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Bong ho Lee Mar 11. 2017

안팎으로 고생하는 우버, 왜 그럴까?

이 모든 것이 기업문화와 관련되지 않았을까..?

출처 : Uber Homepage

현존하는 스타트업 중 가장 높은 기업가치를 자랑해온 Uber가 안팎으로 고생을 하고 있다. Financial Times에 따르면 오늘은 홍콩에서 추가적인 제재를 받았다고 한다. 홍콩 법원에 따르면 영업 관련 허가 없이 차량 서비스를 제공한 운전자들에 대해서 $HK 10,000(US$ 1,300)의 벌금을 부과하였고 Uber에게 영업 관련 Permit을 운전자마다 보장해줄 것을 요구했다.


사실 이러한 뉴스는 그렇게 신기한 뉴스는 아니다. Uber는 이미 지난달에도 대만에서 불법 교통 서비스에 대한 벌금이 T$150,000에서 T$25m(US$780,000)이 상향 조정되자 영업중단을 선언하였던 적이 있다. Uber의 시장 진입 전략 자체가 우선 법적 환경에 상관없이 시장에 진입한 이후 시장 점유를 통해 빠르게 관련 법률 환경이 조성될 수 있도록 시장을 바꾸는 데 초점을 맞춰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그러했듯이, 기존 사업자들의 반발은 생각보다 많이 거셌다. 당장 홍콩만 해도 Uber는 현재 전체 홍콩 인구의 약 25%인 200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압도적인 시장지위를 자랑하고 있지만 홍콩의 택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Uber의 경쟁우위가 그렇게 지속 가능하게 보이지 않는다.


이번 홍콩 법원의 판결 결과에 대해서 중국 시장 총괄 담당인 Tom Zhang의 반응은 개인적으로는 놀라웠다. 꽤나 고압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이번 판결에 대해서 "수십 년 전에 만들어진 식민지 시대의 법으로 현재의 트렌드와 기술을 판단하는 것은 실망스럽다고 밝혔다."


나만 그러했는지 모르겠지만, 나는 그의 말투로부터 현재 Uber가 비판받고 있는 성장 일변도의 기업문화를 느낄 수 있었다. T. Deal과 A. A. Kennedy는 Organizational Culture에 대해 "지금 우리가 일을 하는 방식(The way we do things  around thin)이라고 정의한 바 있는데 지금 Tom Zhang의 말투는 Technology Trend를 가장 중심에 놓고 다른 부분을 무시하는 듯하는 느낌이 들 정도로 고압적이었기 때문이다.


안 그래도 Uber는 현재 이러한 기업정책으로 논란의 중심에 있는 상황이다. 얼마 전에는 Uber에서 일하던 전직 엔지니어가 성희롱 관련 Uber의 안이한 대처 방식을 폭로하였고, Uber가 규제 관련 정부 요인들을 대상으로 Uber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도록 조작한 GreyBell 프로그램을 돌린 사실이 노출된 상황이었다. 이 것뿐만이 아니다. 창업자인 Travis Kalanick가 Uber 운전사에게 지나칠 정도로 화를 낸 것이 구설수(링크)에 올랐으며 Google에게 무인 주행 자동차 관련 기술 유출 의혹으로 고소를 당했다.

우버의 경영문화를 폭로한 엔지니어, Susan Fowler

나는 이러한 분이 Uber의 기업문화와 연관이 있다고 본다. 특히 Founder인 Travis Kalanick의 Style이 반영이 되어 있다고 본다.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그는 상당히 빠르게 대응하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이러한 부분이 때로는 우선 적당히 덮어버리려 한다라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기업문화는 주로 창업자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기 때문이다. 물론 이는 기업의 역사와 함께 다양한 역경에서 비롯된 경험과 경영진의 방식에 따라 다듬어지기는 하지만 창업자의 지분은 무시하기 어렵다. 특히 이렇게  창업자이자 CEO인 Travis Kalanick의 리더십에 단기간 내에 빠르게 성장한 기업은 더더욱 그러하다고 본다.


눈덩이 같이 불어나는 손실(링크)을 볼 때마다 빠르게 성장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치에 부응하고 증가하는  User수와 시장점유율, 최종적으로 이를 기반으로 Profit을 만들어내려는 Uber의 상황을 고려해본 다면 공격적인 기업문화는 이해가 된다. 하지만 기본적인 것, 특히 가뜩이나 양성평등과 같은 기본적인 권리에 대해서는 조금 더 적극적인 고려와 반영이 필요하지 않을까?

작가의 이전글 Linkedin, 러시아에서 결국 막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