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우리말 사전>
형벌(刑罰)의 형(刑)은 목을 자르는 참수(斬首), 몸을 수레 두 대에 묶어 찢는 거열(車裂), 무수히 칼질하되 죽지는 않도록 며칠을 두고 고통을 주는 능지(凌遲)처럼 몸에 위해를 가하는 처벌이다. 이에 비해 형벌의 벌(罰)은 징역을 비롯해 유배, 벌금 등 죽이거나 상해를 입히지 않는 처벌을 가리킨다. 오늘날 한국어에서는 형과 벌을 구분하지 않는다.
형의 종류를 살펴보자.
거열(車裂)
수레 두 대에 사지와 목을 묶어 찢어 죽인다. 소 다섯 마리에 사지와 목을 묶어 찢어 죽이면 오우분시(五牛分屍), 수레를 말 다섯 마리가 끌면 오마분시가 된다.
괵형(馘刑)
도끼로 머리를 잘라내어 장대에 꿰어 내거는 형이다. 후에 명칭이 효수형으로 바뀌었다.
궁형(宮刑)
남자 생식기에 가해지는 형이다. 고환을 절개해 꺼내고 사정관을 없애 남자 구실을 못하도록 만들었다. 대개 음경은 소변 배설을 위해 그대로 둔다. 궁(宮)에서 내시들에게 행해지던 것으로, 상처가 아물 때 썩은 내가 난다 하여 부형(腐刑)이라고도 한다. 중국 한 무제 때 역사가 사마천이 이 형을 받았다.
능지(凌遲)
무수히 칼질하되 바로 죽지는 않도록 며칠을 두고 고통을 주는 잔인한 형이다. 최대 6,000번까지 칼을 찔렀다는 기록이 있으며, 최하 500번 이상 찔러야 한다. 능지처사(凌遲處死), 능지처참(凌遲處斬)이라고도 한다. 능지 중 살점을 회를 뜨듯 떠내어 죽이는 형이 과형이다. 평균 3,600번 정도 살을 발라내어 죽인다고 한다.
단설(斷舌)
혀를 뽑아내는 형이다.
단수(斷手)
손목을 자르는 형이다. 시기와 질투가 심한 궁녀에게 주로 행해졌다.
단지(斷指)
손가락을 자르는 형이다.
단향형(檀香刑)
참기름으로 삶은 박달나무를 항문에 넣어 목구멍으로 나오게 하여 며칠을 두고 천천히 죽게 하는 형이다.
박피(剝皮)
사람의 피부, 즉 가죽을 벗겨내어 죽이는 형이다. 이렇게 벗겨낸 가죽으로 북을 만들거나, 가죽 안에 짚을 넣은 인형을 만들어 거리에 세워두기도 했다. 박피형을 받은 사람은 가죽이 벗겨진 뒤에도 이틀 정도 고통스럽게 숨이 붙어 있다가 죽었다고 한다.
알안(穵眼)
눈을 도려낸다는 뜻인데 실제로는 눈알을 칼로 도려내는 형이다. 주로 왕이나 황제의 명으로 집행했다. 간통한 사가의 여성들에게 이 형을 집행하기도 했다.
요참(腰斬)
허리를 끊어 죽이는 형이다.
월형(刖刑)
발꿈치를 도끼로 찍어 잘라내는 형이다. 주로 도둑들에게 쓰였는데, 다시는 걷지 못하고 기어서 다녀야 한다. 전국시대 방연이 손빈에게 내린 형으로 유명하다.
유탕(油湯)
산 사람을 기름이 끓는 솥에 넣어 튀겨 죽이는 형이다.
유폐(幽閉)
여성의 질 입구를 꿰매는 형이다. 그 밖에도 자궁을 꺼낸다든가, 여성의 성 기능을 없애려는 비밀스러운 방법이 있었다고는 하나 잘 알려지지 않는다.
의형(劓刑)
코를 베어내는 형이다. 간음한 사람에게 주로 쓰였다.
찰지(拶指)
손가락 사이사이에 대나무 조각을 넣어 비트는 것으로, 손가락뼈가 부서지거나 잘려나간다. 이때 쓰는 대나무 조각은 고대에 종이 삼아 글을 적던 죽간(竹簡)이다.
참수(斬首)
도끼나 칼로 목을 자르는 형이다. 초기에는 도끼로 목을 잘랐고, 후에 칼이 발달하면서 언월도가 쓰였다. 참수 전 목 주변에 석회가루를 뿌리고 귀에 화살을 꽂았다. 목이 한 번에 잘리지 않으면 톱으로 써는 일도 있었다. 죄수의 가족들은 솜씨 좋은 망나니에게 죄수의 목을 단칼에 베여달라고 뇌물을 쓰며 부탁하기도 했다.
침수(沈水)
산 사람을 포대에 넣어 물에 빠뜨려 죽이는 형이다.
팽자(烹炙)
팽형이라고도 한다. 가마솥에 물을 끓인 다음 사람을 산 채로 넣어 죽이는 형이다. 형 집행 뒤에 인육을 먹는 관습이 있었는데, 이런 이유로 육장(肉漿)이라고도 불린다.
포락(炮烙)
뜨겁게 데운 철판 위를 걷게 한다든가, 뜨겁게 달군 쇠기둥을 밟고 건너게 하는 형이다. 발바닥이 달군 쇠에 들러붙었으며, 설사 건넌다 해도 칼로 쳐서 죽였다.
해(醢)
사람을 죽인 뒤 고기를 발라내어 젓갈을 담그는 형이다. 공자가 이 해를 즐겨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한나라 개국공신 팽월(彭越)이 이 형을 받았다.
효수(梟首)
원래 도끼로 머리를 잘라내어 장대에 꿰어 내걸던 괵형의 명칭이 효수로 바뀌었다. 이렇게 잘린 머리를 내거는 걸 효시(梟示)라고 했다. ‘효’는 올빼미를 가리키는데, 죽은 자의 머리가 마치 까만 올빼미 같다 하여 붙은 명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