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토끼 May 04. 2022

순결을 지킬 것을 서약합니다

졸린 눈을 비비며 쓰라니 쓰고 읽으라니 읽었다

교실에 앉아 있던 학생들이 모두 자리에서 일어나 서약서를 읽는다. 


나는 미래의 배우자와 나 자신을 위해 순결을 지킬 것을 서약합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교회가 아닌 교실에서 벌어진 풍경이다. 지금은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이지만 2000년대에는 순결서약서를 쓰거나 순결사탕을 나눠주는 학교가 꽤 많았고, 특히나 보수적인 고장의 여학교에서는 흔한 일이었다. 물론 나를 포함한 대부분은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하게 된 이 서약에 별다른 관심이 없었던 것 같다. 졸린 눈을 비비며 서약서를 쓰라니 쓰고 읽으라니 읽었다. 그러면서도 무의식중에는 이런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순결을 지키는 일이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칭찬받는 일이구나.


드라마를 봐도 순결에 대한 생각은 무의식중에 각인되었다. 수많은 드라마 속의 사랑에 빠진 남녀들은 서로를 아무리 미친 듯이 사랑해도 그 사랑을 육체적으로 확인하는 건 딱 키스까지일 뿐 거기서 더 진전되는 스킨십은 간접적으로라도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키스를 나눈 두 사람의 관계는 반드시 결혼으로 귀결되었다.


하지만 그 때 케이블 채널에서 늦은 시각이면 틀어주던 외국 드라마들은 달랐다. 그 중에서도 당시 가장 인기가 많았던 드라마는 <섹스 앤 더 시티>. 물론 정규방송에서 틀어주던 대부분의 멜로드라마와 달리 관람가가 높았다는 결정적인 차이도 있다. 하지만 같이 하룻밤을 보낸 남자와 쉽게 헤어지고 다음 화에서 바로 또 다른 사람을 만나기도 하는, 섹스가 별 대단한 게 아니라 즐거운 교류이고 지속적인 관계로 이어질 가능성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드라마 속 인물들은 낯설긴 했지만 타락해 보이지는 않았다. 그들에게 순결서약서를 들고 가면 코웃음을 치며 박박 찢어버릴 것 같았다.


다시 보면 말도 안 되는 설정도 많지만 종종 엄마 몰래 재미있게 봤던  <섹스 앤 더 시티> (특히 이성적으로 보이지만 전혀 이성적이지 않은 미란다를 좋아했다)


대체 연애의 진실은 어떤 드라마 속에 있는 걸까. 아직 나이 앞에 숫자 ‘1’을 떼지 못한 나로서는 알 길이 없었다. 교복 입고 연애하는 건 날라리들이나 하는 짓이라는 생각이 아주 보편적일 때였고, 나는 날라리가 되기에는 너무 겁이 많았다. 그런데 드디어 스무 살이 되어 마주한 연애의 세계는 드라마로 예습했던 것과는 너무나 달랐다. 첫키스가 곧 결혼으로 이어지는 한국 멜로드라마와 뉴욕을 배경으로 한 19세 이상 시청가 드라마 사이의 간극만큼이나 복잡하고 모순적이었다. 나는 그 사이에서 내내 아찔한 멀미를 느끼며 청춘을 보냈던 것 같다. 나보다 먼저 연애를 시작한 친구는 나에게 연애를 오래 유지하는 법칙이라며 다음 사항을 알려 줬다.


일주일 안에 손잡지 말 것. 한 달 안에 키스하지 말 것. 일 년 안에 자지 말 것.


마치 윤하의 노래 '비밀번호 486(하루에 네 번 사랑을 말하고 여덟 번 웃고 여섯 번의 키스를 해줘~)'의 현실 버전 같은 연애의 법칙을 들으며 나는 고개를 끄덕였다. 그렇지. 여기는 뉴욕이 아니니까. 순결을 지켜야 한다는 생각은 없어도 순결을 지키기 위해 애쓰는 시늉은 하는 게 연애의 법칙이로구나. 참 이상하지만 그게 내가 마주친 세상이었다. 생리대를 살 때면 아무도 못 보게 검은 비닐 봉지로 봉해서 들고 와야 하고, 콘돔을 살 때는 거의 준범죄 수준으로 조심스러워야 되는 세상이기도 했지만, 유흥가마다 모텔이 즐비한 세상이기도 했다. 대학 때문에 타 지방으로 와서 자취를 하게 된 친구들 중에는 주거비도 아낄 겸 동거하는 커플들도 꽤 많았다. 물론 걔네 둘이 동거한다더라 하는 이야기는 대개 소문으로만 은밀히 퍼져나갔다. 앞에서는 잘 됐다고 부러워하면서도 뒤에서는 손가락질하기 십상이었으니까. 연애 상대가 자주 바뀌는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조신함의 기준은 언제나 상대적이었고, 매력적인 여자가 헤픈 여자가 되는 건 순식간이었다.


나에게 연애의 법칙을 알려준 친구는 결국 첫 번째 남자친구와 결혼식을 올렸다. 그 때 방영되었던 수많은 드라마의 여주인공들처럼. 꽤 이른 나이에 결혼한 그 친구의 웨딩드레스 입은 모습이 내심 부러웠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누구나 주인공이 될 수는 없는 법이다. 나는 주인공에게 박수를 보내주는 조연이었고, 현실의 청춘들이 대개 그러하듯 그다지 아름답지도 대단하지도 않은 연애들을 했고 헤어졌다. 그렇다고 <섹스 앤 더 시티>의 인물들처럼 자유로운 연애를 이어갔던 것도 아니다. 헤어짐은 매번 무겁고 두려웠다. 실패한 연애가 늘어갈수록 내용도 잘 기억나지 않는 순결서약서가 자꾸만 마음 속 깊은 곳에서 나를 질책했다. 점차 나이를 먹어가고 세상이 변해가면서 비로소 그 실체 없는 죄의식에서 조금씩 자유로워질 수 있었다.


몇 년 전에 가깝게 지내던 지인 분께 자신은 개인적 신념에 따라 순결서약을 했고 지금도 지켜나가는 중이라는 고백을 들었다. 이상하게도 그 분의 순결서약은 무겁지도 고리타분하지도 않고 참 멋져 보였다. 진지하게 고민하고 스스로 택한 길이었음을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오히려 서른이 다 되도록 혼전순결을 지킨 사람을 신기하게 보는 세상이 되었지만, 그 분은 그런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았다. 그 아랑곳하지 않음이 참 멋졌다.


누가 스무 살의 나에게도 그렇게 세상의 이중적 잣대에 아랑곳하지 않는 법을 알려줬더라면 내 이십대의 연애가 조금은 덜 혼란스러웠을까. 순결서약서나 순결사탕 대신에 조금이라도 현실적인 성교육이 이루어지는 시대였더라면 어땠을까. 내가 어떤 사람이고, 관계에서 어떤 선택을 하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을 어떻게 질지 고민하는 법을 배우기에 나는 미숙했고 세상은 정답 없는 주관식이었다.

매거진의 이전글 교실이라는 감옥에 갇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