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수리스타 KM Sep 22. 2022

아동 자폐 이야기 5 - 치료하기

ABA응용행동분석과 표적행동훈련

자폐성 진단을 받은 아동은 장애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통합교육 프로그램과 여러 가지 치료를 병행하면 좋습니다.


위 아이는 자폐성 진단을 받았고 검사자는 ABA응용행동분석과 구체적인 표적행동훈련(단편적인 훈련)을 제안하였습니다.


ABA응용행동분석이란?(Applied Behavior Analysis)

문제 행동을 분석해서 다양한 중재방법들을 통해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응용학문입니다. 행동의 학습원리에 기초한 과학적인 접근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치료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게 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표적행동 훈련

행동수정(behavior modification)에서 분석이나 수정을 위해서 선택된 행동을 말합니다. 표적행동을 확인하는 것은 치료자가 행동사정(behavioral assessment)을 하는 데서 첫 단계이다. 이것은 특정 행동과 시간 그리고 그러한 행동을 유발시키는 상황을 기술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출처 다음백과 용어사전)


ABA응용행동분석에서는 표적행동을 정한 다음 행동 목표를 세웁니다.

이것은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아동의 문제 행동에 대해 장기적 단기적으로 행동을 중재를 통해 기대되는 결과입니다.


(예시)

강우(가명)는 매주마다 오는 치료실에서 치료 시 3회 이상 교사의 허락 없이 의자에 올라간다.

강우는 매주마다 오는 치료실에서 치료 시 3회 미만 교사의 허락 없이 의자에 올라간다.


Cooper 의 평가척도

1. 자신이나 타인에게 위험한 행동인가?

2. 이 행동이 변화된다면 활용할 기회가 많은가?

3. 이 행동은 오래 지속되어 있는가?

4. 이 행동이 향상되면 지금보다 더 많은 강화의 기회가 제공될까?

5. 이 행동은 학생의 행동발달과 독립성 증진에 중요한가?

6. 이 행동이 개선되었을 때 타인으로부터 불필요한 부정적 관심을 줄일 수 있는가?

7. 이 행동이 향상되면 학생 주위의 중요 인물들에게 보상이 되는가?(기쁨 또는 보람)

8. 이 행동은 성공적으로 변화시킨 가능성이 높은가?

9. 이 행동지원에 비용이 적게 드는가?


위의 평가 척도를 참고하여 표적 행동을 정하는데 우선순위를 정합니다.

아동에게 파괴적인 행동이 나타나는지, 방해하는 행동이 나타나는지 등의 문제 행동을 고려하여 사회적 가치에 바람직한 방향으로 긍정적인 지원을 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아스퍼거 증후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