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빅이슈코리아 Jun 12. 2020

[온더로드] 거리의 예술가


글 l 사진. 박로드리고세희



유럽에선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광장이나 거리 곳곳에서 ‘거리의 예술가’를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다. 그들은 자신의 재능을 무대나 갤러리에서 펼쳐 보일 기회를 아직 얻지 못한 무명의 예술가이다. 어쩌면 예술가 지망생이거나. 그들 덕분에 시민들은 뜻밖의 즐길 거리를 얻고 화답으로 얼마간의 관람료를 지불한다. (중략)


 고가 브랜드 매장이 즐비한 프랑스 파리의 중심가였다. 누군가 벽에 서서 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주변을 지나던 사람들은 눈길 한 번 주지 않고 바쁘게 제 갈 길을 갔고, 거리의 화가는 묵묵히 자신의 일을 했다. 흐트러짐 없이 창작에 집중하는 모습이 더없이 아름다웠다. 여태 보았던 거리의 화가들과는 사뭇 느낌이 달랐다. 길 가는 사람들에게 눈길도 주지 않고 말도 걸지 않았다. 바닥엔 모금함도 없고 무어라 메시지도 없었다. 그림이라도 한 점 살까 싶었지만, 조금 고민하다가 그냥 두었다. 배낭 하나 달랑 메고 떠난 여행이었기 때문에, 그림이 상하지 않게 한국까지 운반할 자신이 없었다.



여행이 끝나고 한참이 흘렀지만 가끔씩 그가 생각난다. 무리를 해서라도 그림을 샀다면 좋았을걸. 그는 과연 그날 그림을 파는 데 성공했을까? 문득 고흐가 생전에 단 한 점의 그림만을 팔았다는 이야기가 떠올랐다. 그마저도 고흐의 가난을 딱하게 여긴 친구가 일부러 사준 것이라고.  


소설가 김영하와 평론가 조영일이 격한 논쟁을 벌인 적이 있었다. ‘작가는 언제 작가가 되는가?’라는, 작가의 포괄적 개념에 관한 것이었다. 김영하는 작가가 되는 것은 등단 등을 통해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작가라 여기며 글을 쓰고 있는 사람은 이미 작가라고. 조영일은 작가란 생계수단으로 글을 쓰는 사람이며 외부의 시스템이 그에게 작가의 자격을 부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거리의 예술가를 보며 작가 논쟁을 떠올리곤 했었다. 이들은 과연 예술가일까, 아직 예술가가 아닌 것일까? 예전에는 답에 이르기 어려웠지만 지금은 선명하다. 길 위에서 자신의 예술을 선보이는 사람들. 그들은 이미 예술가다. 달리 부를 수 있는 말이 없다. 그들은 이미 자유롭고 선명한 예술가다.


박 로드리고 세희

영화와 드라마, 다큐멘터리를 넘나드는 촬영감독이다. 틈틈이 여행을 하며 사진을 찍고 사람이 만든 풍경에 대해서 글을 쓴다.


위 글은 빅이슈 6월호 228호에 실린 기사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상식적인 세상으로의 회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