 자란 동물의 살과 같다. (중략) 입을 크게 벌려서, 이걸 깨물어 먹으려면 늘 안쓰러운 생각이 든다. 이 안쓰러움은 여름의 즐거움이다.


안쓰러움. 마치 갓 태어난 동물의 새끼를 잡아 먹는 듯한 스스로의 야만스러움에 죄책감을 느끼면서도 그 맛에 취해 어찌할 줄 모르는 그런 감정이 바로 자두를 한 입 베어먹기 전의 느낌이 아닐까 합니다. 표면의 매끄러움, 지그시 눌렀을 때의 부드러운 탄력은 마치 아기 피부의 그것과 같지 않나요? 게다가 잘 익은 자두의 색은 단순히 빨간색이 아닌, 원숙함과 미숙함의 그 경계를 넘나드는 오묘한 조합이 아닐 수 없습니다. 또한 자두를 집으면 눈이 즐겁고, 손이 행복해집니다. 그리고 한 입 베어 물었을 때 쏟아져 나오는 그 형용하기 어려운 향과 새콤달콤을 넘어서는 자두 만의 독특한 과즙 그리고 야들야들한 속살의 느낌은 입 안을 즐거움의 향연, 축제로 만들어 줍니다. 그야말로 자두는 ‘여름의 맛’이라 하기에 전혀 부족함이 없을 정도입니다. 저는 이런 여름의 과일, 자두가 좋습니다.



자두의 유래


자두의 원래 이름은 자도(紫桃), 즉 보라색 복숭아를 닮았다 하여 자도라 부르다가, 자두로 이름이 바뀐 것이라 합니다. 순수 우리말 이름은 오얏, 한자로는 이(李)라 쓰고요. 그렇다면 이(李)씨 성(姓)을 가지신 분들은 자두를 다 좋아하실까,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자두나무는 본래 우리나라에 자라던 나무는 아니고 삼국시대 이전에 중국에서 가져다 심은 수입나무로, 시경에 보면 중국에서도 주나라시대에는 꽃나무로서 매화와 오얏을 으뜸으로 쳤다고 합니다. 


오얏(자두)나무에 얽힌 이야기로는 노자의 어머니가 오얏나무 밑을 지나다가 노자를 낳았는데, 나면서부터 말을 할 줄 알았다는 노자탄생의 전설이 가장 유명하고, ‘오얏나무 아래에서는 갓끈을 고쳐 매지 않는다(李下不整冠)’는 속담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는 갓을 고쳐 쓰려 손을 위로 올리면 자두를 따려는 것 같아 보여 오해를 살 수 있기 때문에, 오해 받을 만한 짓을 하지 말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자두'는 유년시절의 추억


여기서 잠깐, 아래 사진을 보시죠. 아주 탐스러운 자두죠? 하트 모양 같아서 사랑스럽기까지 한 자두입니다. 사실 이 사진은 사진이 아닌 유화로 그린 그림입니다. 서양화가인 이창효 화백의 작품으로, 이화백은 평생 대부분을 ‘자두’만 그린 일명 ‘자두화가’입니다. 그는 왜 자두 그림만 그릴까요? 이유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는 그 이유에 대해 이렇게 답합니다. “자두는 매일같이 그려도 질리지 않습니다. 그냥 보기에는 비슷하게 보이지만 품종도 다양하고 형태와 빛깔도 여러 가지입니다. 저는 이 자두 작업을 평생 작업으로 생각합니다.” 그냥 평이한 대답같죠?^^


[NO 291] 자두-행복. 53 X 41 . Oil on Koreanpaper. 이창효 화백 작품


[NO 234] 자두. 기억. 40650.  100 X 65.2 .Oil on canvas.2015. 이창효 화백 작품


[NO 256] 자두-풍요. 45.5 X 45.5 . Oil on canvas. 이창효 화백 작품


사실 그에게는 자두에 대한 유년의 추억이 있다고 하는데요, 해마다 여름이면 어머니를 졸라 자두나무를 키우는 외갓집에 갔다고 합니다. 그에게 있어 외사촌들과 함께 나무에서 직접 따 먹던 그 달콤새콤한 자두의 맛은 아마 평생 잊을 수 없는 여름의 맛으로 기억되고 있을 겁니다. 제가 생각할 때 이화백이 자두 그림을 평생동안 그리고 있는 이유는, 아마도 자두 그림을 그리는 동안 외갓집, 외할머니, 어머니, 지금은 돌아갈 수 없는 시골의 풍경 등 유년의 추억들을 되살리는 추억의 여행을 떠나는 것이란 생각이 듭니다. 그 잊을 수 없는 맛, 기억, 추억 그리고 그 속에 담긴 행복의 감정들을 그림으로 그리고 얼굴에 가득 되살리면서 말이죠.


자, 무더운 여름, 여름의 맛을 느낄 수 있는, 그리고 유년의 행복을 떠올릴 수 있는 자두 한번 맛보는 건 어떨까요?



* 덧붙임

이창효 화백의 자두 작품을 더 감상하시려면 이화백 홈페이지(http://www.artko.kr/leechanghyo)를 방문하시면 됩니다.





차칸양

Mail : bang1999@daum.net

Cafe : http://cafe.naver.com/ecolifuu(경제/인문 공부, 독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