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브레인캔디 Mar 26. 2024

엔터테인먼트 스토리텔링 10단계

9. 클라이맥스 모멘트(Climactic Moment)

스토리텔링에서 클라이맥스와 클라이맥스의 모멘트를 항상 구분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이야기의 내러티브 구조와 캐릭터의 감정에 대한 더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이전에 언급했던 게임 '라스트 오브 어스'를 예시로 클라이맥스와 클라이맥스의 모멘트의 차이점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클라이맥스의 메아리



클라이맥스는 스토리에서 주요 갈등이 절정에 이르고 결국 해결되는 시점을 가리킵니다. 이는 주인공이 가장 큰 도전이나 적과 직면하는 이야기의 마지막 전환점이 됩니다. 클라이맥스는 단순히 한 순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의 긴장감을 최고조로 끌어올리는 일련의 사건들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라스트 오브 어스'에서의 클라이맥스는 조엘이 파이어플라이로부터 엘리를 구출하기로 결심하고, 마를린과 대립한 후 병원에서 탈출하는 장면을 포함합니다.


그렇다면 클라이맥스 모멘트는 어디일까요? 

클라이맥스 모멘트는 긴장감이 최고조에 달하거나 중요한 결정이 내려지는 시점을 가리킵니다. 이는 스토리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으로, 스토리의 감정적 또는 주제적 정점을 구현하는 구체적이고 중요한 사건입니다.

'라스트 오브 어스'에서는, 조엘이 백신 제작을 위한 수술을 허락하는 대신 엘리를 구하는 선택을 하는 순간이 클라이맥스 모멘트입니다. 이 장면은 그의 사랑과 엘리를 보호하기 위해 어떤 일이든 하겠다는 그의 결심을 보여줍니다.


요약하면,

클라이맥스는 내러티브의 전환점, 빌드업, 정점 및 즉각적인 결과를 포함하는 것이고, 클라이맥스 모멘트는 해당 시퀀스에서 가장 긴장이 고조되거나 중요한 결정이 내려지는 특정 지점을 말합니다. 

클라이맥스는 주요 갈등을 해결하고 스토리를 결말로 이끄는 데 중요하지만, 클라이맥스 모멘트는 종종 클라이맥스의 본질을 요약하는 가장 감정적이거나 중요한 단일 사건입니다. 

클라이맥스는 모든 내러티브 스레드를 하나로 모으고 중심 갈등과 캐릭터 아크를 다루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클라이맥스 모멘트는 이러한 수렴의 핵심이자 스토리의 감정과 주제의 무게가 가장 집중되는 순간입니다. 

스토리텔링에서 이러한 뉘앙스를 이해하면, 긴장감, 캐릭터 개발, 주제 해결의 층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어 스토리의 전반적인 영향에 기여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클라이맥스와 클라이맥스 모멘트의 차이는 일상 대화나 분석에서 항상 강조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를 분석하면 창작자가 스토리텔링 메커니즘을 더욱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 구분을 통해 스토리 구성과 감정, 주제, 캐릭터 발전의 전달 방식에 대해 더 깊고 풍부한 이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분석은 이야기를 즐기는 사람들에게도 큰 가치를 제공합니다. 이야기의 구조와 그 안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더 잘 이해함으로써, 그들은 이야기에 더 깊게 몰입하고 이야기를 통해 전달되는 감정과 주제에 더 크게 공감할 수 있습니다.

결국, 이런 이해는 창작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야기를 더 풍부하고 만족스럽게 즐길 수 있도록 도움을 줍니다.

작가의 이전글 엔터테인먼트 스토리텔링 10단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