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혜일 Nov 21. 2024

가을 봄동

마트에서 장을 보는 데 비닐봉지에 담겨 수북이 쌓여있는 것들이 시선을 끌었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봄동이었다. 판매가 시원치 않은지 떨이 처리하듯 모든 봉지마다 가격표가 이중으로 붙어있었다. 꽤 많은 양의 봄동이 단돈 870원. 그런데 의아했다. 이제 11월에 접어들었데 벌써 봄동이 나오나? 전에는 빨라도 12월은 되어야 나왔던 것 같은데.



야채 코너 주변을 둘러보니 봄동뿐만 아니라 달래와 냉이, 씀바귀 같은 봄 푸성귀들도 한데 어우러져 있다. 더 희한하게 느껴졌던 것은 과일 코너에 놓인 수박이었다. '하우스 수박'이라는 이름표가 붙어있었다. 지금이 봄인지, 여름인지. 나는 어느 계절 속에 살고 있는지 순간 헷갈렸다. 한편 장을 보며 하우스 재배 기술이란 게 얼마나 좋아진 세상인지 피부로 느낄 수 있었다.



봄동이 꼭 겨울과 봄 사이에 나와야 마땅하다는 나의 편견은 좋아하는 영화 속 장면 때문일 것이다. 봄동을 보면 '리틀 포레스트'의 국내판 영화에 등장하는 주인공 혜원의 겨울이 떠오른다. 임용고시에 실패하고 도시를 떠난 혜원. 그녀가 몸도 마음도 탈탈 털린 채로 도착한 고향집에서 맨 처음 찾은 식재료는 텃밭의 봄동이었다. 까만 밤, 흰 눈 속에 폭 파묻혀 있던 봄동을 혜원은 야무지게 캐내고. 한 줌 남은 쌀로 지은 밥과 봄동 된장국으로 그녀는 오랜 허기를 단숨에 채운다.



'혜원이 캤던 눈 속의 봄동만 할까.'



가을 봄동을 바라보며 큰 기대는 들지 않았다. 제 때에 노지에서 나온 봄동만큼 다디달까. 그래도 가격이 크게 오른 배추와 견주어보면 봄동은 대체 식재료로 손색없으니 또 반갑고. 고작 봄동 한 봉지를 앞에 두고 이것저것 따지느라 주부의 마음은 쉴 새 없다.

 


이제는 소비의 여력만 갖춘다면 제철 상관없이 먹고 싶은 야채며 과일을 손쉽게 식탁에 올릴 수 있다. '제 때'라는 것을 기다릴 필요도 없어진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편리하고 풍요로운 시절에 무언가 아쉬운 마음이 드는 건 왜일까. 제철 식재료의 경계가 허물어지면 한 계절이 가고 오는 풍경을 지켜보는 재미 또한 반감될까 조바심이 들어서이다.



기나긴 겨울이 지겨워질 때쯤 봄동이나 달래가 얼굴을 보이면 새 봄이 왔음을 기쁘게 알아챘다. 날이 더울 때까지 안 보이던 수박이 그 무게감을 뽐내며 어느 가지런히 놓여있으면 시원한 반가움을 느꼈다. 그렇게 제철 채소나 과일로 계절을 실감할 수 있는 기회들은 내 삶도 차근차근 다음 페이지를 향해 나아가고 있음을 믿어 의심치 않도록 해주었고. 때를 따라 알알이 맺힌 열매들 양손에 쥘 때면 기다리는 일에 서툰 나 같은 사람도 기다림의 의미를 곰곰 생각해보게 했다.   



봄이 아직 멀었는데 벌써 봄동이 나오다니, 마트 안에서 나만 제자리인 것 같아 조급해진다. 때와 시기를 기다리며 사는 일이 어리석은 짓은 아닐지 순간 불안해진다. 아직 가을 안에 머물러 있는 내게 저 멀리서 앞선 계절이 얼른 따라오라고 재촉하는 것만 같다.



사라고 부추기는 사람도 없는데 봄동 한 봉지를 결국 장바구니에 넣었다. 그리곤 아무도 모르게 생각했다. 모든 게 빠르게 뒤바뀌는 세상에 나라도 시간의 질서만큼은 잘 지키며 살아야지. 제철을 뛰어넘는 재배 기술은 야채, 과일에게나 통하는 거고 사람 일에 기다림 없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있을까. 세상 느린 사람의 게으른 변명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시간을 담는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