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칠곡기 Sep 23. 2021

제페토, 아바타는 예쁜데 내집마련(마이룸)은 아쉽더라.

위장취업기<제페토> 편2화 : 프로덕트 개선하기

안녕하세요 여러분! 추석 연휴는 잘 보내셨나요? 

위장취업기 팀에서는 지난 1화에서 메타버스와 제페토에 관한 시장조사를 진행했었는데요, 외부에서 보았지만 정말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어요. 메타버스가 주목받는 이유부터 다양한 가상 월드까지 말이에요! 오늘은 그 뒤를 이어 본격적으로 제페토에 위장취업을 했다는 가정 하에, PM으로서 제페토에서 인사이트를 찾아 개선해보려고 해요. 그럼 같이 제페토 내부를 털어보러 갈까요?!


▾ 지난 1화가 궁금하시다면?



목차

제페토는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을까요? [PMF 분석]
사용자는 제페토 세상에 어떻게 빠져들게 될까요? [AARRR 분석]
엄마 아빠도 사용하는 가상세계 만들기 [화면 UX 개선]





1. PMF(Product Market Fit)을 달성했는가


제페토는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했을까요?

 PM 수수나

제페토는 카메라로 얼굴을 촬영하면 자동으로 인식해서 자신과 닮은 아바타를 생성해줍니다. 그 이후에도 이목구비 등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만든 아바타로 "3D 월드 맵"에서 전 세계 친구를 만나고 "포토 부스"를 이용해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현실 세계와 마찬가지로, 피드에 콘텐츠를 업로드하며 친구들과 소통하는 "소셜 활동"도 가능해요.

고객의 문제 : "고객은 자신이 원하는 형태의 3D 아바타를 만들기 어렵다."

설루션 : "쉽게 만드는 나만의 3D 아바타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핵심 고객 가치


핵심 고객 가치는 "소셜 네트워킹"과 "유저 생산 콘텐츠(UGC)"에 있습니다. 제페토는 IP 사업자와의 제휴를 통해 팬덤을 활용하고, 소셜 네트워킹을 유지시키고 있습니다. 한편, 제페토 스튜디오를 사용하면 3D 기술에 대한 이해가 없어도 손쉽게 3D 아이템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제작한 아이템은 제페토 샵을 통해 판매와 수익 창출이 가능해요.




차별화 포인트   


AI 얼굴 인식 기술

콘텐츠 제작 템플릿 기능

네이버 IP 사업과의 시너지




제페토는 PMF를 달성했을까?


가능성은 높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올해 3월 제페토의 MAU는 (1,236만). 서비스 출시 3개월 만에 확보한 MAU(1,093만)과 비교해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즉, 지난 3년 간 PMF 달성을 확정 지을 정도의 성장 곡선(J-curve)을 그리지 못한 것이죠.


PMF 달성을 판단할 수 있는 핵심 지표

� 1차 PMF 달성 핵심 지표 : 트래픽 (달성 완료)

� 2차 PMF 달성 핵심 지표 : 제페토 스튜디오 거래액 (진행 중)


동일 비즈니스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로블록스"

네이버 제트는 "제페토 생태계 활성화"가 핵심 목표라고 밝혔으며, 이에 필수적인 블록체인 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페토 스튜디오 거래액"을 2차 PMF 달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2. AARRR 퍼널 분석


제페토 세상에 스며드는 비밀

 PM 뭉크

 제페토 사용자의 90%가 해외 유저이며, 사용자의 80%가 10대라고 하는데요, 아바타를 활용한 서비스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제페토만큼 성장한 서비스는 없었습니다.

도대체 어떤 점이 글로벌 M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았을까요? AARRR 퍼널을 활용해서 제페토에 유저들이 스며드는 과정을 하나씩 털어보려고 해요.



Acquisition : 신규 유저 확보  

 

제페토는 사람들이 소통하는 SNS 역할을 합니다. 집단에 소속되고 싶어 하는 10대의 심리적 특성으로 인해 기존 사용자와 함께 어울리기 위해 자연스럽게 신규 사용자가 유입됩니다.


아이돌, 명품 브랜드와의 컬래버레이션은 10대 유입을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됩니다. 메타버스에 익숙하고, 아이돌이 하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따라 하고 싶고, 명품 소비를 선망하는 10대에게 어필할 수 있습니다.




Activation : 긍정적인 사용경험   


제페토의 초기 활동은 '캐릭터 생성' '피드' '제페토 월드'가 있습니다. 캐릭터 생성은 아바타에 대한 몰입감을 높이고, 피드 활동으로 자연스럽게 SNS를 할 수 있으며, 제페토 월드로 친구들을 초대하여 놀면서 코로나로 인한 소통의 욕구를 해소하여 긍정적이고 몰입도 높은 사용자 경험을 만듭니다.


정체성을 확립하는 시기의 10대는 더 멋있는 자신의 모습을 꿈꾸죠. 제페토의 높은 자유도는 이런 이상 실현을 가능하도록 만듭니다. 만화 캐릭터의 주인공이 되고 싶거나 연예인이 되고 싶다면 제페토 안에서 이룰 수 있어요.




Retention : 재방문   


제페토에서 한번 커뮤니티를 만들면 그 안에서 소통하고 만나고자 하는 집단의 니즈로 인해 지속적으로 방문이 유도됩니다.


Z세대를 잡기 위한 기업과 크리에이터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맵이나 의상이 새롭게 생기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받고 재방문하게 됩니다. 제페토로 만들어진 캐릭터를 그림으로 다시 그려서 더 예쁘게 하는 '제페토 리터칭'처럼 제페토 사용자들이 자체적으로 만들어낸 놀거리도 생겨납니다.




Revenue : 매출   


젬과 코인이라는 화폐 수단이 있습니다. 비용을 지불하고 충전할 수 있으며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어요.


제페토 스튜디오를 통해 아이템을 제작하고 판매하는데 여기서 판매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이 BM은 크리에이터도 직접 제품을 판매하며 수익을 올릴 수 있어요.


다양한 브랜드와 지속적으로 컬래버레이션을 진행하며 광고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Referral : 추천   


제페토를 사용하는 유저가 인스타그램과 유튜브에서 제페토 코디, 크리에이터 수익화 방법 등 2차 콘텐츠가 자연스럽게 만들며 바이럴 효과를 얻습니다.


제페토 크루에서는 우정 테스트 같은 테스트를 여러 가지 제공하고 있는데 사용자의 자발적인 공유를 위한 장치로 사용됩니다.





3. 주요 화면 UX 개선

엄마, 아빠도 사용하는 가상세계 만들기

 PM 

저는 이번에 제페토를 사용하면서 가장 불편했던 것이 모든 페이지에 너무 다양한 콘텐츠를 보여주려고 한다는 점이었어요. 홈 피드만 하더라도 <마이룸, 추천 피드, 친구와 함께 플레이, 지금 주목해야 할 아이템, 부스로 표현해보기> 카테고리처럼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월드와 피드 또한 너무 다양한 콘텐츠를 한 번에 보여주어서 간결해져야 한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이 중에서 우리는 Activation 단계 중 하나인 캐릭터 생성 부분에 집중해보기로 했습니다. 자아를 가장 많이 반영하게 되는 프로필 페이지에서 마이룸이랑 캐릭터를 편집하는 데에 너무 복잡해서 유저들이 자신만의 마이룸을 만드는데 쉽게 포기할 것 같았거든요. 프로필 페이지를 하나씩 확인해보면서 개선해나가 볼게요.



1) 마이룸


▾  우선 제페토의 마이룸 페이지를 보면 너무 많은 기능이 들어가 있습니다. 큰 묶음으로 봤을 때, 마이룸 기능, 프로필 기능, 피드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안에서 모든 기능이 세분화되어 들어가 있어서 화면이 복잡하다고 느꼈습니다. 



▾  이 부분을 아래와 같이 재구성해보았는데요, 기존에 있던 화면 설계서에서 프로필 사진과 QR코드를 제외하였고, 마이룸 기능이 메인으로 보일 수 있도록 변경하였습니다.





2) 제페토 화면 변경


▾  화면을 변경한 기준은 ' 목적' 이 같은 기능을 통일하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자신을 표현하는 ' 목적'을 가진 마이룸과 프로필 사진을 합치고, '친구 추가' 목적을 가진 '친구 추가'와 ' QR코드'를 합쳤습니다.




3) 얼굴만 보이는 프로필이 필요한 기능일까?


▾  마이룸과 프로필은 자신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공통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바타를 중복해서 보여주는 프로필 사진이 없어도 마이룸 기능을 통해서 표현이 가능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바타도 결국 마이룸에 속하여 내가 꾸밀 수 있는 기능 중 하나이니까요. 그리고 아바타를 마이룸을 통해 전체 모습을 보여주면 더욱 개성 있는 모습을 프로필에서 표현이 가능하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4) 큐알코드와 친구 추가 버튼 합치기


제페토 프로필에서 수정한 두 번째 기능은 'QR코드' 기능입니다. 개선하기에 앞서, QR 코드 기능이 많이 사용되는지 조사해야 해요. 많이 사용되지 않는 기능이면 우선순위가 낮은 태스크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지금은 위장 취업한 상태라 아직 권한이 없으니 넘어갈게요.ㅜㅜ (대신, QR코드 기능 자체는 최근 방문자 체크 기능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많은 유저들이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라고 가정해볼게요.)


▾  기존 프로필(왼쪽)에는 QR코드와 친구 추가가 별도의 아이콘으로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두 기능은 모두 "친구 추가"라는 공통적 목적을 가지므로 QR 코드 기능을 친구 추가에 포함시키고, 친구 추가 아이콘만 남겨 프로필을 단순화했습니다(오른쪽).




▾  친구 추가 페이지의 'QR 코드 기능'을 수정하면서 아이콘 디자인도 바꿔봤습니다. 기존 화면에서는 페이스북 친구 추가하기' , ' 친구 초대', '코드 스캔하기'와 달리, 'QR코드 기능' 아이콘만 오른쪽 상단에 따로 배치되어 있었는데요, 텍스트 없이 아이콘만으로는 기능을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따라서 ' 내 QR 코드'라는 텍스트를 추가하고 연관 기능인 '코드 스캔하기'와 함께 배치해서 사용성을 개선했습니다.






<제페토> 위장취업은 여기까지!

오늘은 제페토의 비즈니스 모델, PMF, AARRR 퍼널 구조를  분석하고, 제페토 성장을 위한 UX 개선 방안을 구상해봤어요. 칠곡7I의 <제페토 위장취업기>, 어떠셨나요?

인사드리기 전에, 다음에는 어떤 서비스 기업에 입사하게 될지 궁금하지 않으세요?
(힌트) 아, 요즘에 약도 배달된다던데...
 
그럼 저희는 이만 퇴근합니다! 



요약

제페토는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했을까요? [PMF 분석]
: 사용자는 확보했고, 미래 시장 가치에 배팅하는 중!
사용자는 제페토 세상에 어떻게 빠져들게 될까요? [AARRR 분석]
: SNS FOMO(신규 유저 확보) > 자아 반영(긍정적 사용경험) > 유저 스스로 지속적인 콘텐츠 생산(재방문) > 제페토 스튜디오와 브랜드 콜라보 (매출) > 인스타그램에서 우정 테스트까지 (추천)
엄마 아빠도 사용하는 가상세계 만들기 [화면 UX 개선]
: 새로운 세계에서도 안정성에 집중! 제페토 월드의 빠른 정착과 자신만의 공간 구축을 위해 프로필 페이지 마이룸부터 개선하자. 



참고자료

대문사진 출처: https://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838671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가 보고 싶다면?


▾ PM 수수나

▾ PM 뭉크


▾ PM 웅


작가의 이전글 이번 추석에는 제페토에서 만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