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최다운 바위풀 Sep 11. 2021

루이지 기리의 사진 수업을 듣다

삼십 년전의 육성 기록

루이지 기리의 작품을 처음 만난 것은 첼시의 줄리 사울 갤러리에서 열렸던 4인 그룹전이었습니다. 라즐로 모홀리-나기와 루이지 기리라는 과거의 마스터들로부터 영감을 받은 두 명의 젊은 작가들이 올리는 오마주였죠. 그때 처음 코다크롬 작품을 보았는데 인상적이었던 기억이 납니다.



<루이지 기리의 사진 수업>은 1989년부터 1990년 사이에 했던 강의 녹취록을 정리한 것입니다. 그러니까 이 책을 읽으면 삼십 년 전에 루이지 기리가 했던 수업을 듣게 되는 거지요.



사진 기술을 전수하는 책은 아니지만, 잔잔히 생각하면서 줄 치는 재미가 있습니다. 1989년에도 라이카는 여전히 비쌌다는 사실(??)도 알게 됐고요.  :)



열화당에서 얼마 전에 2쇄를 찍었다고 했는데 더 많은 분이 읽기를 바라며 몇 군데 공유해 보겠습니다.




“네, 그래요. 매우 강력하지만 연금술에 가까운 작업을 거쳐서, 사진가의 내면과 외부세계 간의 균형을 찾는다는 의미입니다. 다시 말해, 인격체를 지닌 사진가로서의 내면과 사진 촬영을 끝낸 후에도 여전히 존재하게 될 외부세계의 평형을 이루는 것이죠.”

- 자기 자신을 잊기, 1989년 1월 27일 2부 수업
“제가 볼 때, 동시대성과 현대성은 각각의 예술 장르가 지닌 특징을 이해하고 다른 예술 언어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때 훨씬 더 드러납니다. 한 언어를 그대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소통의 메커니즘을 시도하는 겁니다. 이미지, 사진, 노래, 문학, 영화와 같은 장르들은 사실상 의미들이 서로 연결된 별자리와 같습니다.”

- 탐색, 1989년 2월 3일 1부 수업
“개인적으로 라이카 타입의 레인지 파인더 카메라를 선호하는데, 지금은 너무나 비싸졌죠.”

- 카메라, 1989년 2월 3일 2부 수업
“다른 카메라를 사용했으면 더 찍었을 거라고 생각하기보다, 현재 갖고 있는 수단과 자기만의 독특한 감수성을 연결 지으려고 노력하는 게 중요합니다.”

“제가 빛의 민감도를 말할 때는 그늘에서 촬영해야 할 영역과 양지에서 촬영해야 할 영역을 구분하라는 의미만 있는 건 아닙니다. 여러분의 내면, 촬영 순간, 그 순간에 존재하는 빛에 바로 해답이 있습니다.”

- 빛, 프레임, 외부세계 지우기, 1990년 2월 8일 수업




#북스타그램 #책스타그램 #루이지기리 #사진수업 #루이지기리의사진수업 #코다크롬 #열화당 #이탈리아사진가 #현대사진가





매거진의 이전글 <즐겁게 미친 큐레이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