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잡은 손의 힘을 믿어요
매일같이 싸우는 부모님 때문에 고민인 ‘하나’는 우연히 같은 동네의 ‘유미’, ‘유진’ 자매와 친해지게 된다. 여름 방학동안 어울러 다니면서 친해진 세 사람은, 각자 가정의 고민을 해결하고 ‘우리’와 ‘집’을 모두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아이들의 순수한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본 단편 <콩나물>, 그리고 장편 <우리들>을 통해 충무로에 눈도장을 찍은 윤가은 감독의 신작 <우리집>이 공개됐다. <우리집>은 아이들의 눈높이로 담아내는 이야기의 온도는 이전 작품들과 비슷하지만, 그 방향은 사뭇 다르게 느껴진다. <우리들>에서는 순수하면서도 잔인한 아이들의 사회와 그 관계를 담아냈다면, <우리집>은 자신들의 힘으로는 어떻게 할 수 없는 변화 앞에서 연대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그려낸다.
<우리집>의 이야기는 비극이다. 아이들의 가정은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하나’의 가정은 나름 풍족하지만 다 같이 식사 한 번 하는 일이 드물고, 부모님은 이혼 직전이다. ‘유미’와 ‘유진’이의 가정은 ‘하나’네 보다는 좀 더 화목해 보이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부모님과 떨어져 지내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새도 없이 이사를 하는 상황에 지쳐 있다. 이처럼 아이들은 자신들이 스스로 극복할 수 없는 큰 문제에 마주하고 있다. 하지만 영화가 이 비극을 밝고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있는 이유는 바로 아이들 때문이다.
하나는 유미와 유진을 통해 그토록 원했던 식구(食口)를 갖게 되고, 밖으로 나다니던 유미와 유진 자매는 하나를 만나 가족(家族)이라는 울타리에서 편안함을 느낀다. 세 아이는 서로를 통해 각자가 결핍된 부분들을 채워 나간다. 아이들은 충동적으로 떠난 여행에서 서로의 고민들과 감정들 때문에 혼란스러 하고 갈등을 겪지만, 결국 서로를 지탱하는건 형식적인 틀이 아니라 서로 맞잡은 손이라는 걸 깨닫고 돌아온다. 이들의 여행은 목적을 이루지 못했고, 현실의 문제는 해결되지 못했으며, 앞으로 어떤 일이 펼쳐질지 모르지만, 서로의 유대를 확인했기에 영화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으며 엔딩을 맞는다. 영화에서 그려진 것처럼 현대 사회에서 전통적인 가족 구성원이 점점 해체되어 가는 와중에도, 여전히 정서적인 온기의 힘을 믿는 <우리집>의 긍정적인 시선이 그래서더 반갑고 따뜻하다.
<우리들>에서도 그랬듯이, <우리집>에서도 아이들이 가진 순수함과 특유의 에너지가 빛을 발한다. 아역 배우들의 자연스러운 에너지와 감정을 이끌어 내는 윤가은 감독의 디렉팅을 보면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들이 떠오르기도 한다. 다음 작품이 뭐가 될지는 아직 모르겠지만, 따뜻한 시선을 가진 신진 감독의 앞으로의 행보가 벌써부터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