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리 May 17. 2024

'소아과 오픈런'하고 브런치 즐기는 엄마

저녁에 약이 다 떨어졌다. 지난번에 처방받은 약을 다 먹었는데도 아이는 노란 콧물이 나오고 코가 자꾸 막혀서 제대로 잠을 자지 못했다. 아침에는 소아과에 가야겠다. 오전 진료를 보려면 일찍 일어나 서둘러야 한다. 병원 오픈 시각은 9시지만 8시 40분부터 접수를 시작하니 그전에 미리 도착해 줄을 서야 한다. 이른바 ‘소아과 오픈런’이다. 조금이라도 앞 줄에 서기 위해 주차장에서부터 소아과 입구와 접수창구까지 아이를 안고 뛰는 엄마들의 경주 아닌 경주가 이어진다. 엄마의 품 안에서 조그맣고 동그란 머리통이 흔들린다. 병원 대기실에는 커다란 TV가 걸려 있고, 화면에는 애니메이션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아예 스마트폰으로 동영상을 틀어 보여주는 부모도 많다. 끝 모를 ‘대기 지옥’을 버티기 위한 최후의 수단인 셈인데, 언제까지 보여줘도 괜찮은 것인지 알 수 없다.


소아과 진료가 끝나면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낼 수 있겠지. 그러면 잠시 편안하게 ‘나만의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나만의 시간’이란 그리 거창한 게 아니다. 그저 배고플 때 먹고 싶은 음식을 먹고, 피곤할 때 누군가의 방해 없이 자고, 화장실에 가고 싶을 때 가서 원하는 속도로 배변을 볼 수 있는 시간이다. 만약 시간과 컨디션이 조금 더 허락된다면 읽고 싶었던 책을 읽으며 커피를 마시고 디저트를 먹을 수도 있겠다. 어린아이를 돌봐야 하는 양육자에게는 이 모든 일들이 대부분 허용되지 않는다. 다른 무엇보다도 시간적 자원이 터무니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꿀 같은’ 시간을 맞이하려면 아직 해야 할 일이 남아 있다. 먼저 아이가 온 집안에 뿌려 놓은 장난감과 쓰레기와 과자 부스러기를 치워야 한다. 장난감은 종류별로 분류해 담고 큰 쓰레기와 과자를 주워 쓰레기통에 버리고 나서 청소기로 바닥을 민다. 분명히 어제 보았던 빨래 더미와 같은(그러나 어제의 것은 아닌) 새로운 빨래 더미를 세탁기에 넣어 돌리고, 엊저녁부터 쌓여있는 설거지 더미를 해치운다. 설거지를 하다 보니 가득 찬 음식물 쓰레기봉투가 보이고, 그 옆에는 온갖 종류의 쓰레기들이 당장 분리수거를 하지 않으면 내일은 쓰레기더미로 온 집안을 뒤덮을 것이라는 경고를 보내고 있다. 온 집안에 있는 쓰레기통을 비워 종량제 봉투를 꾹꾹 채워 담고 음식물 쓰레기봉투와 분리수거용 쓰레기들을 박스에 담아서 집을 나선다.


집 앞에서 분리수거를 하는데 문득 아이들이 먹을 과일과 반찬거리용 재료가 떨어졌다는 사실이 떠오른다. 집 앞 슈퍼에서 장을 보고 집으로 돌아온다. 시계를 보니 벌써 점심을 먹을 때가 되었다. 뭘 먹을까 고민하다가 집에서 점심을 차려 먹으면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돌아오기 전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아 마음이 조급해진다. 밥을 따로 차려 먹고 카페에 가느니 차라리 카페에 가서 브런치(아침을 먹지 않았으니 말 그대로 아침 겸 점심이다)를 먹으면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경제적이라는 계산을 한다. 게다가 집은 나에게 쉬는 공간이 아니다. 끊임없이 노동을 요구하는 일터다. 이곳에서는 계속 새로운 일감이 추가되기에, 집안일을 어디까지만 하고 어디서부터는 하지 않을지 선택하지 않으면 집에서는 영원히 쉴 수 없다. 그 선택 또한 일이므로 집에서는 마음 편히 쉬기 어렵다. 어느새 다 된 빨래를 건조기에 옮겨 돌리고 서둘러 가방을 챙겨 집을 나선다. 가방 속에는 ‘나만의 시간’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몇 권의 책과 독서대, 필기구와 노트북이 들어 있다.


지금부터 아이들이 돌아오기 전까지 남은 시간은 약 세 시간. 이 시간 동안에 점심을 먹고 ‘나만의 시간’에 집중해야 한다. 아이들이 돌아오고나서부터는 내 모든 욕구는 돌봄 노동에 기약 없이 밀려나고 말 것이므로. 그 시간을 온전한 정신으로 버티기 위해서는 이 한정된 시간에 자유와 행복, 심신의 힐링을 최대한으로 만끽해야만 한다. 어디로 갈까. 최근에 오픈한 한 카페—깔끔하고 세련된 분위기에 여러 종류의 브런치 메뉴를 갖추어 인스타그램에 사진을 찍어 올리기 좋은 감성을 갖춘—로 발걸음을 재촉한다. 그곳이라면 짧은 시간이나마 ‘가심비 있게’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 같다.



카페에 자리를 잡고 앉아 노트북을 켠다. 인터넷을 열자 알고리즘이 무수한 추천 뉴스들을 내 앞에 펼쳐놓는다. 무심결에 제목들을 훑다가 한 곳에서 시선이 멈춘다. “(소아과 오픈런은) 젊은 엄마들이 일찍 소아과 진료를 마치고 브런치를 즐기기 때문”1)이라는 우봉식 의협 의료정책 연구원장의 말이 뉴스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다. 습격이라도 당한 사람처럼 심장 박동이 빨라진다. 하다 하다 소아과 병원이 미어터지는 것도 엄마 탓이라면, 도대체 이 세상에 엄마 탓이 아닌 건 뭘까.


가만히 생각해 보면 우리 사회는 애 키우는 엄마들이 집 밖을 돌아다니는 꼴을 보기가 불편한 것 같다. 엄마들은 육아(뿐만아니라 임금 노동)에 전념하기를 강력히 요구받지만, 그 모습은 집 밖에서 보이지 않아야 한다. ‘노키즈존’도, 유아차를 끌고 테이크아웃을 하러 들어간 카페에서 ‘맘충’ 소리를 듣는 것도, 의사 협회 간부가 ‘소아과 오픈런’하고 브런치를 즐기는 젊은 엄마들을 비난하는 것도, 모두 “꼴 보기 싫다”는 전제가 공통으로 깔려 있다. 엄마가 식당에서 밥을 먹고, 카페에 가서 커피를 마시고 (심지어!) 브런치를 먹는 모습은 모두 ‘정당한’ 노동(임금 노동)을 하지 않고 ‘노는’ 이미지로, 그러한 노동에 무임승차하는 모습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말 그런가? 임금을 받지 않으면, 즉 돈을 벌지 않으면 ‘노는’ 것이라고 폄하해도 되는가? 이 질문에 동의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테지만, 집에서 하는 돌봄 노동이나 가사 노동을 폄하하는 사회적 인식과 대우는 여전히 공고하다. 여성들에게 “집에 가서 애나 봐라.”는 말은 취직 여부, 자녀 유무를 떠나 상대방에게 깊은 모욕을 주려는 의도로 발화된다. “집에서 애 보는” 일이 모욕이 되는 현실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돌봄 노동을 ‘집 안’이라는 장소에만 국한시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노동의 가치를 무시하고 있는지 명징하게 드러낸다.


저널리스트 김인정은 《고통 구경하는 사회》에서 청소 노동자들의 휴게 공간이 거의 없거나 열악할뿐 아니라 꼭꼭 숨겨져 있다는 사실을 지적하며 그러한 원인 중 하나로 그들의 휴식이 눈에 띄지 않아야 한다고 여기는 사회적 인식을 비판했다.2) 당당하게 쉼을 드러낼 수 없는 사람들이 있다.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는 광고 문구는 철이 지난지 오래지만 열심히 일한 사람에게 당당하게 쉴 권리가 주어진다는 인식은 여전하다. 하지만 열심히 한 ‘일’이 무엇인지에 따라 어떤 사람들은 얼마나 열심히 일했는지와 무관하게 쉼을 드러낼 수 없다. 사회적으로 가치를 인정받는 노동인지 아닌지는, 그 노동자의 쉴 권리를 얼마나 정당하게 대우하고 있는지에 따라서도 가늠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아이는 저절로 크지 않으며, 모든 것이 제자리에 놓여 있는 집안의 일상적 풍경은 저절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그 모든 나날, 모든 순간에 지루하고 반복적이며 ‘집에서 논다’는 부당한 대우를 받는 누군가의 노동이 들어가 있다. 집 밖에 나와 ‘브런치’를 즐기는 엄마들을 불편해하는 시선에는, 집 안팎에서 이루어지는 온갖 가사와 돌봄 노동을 그저 ‘집안일’ 혹은 ‘애 보기’라는 말로 뭉뚱그려 후려쳐온 가부장의 심리가 다분히 투영되어 있다. 자신은 밖에서 일하느라 힘들어 죽겠는데, 그 시간에 카페에 앉아 브런치를 먹으며 쉬는 모습이 눈꼴시다. 이것이 다른 누군가(특히 여성 주부)의 눈치를 보지 않고 쉴 자격은 오로지 가부장인 자신들에게만 주어진 특권이라는 집단 무의식의 발로가 아니면 무엇일까.


하지만 묻고 싶다. 그들은 바깥 일을 하고 돌아와 돈 벌어 왔다는 유세로 편히 발 뻗고 소파에 드러누워 스마트폰을 보고 있지 않은가? 밖에서 열심히 일한 그들도 재충전하려면 쉼이 필요할테니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그런 그들이 눈꼴시다는 이야기는 어디까지나 엄마들끼리의 사적인 수다 모임이나, 맘카페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에만 머물러 있을뿐, 그 너머의 공적 영역으로 넘어가지 못한다. 공공 의료 문제 해결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의협 연구원장같은 사람의 입을 통해 발화되지는 않는다.


‘바깥 노동’을 하든, ‘집안일’이나 ‘애보기’를 하든, 누구에게나 쉼은 반드시 필요하다. 자신의 욕구를 들여다보고 돌보는 일은 돌봄 노동자냐 아니냐를 떠나서 그 자체로 삶에서 필수적인 요소다. 그러므로 ‘소아과 오픈런’하고 브런치를 즐기는 엄마의 모습을 문제 삼을 게 아니라, 자신의 눈에 띈 장면만으로 타인의 하루를, 삶을 평가할 수 있다고 믿는 무지와 오만함을 돌아볼 일이다. 집 안팎에서 삶을 굴러가게 하는 ‘필수 노동’을 하고 있는 엄마들이 카페에서 당당하게 브런치를 먹을 수 있는 사회가 되기를 바라며, 나는 오늘도 ‘소아과 오픈런’을 마치고 카페에 앉아 브런치를 우적우적 씹어 삼키며 키보드를 두드리고 있다.











1)  "엄마들 브런치 즐기려 소아과 오픈런"...의협 연구원장 막말 '시끌' - 머니투데이 (mt.co.kr) (2023.12.7.)

2) 《고통 구경하는 사회, 김인정, 웨일북, 2023, p.122









매거진의 이전글 광화문 D타워 맛집 - 매드 포 갈릭 리뷰 (내돈내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