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블록군 Jun 21. 2024

[거꾸로자기계발] 에디슨 vs. 아인슈타인

수면과 몰입 


뇌 과학책을 읽다보면 공통적으로 나오는 이야기가 있다. 수면과 몰입의 관계다. 이 둘에 대해서는 부족한 나지만 책 한 권을 따로 쓸 수 있을 정도로 하고 싶은 말이 많다. 


수면에 대해서는 어렸을 때 부터 관심이 많았다. 어디 나뿐이겠는가. 유교 사상의 영향인지 우리는 잠에 대해서 굉장히 냉정하다. 4당5락이라는 말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아침형 인간, 4시간 수면법, 미라클 모닝 같은 자기계발서, 자기계발법의 열풍도 맥락을 같이 한다. 나도 영향을 받아서 4시간 수면법도 연습하고, 5시 기상도 해보려고 노력했다. 며칠간 일어날수는 있었다. 문제는 그 다음이었다. 종일 헤맸다. 익숙해지면 괜찮겠지 했지만, 도저히 안됐다. 머리속에 안개가 가득 낀 것 같았다. 


사람은 단식하면 100일도 버틸 수 있다. 최장기간 단식으로 기네스북에 오른 사람은 무려 382일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잠을 자지 않으면 10일도 버티지 못한다. 잠은 먹는것보다 인간에게는 더욱 중요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1/3을 잠을 자는 시스템으로 셋팅된 것 일지도 모르겠다. 


에디슨과 미켈란젤로 


잠을 줄이는 성과에 대해서 이야기할 때 1순위로 나오는 사람은 에디슨이 아닐까 한다. 어렸을 때 읽었던 에디슨 위인전에서도 가장 기억이 나는 것이 에디슨은 발명을 하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 4시간만 잤다는 것이었다. 


미켈란젤로는 더 하다. 시스티나 성당 벽화를 그리는 4년동안 3시간 일하고 15분 쪽잠을 잤다고 한다. 물론 이 내용은 정설이라고 받아들이기에는 말이 안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왜 이런 내용이 후대에 전해지며, 후대 사람들에게 본 받아야 할 자세로 생각되는지가 중요하다. 


'에디슨은 하루에 4시간 잤다.' '미켈란젤로는 시스티나 성당의 벽화를 그릴 때 3시간 일하고 15분씩 쪽잠을 잤다'는 환상에 집착한다. 우리도 그렇게 해야 에디슨처럼, 미켈란젤로 처럼, 위대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면서 아인슈타인은 하루에 평균 10시간을 잤다는 것은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10시간도 평균이다. 10시간 이상 잔 날이 더 많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도 정확하지는 않다. 중요한 것은 절대 수면 시간이란 없다는 것이다. 


자야 한다. 아니,
자야 산다. 
 


4시간이든 10시간이든 우리같은 일반인들에게는 너무나도 극단적이다. 나는 그래도 최소한 7~8시간을 자려고 한다. 물론 이때도 나만의 숙면을 위한 몇 가지 준비 요소가 있지만, 그래도 이 정도 수면 시간은 꼭 지키려고 한다. 또한 알람 시계 없이 자고 일어나려고 한다. 처음에는 쉽지 않았지만 요즘에는 괜찮게 지켜지고 있다. 


이렇게 하라는 것이 아니다. 말하고 싶은 것은 잠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나는 진심으로 5시 일어나기 챌린지를 꾸준히 하는 분들을 존경한다. 나는 도저히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5시에 일어나기 위해서는 최소한 10시, 최적으로는 9시에는 1단계 수면에는 도달해야 한다. 나는 평균적으로 침대에 누워서 1단계 수면에 들어가는데 30분 정도 걸린다. 그렇다면 최적의 시간으로 보면 밤 8시 30분에는 잠자기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도저히 할 수 없다는 것을 안다. 


내 아내는 정말 말 그대로 눕자마자 잔다. 정말 부러운 재능이다. 물론 이것만 봐도 사람은 모두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나에겐 5시에 일어나는 것보다 적어도 10시에 자는것이 더 힘들다. 그래서 내 수면 목표는 자정에는 침대에 눕는 것, 그리고 아침 8시에 일어나는 것이다. 


어떤 생각이 드는가? 아침 8시까지 잔다고? 너무 게으른 거 아니야? 이런 생각이 들 수 있다. 아니 들 것이다. (거꾸로지만)자기계발서를 쓴다는 사람이 그런 말을 하는 경우는 없을 테니 말이다. 못해도 6~7시에는 일어나서 부지런히 아침을 시작하라고 해야 사람들이 더 관심을 두고 읽을거로 생각한다. 하지만 그것 내 입장에서는 거짓말이다. 내가 못하고 안하는 것을 하라고 할 수는 없다. 


난 그렇게 8시까지 잔다. 오늘은 10시간 잤다. 왜냐하면 어제 원고 작성에 심각하게 고민을 많이 했기 때문이다. 뇌가 그만큼 지친 것이다. 원상복구 하기 위해서는 평소보다 더 많은 휴식 시간이 필요한 것이다. 이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원리다. 


그런데 많은 자기계발서는 이런 것을 무시한다. 나는 성공한 사람도 아니라서 내 방식을 따르라고 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그렇다면 그런분들께 아리아나 허핑턴의 [수면혁명]을 읽어보기를 권한다. 허핑턴도 잠의 예찬자다. 게다가 그녀는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창업가 중 한 명이 다.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하지만 두려워하는 여러분께 안도감을 줄 것이 다. 


아인슈타인이 10시간을 자는 이유 


그럼 하나의 문제가 생긴다. 24시간 중에서 4시간을 잔 사람 과 8시간을 잔 사람에게 남은 시간은 당연히 20시간과 16시간이다. 자기계발서는 20시간이 남은 것이 최우선이고, 이 시간을 잘 쪼개서 생활해야 성공한다는 환상을 불어넣는다. 


하지만 이건 산수일 뿐이다. 뇌과학에서 배운 그것 중에서 가장 중요한, 블록의 핵심이 되는 사실이 하나 있다. 


Q : 일반적인 사람들이 하루에 최대한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A : 4시간이다. 


24시간 중에서 4시간에 불과하다


한번 생각해보자. 나는 오늘 얼마나 제대로 집중했을까? 4시간을 했다면 엄청나게 한 것이다. 단순히 공부하고, 일한 시간이 아니다. 말 그대로 제대로 집중한 시간이다.  


아인슈타인의 집중력(을 넘어 몰입력)은 엄청났다고 한다. 아인슈타인은 상상으로 이론을 설계했다. 그 전까지의 실험물리학을 넘어선 것이다. 


빛의 속도를 계산하고, 우주의 원리를 계산했다. 실험이 아닌 상상으로, 실험실이 아닌 자신의 뇌 속에서 말이다. 한번은 나도 아인슈타인을 따라서 눈을 감고, 우주를 상상해보려고 했다. 내 머리속에서 태양계를 그려보려고 했다. 그런데 도저히 안됐다. 1분도 안되서 눈을 떴다. 5분을 상상할 수 있다면 여러분의 몰입력은 엄청난 잠재력을 갖고 있는 것이다. 


내 시간을 5배로 늘리는 마법 


사람이 집중해서 일하면 그 생산성이 5배가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몰입하고 있는 리더와 그렇지 않은 리더의 차이는 엄청나다. 맥킨지에서 10년동안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최고임원들이 몰입했을 때 생산성은 다섯 배나 향상되었다' 

[출처 : 뇌를 읽다. P.146]


4시간을 제대로 몰입하면 20시간을 그냥 한 것과 같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만큼 뇌의 피로도 가중된다. 뇌에 집중은 하고 싶지 않은 중 노동 이다. 그래서 집중이 어렵고 연습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그 시작은 충분한 숙면을 통한 뇌의 휴식시간을 보장하는 것이다. 


아인슈타인의 뇌는 매일 매일 엄청난 중노동을 한 것이다. 특히 기적의 해로 불리는 1905년은 그 강도가 더 엄청났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아인슈타인이 평균 10시간 이상을 자는 것이 지극히 이해되고도 남는다. 


잠에 대한 관점을 바꿔야 한다. 


우리는 아인슈타인이 아니다. 또한 에디슨도 아니다. 우리 대부분은 평균적인 우리다. 각자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말이다. 그리고 그런 우리는 모두 다르다.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수면시간은 자신만 안다. 그것을 남들과 비교할 필요는 없다. 그래서 나도 자신있게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제 나는 무조건 8시간은 잔다. 7시간도 부족하고, 8시간이다. 그정도 자고 났을때 이후의 내 활동력이 극대화 된다는 것을 온갖 시행착오를 통해서 배웠기 때문이다. 


단지 내가 지금 조금 더 바꾸려고 하는 것은 자정에 잠들어서 8시에 일어나는 것에서, 밤 11시에 잠들어서 7시에 일어나는 것이다. 전체적인 수면시간을 옮기려는 것이다. 이때도 수면시간을 7시간, 6시간.. 으로 줄이려고 하지 않는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24시간의 1⁄3 을 숙면에 사용하고, 남은 시간을 잘 쓰면 되는 것이다. 8시간에서 6시간으로, 잠을 2시간 줄여서 얻는 이득보다는 8시간 푹자고, 나머지 시간에 제대로 집중하고 몰입하는 것이 100만배 더 중요하고, 더 필요하다. 


1⁄3의 수면은 단순히 잔 게 아니라, 나머지 2⁄3를 위한 연료를 충전한다고 생각 해라. 연료를 충분히 채워야 원할 때 원하는 속도로 빠르고 길게 갈 수 있다. 아무리 나에게 4시간이 더 있다고 해도, 연료를 충분히 채우지 못했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 


나는 이런 관점에서 시간을 본다. 

아니, 보게 됐다. 


잠에 대한 관점을 바꾸면 자연적으로 시간에 대한 관점이 바뀐다. 시간에 대한 관점이 바뀌면 하루의 성과 측정에 대한 생각이 바뀐다. 


오늘 하루의 성과를 무엇으로 판단하는가. 


신입사원 시절 나는 정말 열심히 살았다. 5시에 일어나서, 6시에 출근했다. 정식 출근 시간이 10신데 말이다. 6시에 출근해서 헬스장에서 운동하고 2층에 있는 회사 휴게실 겸 도서실에서 아침 신문을 읽고, 책을 읽었다. 또한 SERI(삼성경제연구소)에서 하는 온라인 강의를 들었다. 그해 제일기획에서 강의 점수가 제일 높다고 상품도 받을 정도였다. 


거의 두달을 이렇게 살았다. 초반에는 어렵지만 그래도 두 달 정도면 이 패턴에 익숙해질 만하지 않은가. 하지만 그렇지 않았다. 나는 그냥 의지로, 아니 그렇게 살아야 성공할 수 있다는 확신에 매몰됐다. 


어느순간 이렇게 생활하는 것이 나와는 맞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우선 9시 정도부터 머리가 뿌옇게 연기가 차오르는 기분이었다. 멍하고, 맑지 않았다. 의지력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커피를 마시며 카페인을 힘을 빌렸지만 오래가지 못했다. 점심에는 체력을 키운다고 근육운동을 했다. 오후에는 에너지가 곤두박질 치기 시작했다. 정신이 온전할 리 없었다. 그 상태에서 저녁에는 또 자진해서 야근했다. 항상 11층에 있는 회사 카페에 올라가서 이태원의 야경을 내려다봤다. 뭔가 내가 큰 사람이 된 기분이라는 착각에 빠졌다. 


물론 이런 루틴은 얼마 가지 못했다. 그래도 사내 강의를 듣고 뭔가 열심히 하면서 살았다. 그런데 돌아보면 이것 모두 착각의 늪에 빠진 것이 다. 나는 하루의 성과를 얼마나 열심히 살았는가로만 평가하고 있었다. 


핵심 목표가 없었다. 


지금은 다르다. 아니 잠과 시간에 대한 프레임을 바꾼 후 달라졌다. 시간은 절대적이지만 상대적이다. 모든 사람에게는 24시간은 절대적으로 동일하지만 상대적으로는 같지 않다. 그 개념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나는 그래서 극단적으로는 이렇게 생각한다. 


하루 24시간 중 20시간은 집중을 위한 4시간을 위해서 존재한다. 


이렇게 프레임을 바꾸면 하루의 성과를 바라보는 프레임도 바뀐다. 내 기준으로 보면 ‘얼마나 열심히 살았는가'에서 ‘얼마나 제대로 집중했는가?'로 말이다. 


이것이 또한 내가 블록 플래너라는 '시간이 아닌 집중을 관리하는 컨셉'의 플래너를 만들고, 거꾸로 자기계발이라는 내용으로 글을 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제발.. 잠을 이기려고 하지 마세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